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엔나(빈)에 여행 오는 사람들이 빠뜨리지 않고 꼭 들리는 건축물이 있는데
그것은 비엔나 시내 헤츠가세역(驛) 근처에 있는 한 시영 아파트이다.
회색이 주조를 이루는 획일적인 아파트만 보시던 분들이 이 시영 아파트 앞에 서신다면
여기가 동화의 나라의 일부인가......아니면 놀이 동산 건물인가.....
하며 고개를 갸웃거리실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건물은 비엔나의 유명한 랜드마크인 훈데르트바서  하우스(Hundertwasserhaus).
오스트리아가 자랑하는 화가이자 생활 디자이너, 건축가, 환경주의자, 평화주의자인
프리덴슈라이히 훈데르트바서(Friedensreich Hundertwasser,1928~2000)가 
비엔나 중심가에 있던 낡은 시영 아파트를 생물이 살아 숨 쉬는 아파트로 개조한 건물이다.





2차대전 이후 전쟁으로 피폐할데로 피폐해진 비엔나에서는 
서민들의 시급한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영 아파트들이 많이 지어졌는데
되는대로 지어진 시영 아파트들의 환경은 그야말로 열악하기 이를데 없었다고 한다.
편의 시설은 하나도 없이 오직 주민들의 성냥갑 같은 방들이 복도에 감방처럼 줄지어 들어서고
수십 가구가 공동 수도 하나, 공동 화장실 하나를 공유해야 하는 형편이었다고....
이렇게 어려운 시절에 지어진 시영 아파트의 재건축을 위하여
비엔나 시청은 시영 아파트 재건축 디자인 공모를 했는데 훈데르트바서의 건축 디자인이 채택되게 된다.

딱딱하고 획일적인 건물들 일색인 비엔나 한가운데
훈데르트바서가 디자인한 알록달록한 동화의 집 같은 시영 아파트가 세워진다는 소식을 듣고
'주위 환경과 안 어울린다'는 염려 등으로 부정적 여론을 내세우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입주 신청자가 3만명이나 폭주하는 등 많은 시민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얻게 되자
시영 아파트 재건축 프로젝트는 1983년에 시공하여 1986년에 완공하게 된다.
훈데르트바서는 비엔나 시민들을 위해 무보수로 참여했다는 재건축 프로젝트에 일화도 전한다.

완공식에 7만 명의 인파가 몰리는 등 대성황을 이루자 아파트 재건축은 매우 성공적인 평가를 이끌어냈고
한 사람의 예술가가 엄청난 시너지를 창출해낸 모범 사례가  되었을 뿐 아니라 
비엔나 관광객들이라면 누구나 빠뜨리지 않고 들리는 비엔나의 명물이 되었다.




이렇게 지어진 훈데르트바서 하우스의 대지 총면적은 1,543㎡이고,
층수는 3층부터 9층까지 다양하게 분포한다.
52호가 거주하는 각 주택의 규모는 30~150㎡ 정도인데 주택 외에도 4개의 사무실, 16개의 개인 테라스,
3개의 공동 테라스, 2개소의 어린이 놀이터와 윈터가든(winter garden),
카페로 구성된 복합 주거 시설로 자리잡았다.





훈데르트바서 하우스는 전경을 찍기 위해 도로를 가로질러 반대편에서 보아도 전체의 모습이 앵글에 제대로 잡히지 않는다.






'자연에는 바로 잰 듯한 반듯한 직선은 없다'인위적인 직선을 거부한 훈데르트바서의 건물은 모두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훈데르트바서 하우스 앞길도 이렇게 자연의 동산을 그대로 옮겨온 듯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로 앞에 서서 위로 올려다 보니 건물 외벽에 자라나 있는 나무와 함께 제일 먼저 알록달록한 벽의 색감이 눈에 먼저 들어온다.





화이트, 옐로우, 레드, 블루, 블랙.......건물에서는 잘 쓰지 않는 화사하고 다양한 색채가 모두 한 곳에 쓰였는데
훈데르트바서에게 다채롭고 눈부신 색깔의 집은 행복한 집과 같은 의미이다.

 



유럽의 겨울이 대부분 그렇듯이 훈데르트바서 하우스를 방문한 날도 하늘엔 구름이 잔뜩 끼어 많이 흐린 날이었다.
어제 저녁 살짝 내린 비로 인해 건물은 부분적으로 비에 젖어 있어 사진이 많이 우중충하게 나온 것이 흠이다.
훈데르트바서는 비오는 날에는 모든 사물이 비에 젖어 고유의 색감이 더 빛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비오는 날을 아주 좋아했다.
그래서 자기의 중간 이름을 레겐탁(Regentag, 비오는 날)이라 짓기도 했지만
화가가 아닌 초보 사진가에게는 흐린 날 보다는 밝고 화사한 날의 사진이 더 나을텐데....하는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다.





훈데르트바서는 건물이나 집을 지을 때 그 안에 자신의 이념과 꿈을 반영하고 싶어 했는데
블루마우 리조트, 슈피텔라우 소각장, 쿤스트하우스빈에서처럼 훈데르트바서의 집들의 창은 하나도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도시에 사는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단독 주택을 지을 수 없어서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에 사는 요즈음, 
남이 설계하고 지은 집으로 이사온 사람들은 획일화된 아파트에서 자신의 존재와 개성을 드러내기는 힘든 일이라서
창문을 에워싼 공간만큼은 스스로 만들 권리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훈데르트바서는 이 권리를 '창문권'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그는 '한 사람이 창에서 팔을 뻗쳐 닿는 범위는 개인의 공간이며 그 공간만큼은 세입자가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다’
라는 문구를 훈데르트바서 하우스 세입자 계약서의 첫 문구에  써넣었다고 한다.





훈데르트바서 하우스의 모든 세입자는 자신의 창문을 알록달록하게 칠할 수도 있고 색색의 타일로 장식하기도 한다.

식물을 키워 이렇게 덩쿨이 드리워지게 창문을 장식할 수도 있고 아름다운 목걸이처럼 사슬을 걸기도 하며
혼자만의 발코니로 로맨틱한 분위기에 젖어볼 수도 있다.





일본에 여행 다녀온 기념품일까....? 이렇게 일본 남자 어린이날의 상징인 고이노보리를 드리워 남들보다 튀어보이는 집도 보인다.




훈데르트바서 하우스의 알록달록한 건물 외벽에
풍성하게 자라나 있는 나무들은 보기만해도 행복한 집이라는 인상을 주기에 충분한데
그가 디자인한 건물은 어디나 지붕과 마당은 물론 계단과 실내에까지 무성한 식물로 넘쳐난다.

 




우리를 보호해주고 살 공간을 제공해 주는 집을 제 3의 피부라고 표현했던 그는

집이 세워짐으로 인해 빼앗겨버린 식물의 생활 공간을 식물에게 돌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인간이 빼앗은 식물의 공간을 건물에다 다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가 디자인한 모든 건물은 옥상과 마당, 계단을 가리지 않고 식물을 심었다.





심겨진 식물은 우리의 삶에 아름다움과 편안함을 주고 인간은 식물로 인해 기쁨이 더욱 넘치게 되는데 
인간은 식물을 통해 그늘을 얻고 좋은 공기를 마시며 먼지와 소음에서 벗어나 편안한 느낌을 받게 된다.



또 자연을 그대로 집의 일부로 들여놓기를 원했던 훈데르트바서는 
풍성한 나무와 함께 꼭 물이 흐르는 분수를 건물에 설치했는데 이제는 겨울이라 기능이 분수의 기능이 중단된 것이 아쉬운 부분이다.

 



오스트리아 사람들은 사유 재산의 개념이 거의 없다고 하는데 그것은 대부분의 시영 아파트가 임대 아파트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임대 아파트는 일정한 거주 기간이 지나면 집을 비워주어야 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엔나의 시영 아파트는 한번 거주한 사람은 평생 그 집을 비우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심지어는 상속도 가능하다고 한다.

그리고 가족 구성원 수에 알맞은 집을 임대할 수 있는데 독신자는 작은 크기의 아파트를 ,
결혼해서 가족의 수가 늘어나면 여러 가족이 살 수 있는 더 큰 아파트를 임대해서 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같은 건물, 같은 면적의 아파트에 산다고 하더라도 개인의 소득에 따라서 임대료가 다르다는 것이 놀라운 점이었다.
다시 말하면 소득이 적은 가장이라도 가족의 수가 많으면 큰 아파트에 살면서 임대료를 적게 내고
소득이 높은 독신자는 작은 아파트에 살면서도 임대료를 많이 내야 한다는 것이다.
재정적인 능력이 부족한 가장이라도 내 가족들이 편히 살 수 있는 공간을 저렴한 임대료로 얻을 수 있다니....!
서민 복지 측면에서 보면 너무나 환상적인 제도가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는 평생 번 돈을 저축해도 서울 소재 아파트 하나 사기 힘든 형편이라
모든 사람들이 집 장만에 혈안이 되어 있지만
이렇게 평생 임대해서 살 수 있는 아파트가 주어진다면 집 장만을 위해 그렇게 아등바등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살아 숨 쉬는 예술 작품인 훈데르트바서 하우스도 정말 좋지만 서민 복지를 위한 오스트리아의 임대 아파트 제도는 정말 부러운 부분이었다.
우니나라에도 이런 제도가 한시바삐 도입되어 우리 서민들의 휘어진 허리가 쭉 펴질 때가 왔으면....
하는 생각을 하며 훈데르트바서하우스를 떠난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