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천년 고도 경주에는 신비한 우물들이 많다. 

천문대로 알려져 있는 첨성대의 모양이 우물을 닮아 있을 뿐 아니라
신라 시조 박혁거세도 '나정'이라는 우물 옆에서 발견되었으며
박혁거세의 부인인 알영도 또한 '알영정'이라는 우물 옆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그리고 오늘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 '재매정(財買井)' 또한 김유신과 관계있는 신비한 우물이다.

644년(선덕여왕 13년)에 소판(蘇判)이 된 김유신은 연달아 여러 차례 백제와의 싸움에 출정했는데, 

싸움터에서 돌아오자마자 가족을 만날 틈도 없이 곧장 다른 싸움터로 보내지는 일이 거듭되었다.
645년에도 백제 7성을 정벌하고 돌아오는데 백제군이 또 매리포성을 공격한다는 급보를 받고 다시 서쪽 국경으로 출정하게 되었다.

마침 장군의 집 앞을 지나가는데 가족들이 문밖에 나와 있었으나 장군은 집 쪽으로 고개도 돌리지 않고 한참 가다가
문득 말을 멈추고 병사를 시켜
집의 재매정(財買井)에 가서 물을 떠오라고 했다.
병사가 급히 재매정의 물을 떠 오자 장군은 그 물을 마시고
“우리 집 물맛은 옛날 그대로구나” 하고 말한 뒤 그대로 말을 몰아 계속하여 가던 길을 다.

이렇게 가족과의 이별을 한탄하지 않고 의연하게 싸움터로 나가는 김유신의 태도를 보고
부하들은 “장군이 저럴진대 어찌 우리들이 이별을 슬퍼하겠는가?” 하며 사기충천하여 전쟁에서 대승했다고 전한다.
 



김유신 장군의 생가터는 월성 서쪽 너른 평지에 위치하고 있는데 당시 금으로 장식한 39채의 금입택(金入宅) 중 하나였다.





현재는 재매정이라는 우물과 드넓은 집터만 남아있을 뿐 생가의 흔적은 어디서도 찾을 수 없어 세월의 허망함을 느끼게 한다.





1993년 발굴조사에서 재매정을 중심으로 사방 70m 지역을 발굴하였고 이곳을 사적 제246호로 지정하였다.





생가터의 우물은 화강암을 벽돌처럼 쌓아 올려 만들었는데 깊이는 약 5.7m이며,
가장 넓은 부분은 1.8m이고, 바닥의 지름이 1.2m로 벽돌같이 다듬은 돌로 만들었다.




우물을 덮은 두개의 화강석 사이로 아래를 보니 바로 아래 우물물이 가득 고여있는 것이 보인다.
비록 지금은 덮개를 덮지 않아 바람에 날린 티끌들이 물 위에 떠 있지만
천사백년전 당시에는 출정하는 김유신 장군의 타는 목을 적셔줄 만큼 충분히 시원한 생수였으리라.
강산이 변하고 변하여 김유신 장군의 생가터는 폐허가 되어버렸지만
장군의 목을 시원하게 축여주던 우물은 아직도 물이 그득하게 고여있어 보는 사람들에게 신비한 느낌마져 들게 한다.




우물 옆에 비각이 있기에 들여다 보니 '신라태대각간개국공김선생유허비'라고 쓰인 비석이 보인다.
이 비석은 조선 고종 9년(1872)에 이만운이 쓴 비석이라고 한다.




세월은 흘러 김유신 장군의 목을 축이던 우물 재매정은 제 구실을 하지 못 하고 있지만
삼국을 통일하기 위해 평생을 바쳤던 김유신 장군의 충절을 지금도 기억하고 있으리라.


Copyright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