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읍성 유적 바로 옆에는 아주 특이한 돌구조물이 있습니다. 바로 청도 석빙고지요.

돌뼈다귀만 남아 있어 마치 로마 유적같이 보이는 석빙고는 처음 보는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는데요.

저 또한 청도 석빙고를 처음 봤을 때 깜짝 놀랐답니다. 

제가 자주 보던 경주 반월성 석빙고는 흙으로 다 덮여 있고 입구 문만 보이는 형태였거든요.





경북 청도군 화양읍 동천리에 있는 청도 석빙고는 지금까지 남아 있는 석빙고 가운데

경주 석빙고(보물 제66호) 다음으로 큰 규모이고 쌓은 연대도 오래 된 것이라고 합니다.





석빙고 입구에는 석비가 서 있는데 앞면에는 공사에 동원된 인원수, 쓰인 자료, 비용 등을 기록해 놓았고

뒷면에는 비를 세운 날짜와 함께 관계된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 놓았어요.

그중에 '계사(癸巳)년'이라는 기록이 있어 조성 숙종 39년(1713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되고 있어요.





청도 석빙고는 양쪽 벽을 이어주던 반원 아치 형태의 홍예가 4군데만 남아 있을 뿐 천정이 무너져 불완전한 상태입니다.

지붕이 무너지고 뼈대만 앙상히 드러나 햇빛과 바람이 수시로 드나드니 석빙고로써의 기능은 상실한지 오래이지만

경주 석빙고와는 달리 안이 훤히 드러나 보이기 때문에 위에서 석빙고의 내부를 자세히 살펴 볼 수 있었어요.





내부는 동,서로 뻗은 긴 직사각형 구조이구요. 서쪽에 출입문이 있어 아래로 내려가는 형태였습니다.

출입구 계단 위에서 보니 아래에 돌로 된 바닥이 보였는데요. 경사가 져서 물이 한쪽으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었어요.

한여름 더위에도 아래로 내려서면 지상과는 달리 상당한 온도차를 느낄 수가 있다고 하더군요.





근처 식당 아주머니는 초등학교 시절에 날씨가 많이 더우면 석빙고 안에 들어가 더위를 피하며 놀다가 

학교를 땡땡이치기도 했다며 석빙고에 얽힌 어릴 적 추억을 신나게 말씀해주시기도 하더군요.

겨울에 강에서 떠온 얼음을 여름까지 보관할 수 있었다는 조상들의 지혜가 실감나는 부분이었습니다.





우리나라 석빙고는 경주, 청도를 비롯하여 창녕, 안동, 현풍, 영산 등에 6기가 남아 있고 북한에는 해주에 1기가 있다고 합니다.

비록 세월의 풍상으로 많이 허물어졌기는 했지만 자손들에게 잘 물려주어야 할 귀중한 우리의 문화 유산,

청도 석빙고는 보물 제32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Copyright 2017.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