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배반 사거리에서 울산 방면 7번 국도로 접어들면
사천왕사지 맞은 편으로 난 이차선 도로가 나온다.

통일전과 산림환경연구소로 가는 이 길로 접어들어 한 300m 정도 가면 다리가 나오는데
화랑교라 이름하는 다리 근처에 차를 세우고 방천 둑에서 주위를 한바퀴 둘러보면
논 가운데 생뚱맞게 자리잡고 있는 소나무숲이 눈에 들어 온다.



이 소나무 숲은 바로 신라 신문왕 5년(685년)에 건립된 사찰 망덕사가 있던 터인데
지금은 절의 주춧돌과 보물69호로 지정된 망덕사 당간지주가 서 있을 뿐이다.




망덕사터를 향해 남천의 둑길을 따라 걸어가다보면 둑 위에 비스듬하게 서 있는 커다란 돌 하나를 만나게 된다.
높이는 1.5m 남짓 되는 자연석에는 '장사 벌지지(長沙 伐知旨)'라 쓰였는데
이곳의 지명인 장사와 벌지지는 신라 충신 박제상과 그의 부인의 애틋한 일화에서 연유한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눌지왕 때의 충신인 박제상은
고구려에 가서 인질로 가 있던 왕의 동생 보해(삼국사기엔 복호라 표기됨)를 구출하고 돌아왔다.
눌지왕은 아우 보해를 만나 매우 기뻤으나 한편으로 왜국(일본)에 인질로 가 있는 다른 아우인
미해(삼국사기엔 미사흔)도 데려오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간절해졌다.
박제상은 미해도 구출하기 위해 곧 왜국으로 떠날 것을 결심하고
집에 들리지도 않고 눌지왕께 하직인사를 하고 바로 왜국으로 출발하였다.

왜국에 도착한 박제상은 계략을 써서 왕의 동생 미해를 왜국에서 탈출시키는데 성공하지만 자신은 붙들리게 된다.
분노에 가득 찬 왜왕은 제상의 발바닥을 벗겨 대나무 위를 걷게 하고 달군 쇠꼬챙이 위에 세우는 등
갖은 고문을 가한 후에 나무에 불을  질러 온몸을 태운 후 목을 베어 죽였다.
박제상이 미해를 탈출시키고 순국하는 이야기는 이전 포스트에 자세히 기술하였으니 확인하시기 바라며...

대마도 어촌에 있는 신라 충신 박제상 순국비



이때 왜국으로 떠나는 박제상이 집 앞을 지나가면서도 들리지 않고 바로 지나쳐 가자
남편을 만나지 못한 부인이 따라가다 지쳐 망덕사 문 남쪽 모래벌에 울부짖으며 길게 누워 버렸으니
서라벌 사람들이 이 모래벌을 긴 장(長), 모래 사(沙) 자를 써 '장사(長沙)'라 불렀다.





사지에 가는 남편을 만나지 못한 절망감에 쓰러져 울부짖는 박제상의 부인을
친척 두 사람이 겨드랑이에 팔을 넣어 잡아 당겨 집으로 데려오려고 했지만
더욱 용을 쓰며 모래땅을 '뻗디디며'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후일에 땅 이름을 '벌지지(伐知旨)'라고 했으니 이는 '다리를 벋디디다'라는 말을 한자음으로 표기한 것이다.
지금은 이 지역을 '양지버들'이라 부르는데 이것 역시 '두 다리 뻗음'이란 뜻이다.



후일 박제상의 부인은 첫째 딸과 셋째 딸을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 왜국 쪽을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죽었는데
그 몸은 돌로 변해 망부석(望夫石)이 되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이 소식을 들은 눌지왕은 크게 슬퍼 하여 박제상에게 대아찬을 추서하고 부인은 국대부인에 봉하였으며
박제상의 둘째 딸을 미해의 아내로 맞이하여 그 은혜를 갚았다.

충신 박제상의 아들은 자비왕 때의 명신 박문량이다.
아첨하는 무리들을 개탄하는 상소를 올리고 벼슬을 버리고 돌아온 그는
천성이 청렴 결백하여 항상 가난 속에서 청빈하게 살며 거문고를 즐겨 탔고
의복은 남루하여 백군데나 기운 누더기옷을 입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그를 '백결 선생'이라고 불렀다.
섣달 그믐날 사방에서 떡방아 소리가 요란한 가운데 곡식이 없어 방아를 찧지 못 하는 아내를 위해서
거문고로 방아 찧는 노래를 지어 위로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왕의 아우를 구하기 위해 자기 목숨을 초개같이 여긴 박제상.
남편과 아버지를 그리며 망부석이 된 박제상의 부인과  딸.
평생을 청빈하게 살며 옷을 백군데나 기워서 입었다는 거문고의 달인 백결 선생.
흔치 않은 한 가족의 충절과 청렴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벌지지에 선 사람들의 마음을 숙연하게 한다.


Copyright 2011.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글이나 사진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장마가 거의 끝나가는건가...?
아침나절 부슬부슬 내리던 비가 서서히 그치더니
주말에 세찬 비가 내리리라는 예보와는 달리 점점 햇살이 뜨거워진다.

후텁지근한 기운에 지쳐 느긋하게 오수를 즐기고 일어나 창 밖을 보니
하늘을 잔뜩 덮고 있던 구름은 불어오는 바람에 실려 빠른 속도로 흐르고 또 흐른다.
춤추는 구름들을 바라보다 나도 모르게 카메라를 챙겨가지고 밖으로 나선다.

너무나 드라마틱한 구름들의 향연은
여름날이 아니면 접하기 힘든 진풍경들이다.
뭉게 뭉게 하얀 구름이, 눈이 시리도록 파아란 하늘이 발목을 붙들어
해가 서산으로 넘어갈 때까지 나는 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


여름에 찍었던 경주의 하늘 사진들을 몇 장 모아 보았습니다.
하늘 사진 많이 찍었던 것 같은데..... 막상 찾으려 하니 다 어디로 갔는지....^^




▶ 돼지 모양의 구름, 너무 귀엽죠?  2009년 8월 @ 경주 연꽃 단지




▶ 접시꽃과 파란 하늘이 잘 어울리던 날,  2008년 8월 @ 경주 동부 사적지구



▶ 경주 시내를 뭉게 구름이 뒤덮었던 날,  2009년 8월 @ 알천 북로에서 본 경주 시가지




▶ 천사의 날개 같지 않나요?  2010년 5월 @ 경주 황성동




▶ 살짝 무섭도록 장엄한 구름이 하늘을 뒤덮은 날, 2009년 8월 @ 경주 알천 남로




▶ 첨성대 위를 흐르는 구름이 너무 예뻤던 날,  2008년 8월 @ 경주 첨성대




▶ 십자가 위에 걸린 하늘이 너무 예뻐서 신호 대기 중에 머리 내밀고 찍었어요.  2010년 5월 @ 경주 황성동




▶ 종말의 날 같이 무섭게 구름이 드리우던 날,  2009년 8월 @ 경주 알천 북로




▶ 저 하얀 구름 타고 어디론지 멀리 멀리 날아가고 싶어요,  2008년 8월 @ 경주 동부 사적지구




▶ 김유신 장군 동상에 뭉게 구름이 걸려 있던 날, 2008년 7월 @ 경주 황성 공원




▶ 요술 구름 춤추던 어느 날,  2009년 7월 @ 경주 알천 구장




▶ 만화에서 폭탄이 빵~! 하고 터질 때 이런 모양이던데...^^  2009년 8월 @ 경주 인왕동




▶ 짖는 개를 닮은 재미있는 구름, 약간 당황하는 표정같지 않나요? , 2008년 8월 @ 경주 남산동




▶ 저팔계 닮은 구름, 콧구멍 발랑거리는 모습이 귀여워요.  2008년 8월 @ 경주 남산동




▶ 뿌리 같이 보이는 죽은 나뭇가지에 걸린 파란 하늘,  2008년 7월 @ 경주 계림




▶ 하늘에서 계시의 말씀이 내려오는 듯 신비한 빛내림.  2008년 8월 @ 경주 알천 남로




▶ 불사조가 날개를 접고 내리는 것 같아요.  2009년 8월 @ 경주 사정동




▶ 경주에서 제일 높은 타워에 양떼 구름이 걸린 날,  2008년 8월 @ 경주 타워




▶ 새털 구름과 황화 코스모스가 함께 춤추던 날,  2009년 8월 @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 드라마틱한 구름이 온통 하늘을 감싸던 2010년 7월 17일 오후 @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 북쪽 하늘도 난리가 났어요.  2010년 7월 17일 @ 경주 분황사




▶ 코스모스길에서 본 가슴 설레이는 하늘,  @ 경주 반월성 황화 코스모스 단지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부석사....처음 그곳을 들렸던 기억은 거의 10 여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행중 여러곳의 사찰을 방문하곤 하지만 부석사 같이 내 마음을 사로잡은 곳은 아직 만나보지 못했다.
빛 바랜 앨범 속 사진 처럼 내 마음 한구석에 아스라이 남아 있던 부석사..
봄이라고는 하지만 아직도 추위가 가셔지지 않은 어느 조용한 날에 다시 찾아본다.


 태백산 부석사라는 현판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면서 부석사로 들어가는 길이 시작된다. 
 

 
 사과밭과 인삼밭 옆으로 길게 늘어선 가로숫길이 무척이나 인상적이다.

 
나목이 늘어서 있는데도 이렇듯 아름다운데 가을에 단풍이 물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기회가 된다면 가을에 다시 찾아와 사진으로 꼭 담아보고 싶다.

 
 천왕문 들어가기 전 왼쪽 편에 당당하게 서 있는 보물  제255호 당간지주가 눈에 뜨인다.
행사가 있을때 사찰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고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고 한다.

 
사진을 찍으며 천천히 걸어가는 필자의 앞을 가방을 멘 여학생이 담담하게 스쳐 지나간다.
갸날프게 생긴 여학생이 홀로 사찰을 찾다니.... 무슨 사연이라도 있는 것일까.....?
천왕문을 향해 걸어가는 여학생의 뒷모습이 어쩐지 고독하게 보인다.


천왕문을 지나 가파른 계단을 한참 올라가니 아...산자락 아래 단아하게 펼쳐진 경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왼쪽에 서서 보니 수려한 산자락 아래 범종루, 안양루, 무량수전이 차례로 펼쳐져 있다. 


경내에서 제일 먼저 방문자를 맞아주는 건물은 범종루인데 이 건물의 전면은 동쪽을 향해 있고 측면이 정면으로 보고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일주문에는 '태백산 부석사'라고 적혀 있는데 범종루에는 태백산의 지맥인 '봉황산 부석사'라고 적혀 있는 것이 눈에 뜨인다.


이름은 범종루이지만 범종은 바로 옆에 있는 신범종각에 걸려 있고 범종각에는 큰 법고와 목어만이 걸려 있다. 


범종각을 지나면 다시 높은 계단 위로 안양루가 그 수려한 자태를 드러낸다.


무량수전 앞마당 긑에 놓인 안양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인데 이 건물은 앞과 뒤에 걸린 편액이 서로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에 걸린 편액은 안양문이라 되어 있고


위층 마당 쪽 편액에는 안양루라고 되어 있으니 하나의 건물에 누각과 문이라는 2중의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안양문을 통하여 위로 바라보니 시선에서 약간 어긋나게 국보 제 17호인 아름다운 석등이 위치하고 있다.
 


연화대 위 8각 화사석 사이로 난 창을 통해서 무량수전이라는 편액이 보인다.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창건한 곳인데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려서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하였으며 1916년에 해체, 수리 공사를 한 건물이다.


건물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우리나라 팔작지붕의 시초인 무량수전은 주심포 기둥이 절묘한 배흘림 기둥인 것으로 유명하다.
배흘림기둥이란 기둥 중간 부분을 약간 튀어나오게 한 기둥인데
중간을 볼록하게 함으로 기둥 머리 부분이 넓어보이는 착시현상을 막아주고
건축물의 무게가 기둥의 중간 부분에 집중된다는 건축 구조 역학을 고려한 것이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이다. 
 

 
무량수전의 왼쪽 뒷편에는 부석사 이름의 유래가 된 부석(浮石)이 있다.
부석은 우리 말로 '뜬 돌'인데 돌이 실제로 떠 있을 수는 없으니 아래 돌과 틈이 벌어져 있는 것이다.

 
이 부석에는 선묘라는 여인의 이야기가 얽혀 있는데 중국 여인인 선묘는 의상대사가 중국에 있을 때 그를 몹시 사모했다.
그러다 의상대사가 고국인 신라로 돌아오게 되자 선묘는 그만 바다에 몸을 던져 죽고 만다.
그 뒤 의상대사가 부석사 자리에 절을 지을 때 이 자리를 도적들이 차지하고 있어 애를 태웠는데
 죽은 선묘의 영이 돌을 띄우는 영험을 보여 도둑들이 도망가게 되어 그 자리에 부석사를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무량수전 동쪽 언덕으로 올라 아래를 보니 안양루, 범종루를 비롯한 사찰 내의 건물들이 아담하게 들어앉은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무량수전 동쪽 언덕 위에도 보물 제249호로 지정된 단아한 석탑이 있는데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이 놓여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1960년 석탑을 해체, 수리했을 때 3층 옥신에 있는 사리구멍에서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단부에서 철제탑, 불상파편, 구슬 등이 수습되었다.

 
3층 석탑을 지나 산기슭을 조금 올라가면 조사당이라는 고려시대의 목조건물이 있다.
국보 제19호인 조사당은 1377년(우왕 3)에 창건되었고 1490년(성종 21)에 중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평면구조는 앞면 3칸, 옆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세부 표현이 간결한 모습이다.


정면 가운데에는 살문을, 그 좌우 옆칸에는 붙박이 살창을 달았는데  파스텔톤의 색감이 아주 아름다운 건물이다. 

 
조사당 전면 처마 아래에서 자라고 있는 선비화(골담초)는 의상대사가 꽂은 지팡이가 자란 것이란 전설이 있는데
심하게 촘촘한 창살 속에서 자라고 있어 그 모습을 확인하고 사진에 담기는 조금 난감한 일이다.
조사당은 부석사 제2의 목조 건물로 고려시대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산에서 내려오며 안양루 아래 펼쳐진 경치를 내려다 보니 맞은편 산과 마을에 저녁 안개가 은은하게 펼쳐져 있다.
안양루에 걸린 김삿갓의 시 '평생에 여가 없어 이름난 곳 못 왔더니 백수가 된 오늘에야 안양루에 올랐구나.
 그림 같은 강산은 동남으로 벌려있고 천지는 부평 같아 밤낮으로 떠 있구나.'를 떠올리며
쉴새 없이 셔터를 누르던 손을 잠시 멈추고 깊은 상념에 빠져들어 본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