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난간'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1.06.03 천년의 애틋한 사랑 지켜온 안강 흥덕왕릉 22


하늘을 향해 쭈욱쭉 뻗어나가는 서양의 잘 생긴 침엽수림과는 달리
우리나라에는 유난히 구불구불 뒤틀리고 굽은 기이한 모습의 소나무들이 많다.

현대판 솔거로 불리우는 배병우 작가의 사진으로 유명한 삼릉의 소나무처럼
무덤을 둘러싼 소나무를 <도래솔>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소나 염소의 고삐에 매단 둥그스름한 고리를 이르는
순 우리말 <도래>의 모양에 빗댄 정겨운 순우리말이다.


천년고도 경주에서도 도래솔이 멋스런 곳은 삼릉과 경애왕릉, 정강왕릉, 헌강왕릉 등인데
그중에서도 절정을 이루는 곳이 바로 안강읍 육통리에 위치한 흥덕왕릉이다.
안강읍을 벗어나 기계 사거리로 향하는 68번 국도를 달리다 보면 왼쪽에 나타나는 표지판, 흥덕왕릉.
눈에 잘 안 뜨여 그냥 스쳐 지나가기 일쑤일 정도로 작은 표지판이다.





도로라기 보다는 농로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좁은 도로를 달려 육통리 마을길을 한참동안 가다가

어느집 뒷마당 같은 골목길을 꺾어 돌아서면 갑자기 거대한 솔숲이 앞을 가로막는다.





문화재 안내판 하나 외롭게 서 있는 것이 고작이지만 솔숲은 한눈에 보아도 예사롭지가 않다.






솔숲으로 올라서보면 하늘을 가릴 듯 빽빽한 수천그루의 도래솔.
키가 작으면서도 이리저리 꼬이고 뒤틀린 흥덕왕릉의 도래솔은 기묘한 느낌마져 들게 한다.





수천그루의 도래솔은 어느 하나 제대로 뻗어 있는 것이 없고
무엇이 그리도 고통스러운지 밑둥치와 몸통뿐만 아니라 가지까지도 심하게 뒤틀리며 괴로워하고 있다.
 




어떤 도래솔은 뿌리는 다르지만 연리목처럼 서로 줄기를 맞대거나 서로 엉키어 있다.

금강송처럼 올곧게 자라서는 서로 만날 수가 없어서 이리도 서로 몸을 부대끼며 천년의 사랑을 이어온 것일까?




 

이곳에 누워있는 신라 제42대 흥덕왕(재위 826∼836년)은 완도에 청해진을 두고 장보고를 대사로 삼아 해상권을 장악하였으며
당나라에서 처음 차(茶)씨를 들여와 지리산에 심게 한 왕이다.




흥덕왕과 그 왕비 장화부인에 얽힌 순애보는 듣는 이의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흥덕왕의 부인 장화부인은 소성왕의 딸이니 흥덕왕에게는 조카가 되는셈인데
흥덕왕은 즉위 2개월 만에 사랑하던 왕비 장화부인을 잃게 된다.

왕비가 죽자 신하들은 왕조의 흥왕을 위해 흥덕왕에게 재혼을 권유해 보았지만
왕은 "앵무새도 짝을 잃고 혼자 슬퍼하다 죽는다"며 재혼을 거부하고 모든 즐거움을 멀리한 삶을 살았다.
그리고 10년 후, 왕비와 합장하라는 유언을 남긴 후 세상을 떠나게 되니
이곳에 왕비와 함께 합장되게 된다.
살아서는 너무나 짧아 안타까운 사랑이었지만 죽어서는 영원히 함께 부르는 천년의 사랑을 이어가게 된 것이다.





신라왕릉 중 유일한 합장묘이고 애틋한 사연이 있어서 그런지 능원은 유달리 포근하고 아늑해 보인다.
삼국유사 왕력편에 "능은 안강 북쪽 비화양에 있는데 왕비 장화부인과 함께 매장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1977년 발굴조사 때 상당수의 비편과 함께 '흥덕'이라 새긴 비의 조각이 나와 흥덕왕릉임이 밝혀졌다.



능의 밑둘레는 65m, 직경 22.2m, 높이는 6.4m이니 비교적 아담한 규모이다. 

둘레에는 호석에 십이지상을 새겼고 그 주위에 2단 돌난간(41개, 높이는 약 1.9m)을 설치했는데 
당시 호석과 십이지상의 변천 과정을 짐작하는데 도움이 된다.




십이지상도 거의 손상이 없이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다.
 




십이지상을 차례대로 소개해드리자면 쥐[子],  소[丑],





범[寅], 토끼[卯],





용[辰], 뱀(巳),
 




말(午), 양(未),




잔나비[申], 닭[酉],
 




개[戌], 돼지[亥]이다.
 



능의 모서리에는 네마리의 돌사자를 세워 능을 보호하게 하였는데



특히 전면 동편 사자상의 목걸이를 자세히 보면 왕(王)자가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무덤 앞 왼쪽에 비석을 세웠는데 지금은 비석을 받쳤던 거북이 모양의 받침돌만 손상된 채 남아 있다.
거대한 받침돌의 크기로 보아 비석의 크기도 상당하였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앞쪽으로는 문인석과 무인석을 각각 2기씩 세웠는데 
신라묘제에서도 문인상과 무인상이 좌우로 완전하게 배치된 곳은 이곳 흥덕왕릉과 괘릉 뿐이다.





동편에 서있는 무인석을 보면 서역인의 모습을 하고있는데
그 당시 당군(唐軍)에 소속된 서역인부대의 용맹성이 알려져서 그 상징으로 서역인을 세웠다는 설이 전해 온다.




서편의 무인석도 역시 서역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




동편 앞쪽에는 문인석이 서 있고




서편에도 역시 문인석이 서 있는데 뒷편으로 구불구불하게 자라거나 쓰러져 자라는 도래솔들은 한폭의 그림이다.





무덤을 둘러싼
도래솔이 서로 몸을 부대끼며 서역인 모습의 무인석과 함께 천년의 사랑을 지켜온 것처럼
무덤 위에도 각가지 야생화들이 지천으로 피었다.
마치 두 사람의 사랑을 지켜보듯이.......


 


살아 이루지 못한 사랑을 죽어서라도 함께 부르려 했던 것일까?
비록 두 사람의 육신은 썩어 한줌의 흙으로 돌아갔을지라도 영혼은 언제까지나 이곳에 머물러 있으리라.
천년을 하루같이......



Copyright 2011.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글이나 사진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