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0.03.26 은밀한 햇살에 몸을 맡긴 밀양 영남루 22
  2. 2010.02.03 경복궁 근정전, 조선을 대표하는 궁궐 28


전도연 송강호가 주연한 영화 '밀양(密陽, Secret Sunshine)'으로 우리에게 이름이 알려지긴 했다지만 
밀양은 그저 경상도 한 구석에 짱 박혀 있는 그런 조그만 소도시에 불과하다.
도시 자체가 그다지 규모가 큰 것도 아니고 시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여전히 나직한 돌담들이 우리를 반기는 곳.
'은밀한 햇살'이란 이름에 어울리는 밀양은 거리를 걷는 사람들의 얼굴 표정조차 온화하다.


밀양이라는 이름을 들으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 중에 하나로 손꼽히는 '영남루(嶺南樓)'이다.


추화산을 등지고 남천강(밀양강) 맑은 물에 그림자를 드리우는 절벽 위에 좌우에 익루를 끼고 날아갈 듯 서있는 누각 영남루.
그 당당하고 날렵한 모습은 주위의 아름다운 경치와 더불어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 불리기에 손색이 없다.


보물 제147호인 영남루는 조선시대 밀양부의 객사인 밀주관에 부속되었던 건물이다.
고려 공민왕(1365년)때 이전에 있던 누각을 철거하고 규모가 큰 누각으로 세워졌는데 임진왜란때는 밀양 객사와 함께 소실되기도 했다.


현재의 건물은 1844년(헌종 10년)에 중건된 것으로 우리나라 조선 후기의 목조 건축물 중 대표적인 걸작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1931년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16경을 선정할 때 영남루가 16경중에 하나로 선정된 것을 미루어 볼 때 수려한 경관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누각의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누의 양옆에는 각각 1채씩 부속 건물이 있는데
본루를 기점으로 좌측에는 침류당(枕流堂)을 우측에는 능파각(凌波閣)을 익루로 거느리는 특이한 형태이다.
특히 침류각과 본 누각 사이를 달월(月)자형의 계단형 통로로 연결하여 건물의 배치와 구성에 특징을 배가시킴으로
 당당하면서도 날렵한, 회화적인 아름다움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는 멋진 누각이다.


특히 기와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래 끝에 부착된 귀면와(鬼面瓦)인데 이것은 조선시대 귀면와 중 걸작품이다.


영남루 전면의 현판 글씨는 추사체의 대가 구한말 송파 하동주의 글이다.


마당 쪽에서 올라가는 계단 위에도 많은 현판들이 붙어 있다.





정면 5칸, 측면 4칸인 중층 누각의 내부 모습은 시원하도록 넓다.
건물의 기둥이 높고, 기둥과 기둥 사이를 넓게 잡아 매우 웅장하고 당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누각의 내부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한 충량과 퇴량은 물론 대형 대들보가 모두 화려한 용신으로 조각되어 있는가 하면


봉황 등 화려한 꽃 무늬가 가득하여 특이한 내부 구조와 함께 하나하나 바라보는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내부의 현판 중 유명한 것은 1843년부터 1844년까지 이 건물을 중수할 당시
이인재 부사의 첫째 아들과 둘째 아들인 이증석, 이현석 형제가 쓴  현판인데 '영남제일루'는 이증석이 11세 때 쓴 글씨이다.


그리고 '영남루'는 이현석이 7세 때 쓴 글씨인데 각각 7세, 11세인 어린아이들이 이렇듯 힘차고 큰 글씨를 썼다니 믿어지지가 않는 일이다.
이 두 현판은 서예가들로부터 불가사의한 필력으로 전해내려 온다고 한다.


그 외에도 누각 안에는 당대 명필가와 대문장가들의 시문 현판들이 즐비하다.




퇴계 이황이 영남루를 예찬하여 쓴 시도 눈에 뜨인다.


누각의 난간에 기대어 아래를 바라보니 눈 앞에 펼쳐지는 보는 남천강(밀양강)의 전경이 너무나 아름답고 눈부시다.


강둑과 둔치의 체육 시설도 한눈에 내려다보이는데, 여름철이면 마루바닥이 비좁을 정도로 누각을 찾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영남루의 맞은 편에는 천진궁이라는 건물이 있는데 역대 왕조의 위패를 모신 건물이다. 


내부에는 단군의 영정과 위패를 비롯해서 부여, 고구려, 가야, 신라, 백제의 시조 위패와 고려 태조, 조선 태조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일제시대에는 일본헌병대가 역대 시조의 위패를 땅에 묻어버리고 건물을 감옥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천진궁은 건축적 가치에 앞서 일제가 조선 왕조의 정통성을 말살하기 위해 감옥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민족의 수난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영남루 마당을 자세히 보면 바닥에 돌들이 도드라지게 올라온 것들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석화(石花)라고 한다.


연한 납석으로 이루어진 석화는 영남루 전체와 부근에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그 형태가 국화꽃 모양으로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비 온 후에는 그 자태가 선명하고 아름다워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자연 유산이다.


영남루를 한바퀴 돌아보고 내려오니 누각 아래 목련이 아름답게 피어 여행자를 반긴다.
은밀한 햇살은 밀양에 먼저 도달하여 꽃샘 추위 속에서도 아름다운 봄을 재촉하였나 보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조선의 법궁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의 원래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여기 1925년의 광화문앞을 찍은 한장의 사진에서 그 당시 광화문 앞 풍경을 짐작할 수 있다.
 

민족의 수난기를 겪으며 일제로 인해 옮겨졌다가  박통 때 헐고 새로 지었다를 반복한 광화문은  2007년부터 다시 완전 해체 복원 공사가 진행 중이라

온전한 경복궁의 모습은 광화문 공사가 다 끝나야 제대로 볼 수 있을 듯 하다. 

광화문이 보수 중이라 현재 경복궁을 찾는 수많은 사람들을 맞이하는 얼굴 역할을 하는 문은 흥례문이다.
흥례문은 광화문 다음으로, 아니 광화문 못잖게 크고 화려하고 웅장한 문인데 사람들은 이 문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흥례문이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것은 지금의 흥례문은 만든 지 15년밖에 안 된 새 문이기 때문이다.

조선을 집어삼킨 일제가 경복궁을 마구잡이로 난도질하는 과정에서 가장 큰 수난을 당했던 문이 바로 흥례문이다.
일제는 1914년 경복궁에서 흥례문을 헐어 없애버렸고, 그 자리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었다.
광화문은 정문이다 보니 옆으로 옮겨버리긴 했어도 놔뒀지만 흥례문은 가차 없이 경복궁에서 도려내버린 것인데
1995년 광복 50주년을 맞아 조선총독부 건물이던 중앙청을 헐어버리면서 흥례문은 제 자리를 찾게 되었다.  

15년 밖에 안 된 흥례문은 건물에 밴 세월의 무게는 덜해도 그 아름다움은 결코 가볍지 않다.
앞에서 봐도 멋있지만 옆에서 보면 더욱 매력적인 건물이다.

 흥례문을 지나들어가면 내문(內門)인 눈 앞에 근정문이 나타난다. 

왼쪽에 보이는 유화문은 신료들이 궐내 각사와 빈청을 드나들던 문이고 금천을 가로지른 영제교 건너편에 근정문이 자리잡고 있다.
근정문에서 의례를 거행할 때는 영제교의 북쪽으로 정2품 이상이 서고, 남쪽으로는 정3품 이하가 자리를 잡았다고....  

  근정문은 왕과 문무백관이 조참(朝參)의식을 행하거나 즉위식이 거행된 곳인데 단종은 근정문에서 즉위를 한 첫 번째 왕이다.   
 왕은 근정문의 가운데 칸에 어좌를 설치하고 남향으로 앉고, 신하들은 흥례문 일곽에 도열하여 임금에게 예를 올렸다.
즉, 근정문은 단지 드나드는 출입문의 역할만을 하는 곳이 아니라 정치적인 활동이 시작되는 곳인 것이다.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正殿)이니 왕이 신하들의 조하를 받거나 공식적인 대례 또는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가운데는 왕도(王道)가 있고 양 옆에는 품계석이 도열해 있는데 동쪽에는 문관, 서쪽에는 무관의 자리이다. 

'근정(勤政)'이란 이름은 '천하의 일은 부지런하면 잘 다스려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정도전이 지은 이름이다.

 근정전은 2단의 높은 월대(月臺) 위에 자리하고 있는데 전면에는 중요 행사를 치룰 수 있는 넓은 마당이 있고, 그 둘레를 행각이 감싸고 있다.
필자도 임금님이 서셨던 월대에 올라  임금님의 시선으로 마당을 내려다 보았다.  

월대 위에 놓인 청동제 정(鼎)에 시선이 간다. 이 무쇠 솥은 실제의 용도보다 왕권의 상징으로 쓰였을 것이라고 한다.  

 전각의 열린 문으로 들여다보니 어좌가 보이고 어좌의 배경인 '일월오봉병'이 뒤에 펼쳐져 있다. 

 일월오봉병은 하늘에 걸려 있는 붉은 해와 흰 달,
다섯 봉우리의 산, 폭포, 소나무, 그리고 파도와 출렁이는 물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그러니까 '일월오봉병'은 임금의 권세를 상징하는 그림인데
조선시대 임금님의 앉은 보좌 뒤에는 빠짐없이 이 일월오봉병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근정전의 너른 바닥에는 방전(方塼)이 깔려 있고 내부에는 궁중 조회 의식에 따른 도승지,도청관들의 자리가 배치되어 있다.

 건물 외부는  2층으로 되어 있으나 건물 내부는 아래,위층 구분 없이 트여 있어 넓고 높다.   

실내에는 청나라에서 선물 받았다는 칠보대향로가 양쪽에 놓여 있는데
근정전의 이미지와 잘 어울리지 않고 좀 생뚱맞은 느낌을 준다.
 

근정전은 새로 보수한지 얼마 안 되어서 그런지 단청의 색깔이 산뜻하고 화려하다.  

근정전 정면 문에서는 잘 안 보이는 천정 용문양이 동쪽 문에서는 보인다는
문화재 해설가 분의 말씀을 듣고 동쪽으로 돌아가 천정을 올려다 보았다. 

 왕권을 상징하는 두 마리의 칠조 황룡이 천정에 돋을새김되어 있었는데  발톱이 일곱인 용이라서 칠조룡이라고 한다고.... 

 동쪽 문을 열고 전각 안을 들여다 본 모습이다.  

필자는 우리 고택의 창호문을 너무 좋아 하는데 

 경복궁 전각들의 문은 더 화려하고 아름답다. 

특히 무쇠를 엿가락 주무르듯 땋아놓은 문고리는 하얀 창호와 어울려 더욱 빛을 발한다. 
 

손가락이 근질거리는 사람은 어디든지 있는 법인지 궁궐 창호문에 구멍을 내어 놓은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창호의 구멍난 부분으로 안을 한번 훔쳐보고 전각 뒤로 돌아가 본다. 
 

전각 뒤의 그늘에는 아직 눈이 채 녹지도 않았는데.....
 조선 시대에 태어 났으면 감히 밟아 보지도 못할 근정전 전각이며 마당을 다 헤집고 돌아 보니 정말 감개가 무량하다.

근정전 월대를 내려서서 왕과 신하들이 정치를 논하던 편전인 사정전으로 향한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