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신성천에서 시작된 물줄기가 안동 길안천으로 합해지는 낙동강의 상류 신성계곡.
하얀 바위 계곡이 신비로운 행성에 온 듯한 백석탄 및 구비구비 비경으로 가득한
신성계곡의 들머리에 날아갈 듯 앉아 있는 정자 방호정을 찾아 떠난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수퍼 옆길로 들어서니 너무나 경악스러운 철제다리가 눈앞을 가로막는다.
예전에 놓여 있던 녹슬고 삐걱거리는 철제궤교도 이곳의 경관과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 그림이었지만
일본에 사는 교포 후손이 건설했다는 이 거대하고 튼튼한 다리는
아름다운 계곡과 절벽 위에 멋스럽게 올라 앉은 방호정을 일시에 시골 유원지 필이 나게 변모시켜버렸다.
산과 물이 휘돌면서 넓게 펼쳐놓은 공간에 앉은 방호정의 경관을 가리고 들어선 철제다리라니!
화가 치밀어 오르기는 하지만 이 다리가 없으면 방호정으로 들어갈 수도 없으니 불평하고 있을 일만은 아니다.


다리 위에서 건너편을 바라 보니 뱀처럼 굽어져 돌아가는 물줄기 속으로
주저 없이 수직 낙하하는 절벽 위에 정자가 날아갈 듯 앉아 있다.


뒷산의 바위줄기가 뻗어내리다 물속으로 뛰어들기 직전에 만들어진 절벽에 그림같은 산수정원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기와 지붕이 참 특이하다. 하나의 건물에 기와기술의 절정이라고 할 수 있는 화려하고 세련된 팔작지붕과
소박함과 절제된 멋이 있는 맞배지붕이 함께 섞여있다.


다리를 건너와 방호정의 옆에 서니 물길을 내려다 보며 바위 위에 우뚝 선 모습이 호탕하고 시원스럽기도 하지만


나뭇잎을 다 떨구어 앙상하게 남은 나뭇가지 사이로 보이는 방호정은 겨울날의 쓸쓸함을 안고 있다.


방호정의 좁은 옆길을 돌아드니 아래는 수직의 절벽으로, 물길이 그대로 내려다 보인다.
철제 난간이 가설되지 않았다면 앞으로 돌아들기가 겁이 날 정도이다.


방호정(方壺亭)은 방호 조준도 선생이 조선 광해군 11년(1619) 때 지은 정자다.
저 앞 멀리에 어머니 권씨의 묘를 모시고 그곳 바라보기 좋도록 바위머리를 터로 삼아 정자를 지었다.
이곳에서는 창석 이준, 동계 조형도, 풍애 권익, 방호 조준도, 하음 신즙 선생 등이 학문을 강론하고 산수를 즐겼다고 한다.
  ㄱ자형의 평면으로 중심부분은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을 놓았고,
꺾여 위치한 부분은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인 팔작지붕을 놓았다.
정자 안에는 방호문집의 판각이 보관되어 있으며, 많은 성현들의 제영현판이 걸려있다.


방호정은 방호정사(方壺精舍)로 불리워야 할 기능도 갖추고 있다.
'정(亭)'은 '놀기나 쉬기 위하여 경치나 전망이 좋은 곳에 지은 정자'라는 뜻을 갖추고 있고
'정사(精舍)'는 '학문을 가르치려고 지은 집'인데 방호정은 숙식을 위한 기숙 공간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학문을 닦고 수양을 하기 위한 공간으로도 그 기능을 잘 갖추고 있다.


방호정 바로 옆의 건물이 방호강당인 것만 봐도 그러하다.
절경의 언덕에 들어선 정자임에도 불구하고 엄숙하고 절제된 학문의 장소로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다.
 


방호정의 주변은 높은 퇴적암의 절벽층을 보여주는 산들로 둘러쌓여 있고
바로 옆에는 은행나무를 비롯한 아름드리 나무들이 자라고 있어 여름이나 가을에는 환상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또 북쪽으로 흘러 흘러 길안천으로 유입되는 물은 방호정 바로 위쪽에서 크게 휘돌면서 상당한 넓이의 퇴적지를 만들고
바로 앞 물길이 휘돌아나가는 곳에는 깊은 소까지 만들어져있어 여름에 물놀이하고 놀기엔 그만이다.


휘돌아드는 강물 위에는 잘 닳은 강돌들이 징검다리처럼 지천으로 쌓여있다.
강물은 얕아서 여기저기 이어져 있는 강돌을 디딤돌 삼아 강물 건너편으로 건너갈 수도 있을 것 같다.


저 멀리 물이 휘돌아드는 곳에는 또 어떤 풍경이 펼쳐질까?
바지를 걷고 강물을 건너 물이 돌아드는 계곡 위로 올라가서 살펴보고 싶은 충동이 들기도 했지만
발길을 돌려 다시 다리를 건너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Copyright 2011.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주왕산을 중심으로 해발 900m가량 깊은 산속에 폭 파묻혀 있는 경북 청송.
아직도 이곳은 속세와는 인연이 먼 듯 때 묻지 않은 천혜의 자연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주왕산 국립공원이나 주산지 같은 아름다운 경치 뿐 아니라
오랫동안 잘 보존해놓은 정자, 고택 등도 많이 만날 수 있는 곳인데
청송군청에서 안동 길안면 쪽으로 914번 도로를 타고 가다 덕천사거리를 지나
 상덕천교에서 마을 앞을 흐르는 개울을 옆으로 끼고 걷다보면
아흔아홉간 고래등 같은 송소고택과 마주치게 된다.




고택 앞 너른 마당에 서니 송소고택의 솟을대문이 위엄있게 여행자를 맞이한다.
홍살문으로 된 대문 윗부분은 복을 비는 의미와 악귀를 쫒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솟을대문  안을 보니 액자 속의 그림처럼 아름다운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송소고택의 대문을 들어서자마자 눈 앞을 가로막는 담장, 바로 '내외담'이다. 
내외담 뒷편으로 왼쪽에는 큰 사랑채, 오른편에는 작은사랑채가 자리잡고 있는데
내외담은 안채를 드나드는 여인네들이 사랑채에 모여 앉은
각양각색의 인물들과 마주치는 거북함을 피하게 하기 위해 'ㄱ'자로 쌓아 올렸다.




사무실로 쓰이는 대문채 앞 향나무 고목 아래
송소고택을 9년간 지키고 있는 삽살개 껌껌이가 해바라기를 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뜨인다.




송소고택(중요민속자료 제250호)은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청송 심씨 심처대의 7대손인 송소 심호택이
1880년경에 지은 집으로  ‘송소세장(松韶世莊)'이라는 택호는 심호택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다.




1880년에 지었으니 130년이 된 송소고택은 아흔아홉칸이 현재까지 고스란히 남아 있는 보기 드문 고택인데
 아흔아홉칸은 조선시대 사가(私家)에서 지을 수 있는 가장 큰 규모의 집이다.




청송 심씨는 조선왕조 500년을 통해 정승 13명, 왕비 4명, 부마 4명을 배출한 명문가로
 고려말에 이름을 얻은 청송심씨로 심덕부와 심원부 형제가 있었는데 
형 심덕부는 조선개국공신으로써 좌의정까지 지냈으며 그의 다섯째 아들 심온의 딸은 세종과 혼인한 소현왕후이다.
 



하지만 아우 심은부는 이성계를 따른 형과는 달리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두문동에 들어가서 두문불출하였고
그 후손들은 청송 일대에 내려와 심은부의 뜻을 받들어 살면서 오랫동안 부를 일구며 살았다.
경주 최부잣집과 함께 영남 2대 부자로 꼽히는 청송 심부잣집은
조선시대엔 주왕산이 청송 심씨의 소유였을 정도로 9대가 내리 만석꾼을 지냈다고 한다.  




조선시대 후기 상류주택의 전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송소고택은 
대문채·안채·별당· 큰사랑채·작은사랑채·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랑공간, 생활공간, 작업공간으로 공간이 잘 구분되어 있는 것이 측징이다.
안채와 큰사랑채 및 작은사랑채는 전체적으로 ㅁ자집 형태이고 각 건물에 독립된 마당이 있는데 마당만 해도 모두 9개다.




고택의 뒤로는 4대 이상의 제사를 모실 수 있는 별묘 등이 자리잡고 있어 민속학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집이다.




고택 뒷편에 자리잡은 별당은 높이 솟은 누마루와 뒷산이 풍경으로 매우 경관이 아름답다. 




시집 안간 딸이 기거하는 별당문은 누가 드나들 때 삐꺽...소리가 나도록 연결 부위를 나무로 만들었고
문닫을 때 문이 헐거워서 소리가 나지 않으면 새로 나무를 깎아 연결 부위를 다시 만들었다고 한다.




 송소고택에서 옆문으로 나가면 또 한채의 고택이 방문자를 맞이하는데 바로 송정고택이다.


 


 
송정(松庭)은 심호택의 차남 심상광을 이름이니 송소고택은 큰집, 송정고택은 작은 집이 되는 셈이다. 
심호택의 4남 중에서도 송정 심상광은도산서원 및 병산서원의 원장을 했을 만큼 학문이 뛰어났다고 한다.



자손들이 청송을 떠나 거의
20여년 정도 방치됐던 고택은 작년 7월에 새롭게 수리를 하고  한옥체험관으로 새로 문을 열었다. 




서울에서 내려온 박경진씨가 장기 임대해 ‘한옥 스테이’를 할 수 있도록 꾸민 이곳은
숙박용 방이 14개 있는데 화장실과 샤워장은 수세식으로 개량했다.




이곳의 숙박객에게는 아침 식사가 제공되며 밤에는 가마솥에 감자를 삶아 먹으며 따스한 아랫목에서 얘기를 나눌 수 있다.




도회지에서 시멘트벽으로 둘러싸인 아파트에서만 생활하던 사람들에게 깊은 산골 고택의 밤은 너무나색다를 것 같다.
창호지 불빛이 새어나오는 툇마루에 앉아 하늘에 총총한 별을 헤며 도란도란 얘기를 나누면 오랫동안 잊지못할 추억으로 남으리라.




이곳에서는 컴퓨터도 TV도 없다.
오로지 대문 옆 은행나무 위에서 까치들이 짖는 소리와 삽살개 짖는 소리가 아침 잠을 깨워줄 뿐이다.




3M 나일론 수세미만 보고 자란 아이들에게 진짜 수세미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여줄 수 있는 곳.
뜰에서 불 피우고 감자와 고구마를 구워 먹으며 툇마루에 앉아 별 보고 삽살개와 놀며
'느리게’ 하루를 보낼 수 있는 곳, 바로 청송 송소고택이다.


Copyright 2011.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가을이 한창 깊어져가는 10월의 마지막 주말,
가을 주왕산을 못본지가 한참 되었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 차에 올라 길을 나섰다.
1시가 넘어 경주에서 출발한지라 주왕산 가까이 오니 벌써 3시.
좀 늦긴 했지만 빨리 걸으면 3폭포 까지는 보고 오겠지....하는 마음으로
서둘러 주왕산으로 꺾어들어가는 삼거리까지 오니 어.....이게 무슨 일!
삼거리 진입로에 경비업체 직원들이 바리케이트를 쳐놓고 차들을 우회시키고 있다.

진입할 수 없다고 차를 돌리던지 주산지 쪽으로 가라고 안내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주왕산 주차장은 물론이고 주차장에서 1km 넘게 떨어진 삼거리까지
셀 수 없이 많은 관광버스로 가득 차서 도저히 진입이 불가능하단다.
이럴 수가....! 전국의 관광버스가 다 주왕산으로 몰려든건가.....?

황당하기 이를 데 없었지만 항의할 상황도 아니라 하는 수 없이 주산지 쪽으로 차를 돌렸다.
하지만 주산지로 가는 길도 마찬가지.....도로가 관광 버스로 가득 차서 주차할 곳은 물론 교행도 힘든 상황이었다.
무슨 행사가 있는 것인지....아니면 단순히 행락객들이 한꺼번에 몰린 것인지는 알 수가 없었지만
우여곡절 끝에 원래 가려고 하던 주왕 계곡 트래킹 코스를 포기하고 그나마 덜 붐비는 절골 계곡으로 향했다.

주왕산은 대구나 경주, 포항에서는 그리 멀지 않은 곳일 뿐 더러
계곡 트래킹 코스는 절경이 펼쳐지는 계곡 옆으로 넓고 평탄한 길이 이어져 있어
편한 운동화나 굽 있는 구두를 신고도 걸을 수 있는 곳이라 그동안 몇번이나 찾아왔었지지만
주왕산 남동쪽에 자리잡은 절골 계곡은 이번이 완전 초행길이다.

처음 찾아보는 절골. 매표소를 지나 좁은 산길을 조금 지나니
이내 계곡에 드리운 다리 뒤로 기암괴석 절경이 드러난다.
산행의 시작부터 만나게 되는 아기자기한 계곡에는 맑고 깨끗한 물이 흐르다 멈추고, 멈추다 흐른다.
양쪽으로 병풍을 둘러친 듯한 기암괴석과 울창한 수림이 어울려 마치 별천지와 같은 분위기를 자아낸다.

휴일이면 수많은 사람들의 발길로 붐비는 주왕 계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절골을 찾는 사람은 적은 편이다.
발길이 뜸하다보니 인위적인 손길이 가해지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서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는 오히려 주왕 계곡에 못지 않다.

가는 가을을 아쉬워 하는 듯 형형색색 잎사귀의 잔치가 벌어지고 있는 절골 계곡.
 비록 설악산이나 내장산처럼 웅장하거나 화려하지는 않아도 
잔잔한 계곡길 사이로 이리저리 건너다니다보면 세상에서 가장 운치있는 풍경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