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부터 부슬부슬 내리던 비가 그쳤는데도 사방이 안개로 자욱하다.
친구와 남산을 올라보기로 약속했는데 가봐...? 말어...? 한참을 망설이다 길을 나선다.
경주에 산지는 한참 되었다지만 등산을 그다지 즐기지 않아던터러 지척에 있는 남산이 미답의 터이다.

 


오늘은 칠불암 쪽으로 남산을 올라보기로 한지라 산 아래에서부터 기분이 설레인다.
통일전과 서출지를 지나 한참 좁은 길로 차를 달려 소나무 숲 사이에 차를 세운다.





비 온 뒤 찾는 산이라 오르는 길목은 더욱 상쾌하고
우후죽순처럼 솟아난 버섯들이 여기저기서 눈에 들어온다.





등에 물기를 한껏 머금은 두꺼비도 사람은 아랑곳하지 않고 유유히 제 갈길을 가는 안개 낀 산 속.





아직 나무 사이의 거미줄도 제대로 걷히지 않은 싱그러운 숲길을 심호흡을 하며 한참을 올라
어둑어둑하게
대숲으로 뒤덮힌 가파른 계단을 헉헉 거리며 올라가니 그 위에 절 같지도 않은 조그만 암자 하나가 나타난다.





새로 지어진지 얼마 되지도 않은 두칸 짜리 암자에는 소나무 내음이 그대로 남아 있다.





조그만 암자가 있는 이곳을 칠불암이라 부르는 까닭은 바로 이곳에 국보 312호로 지정된 칠불암 마애불상군이 있기때문....
통일신라시대 동해로 칩입하는 외적을 불력으로 막기위해
사찰을 짓고 돌에 부처를 새겼다는 칠불암은 오랜 세월 속에 절은 폐사되고 불상만 남아있었다.
이 불상 또한 오랜 세월 동안 칡넝쿨과 대나무숲에 가려있던 것을
80여년전 아랫마을에 살던 황씨 할머니가 산나물을 캐던 도중 찾아내면서 세상밖으로 나오게 됐다.
이 할머니는 아들과 함께 이곳에 작은 암자를 짓고 칠불을 모셨는데 지금 새로 지어진 암자는 세 번째 축성된 것이다.





가파른 산비탈을 평지로 만들기 위해서 동쪽과 북쪽으로 높이 4m 가량되는 돌축대를 쌓아 불단을 만들고
이 위에 사방불을 새겼으며 1.74m의 간격을 두고 뒤쪽의 병풍바위에는 삼존불을 새겼다. 

 



삼존불은 중앙에 여래좌상을 두고 좌우에는 협시보살입상을 배치하였다.





본존불은 왼쪽 어깨에만 살짝 옷을 치고 있으며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땅을 향하게 하고
왼손은 배부분에 대고 화려한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좌·우 협시보살은 크기가 같으며,  역시 온 몸을 부드럽게 휘감고 있는 옷을 입고 있다.





삼존불 모두 당당한 체구이며 조각수법이 뛰어나다.





다른 바위 4면에 새긴 사방불도 화사하게 연꽃이 핀 자리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방향에 따라 손모양을 다르게 하고 있다.





원래 불상이 들어 앉을 공간을 만들고 그 안에 모셨을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도 이곳 주변에서 당시의 구조물을 짐작케 하는 기와조각들이 발견되고 있다.







보살상이 본존을 향하고 있는 것이나 가슴이 길고 다리가 짧게 조각된 것으로 보아
이 칠불은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칠불암의 옛날 모습)





칠불암 마애 석불 위 곧바로 선 절벽에 있는 신선암을 가기 위해 다시 가파른 산길을 오른다.





칠불암까지 오르는 길이 다소 평탄했다면 신선암을 오르는 길은 약간의 난코스이다.





오르다 잠시 쉬며 뒤돌아보니 온통 안개에 휩싸여 산 아래는 보이지도 않는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안개 구름이 남산의 신비함을 한층 더해 주고





산 아래 통일전과 서출지가 자리잡은 남산동조차 자욱한 안개 구름으로 인해 어디가 어디인지 분간하기 힘든다.





가까스로 신선암에 올라 사람 하나 겨우 지나는 벼랑 끝 모퉁이를 돌아서면





거기에 마치 구름 위에 앉아 있는 듯한 마애 보살상이 나타난다.





높이 1.4m의 마애보살반가상은 머리에 삼면보관을 쓰고 있어서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얼굴은 풍만하고 지그시 감은 두 눈은 깊은 생각에 잠긴 모습으로 구름 위의 세계에 있는 듯 하다.
오른손에는 꽃을 잡고 있으며 왼손은 가슴까지 들어 올려서 설법하는 모양을 표현하고 있다. 
옷은 아주 얇아 신체의 굴곡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보이며 옷자락들은 대좌를 덮고 길게 늘어져 있다.





벼랑 끝에 서서 보니 바로 아래의 칠불암이 잡힐 듯 가까워 보이고 건너편 산도 발을 내디디면 단숨에 건너갈 듯 하다.
구름 속의 신선이라도 흉내내고 싶은 것일까?
갑자기 겨드랑이가 간지러워지면서 팔을 들면 날아갈 듯한 묘한 상상에 사로잡힌다.

Copyright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경주 남산을 오르면 살아 있는 신라가 그대로 보인다.
혹자는 남산을 오르지 않고는 경주를 보았다고 말하지 말라고 하는데.....



통일전 방면에서 시작하는 등산 코스를 통해 칠불암을 오른다.




조그만 암자 하나 달랑 있는 이곳을 칠불암이라 부르는 까닭은 바로 이곳에 국보 312호로 지정된 칠불암 마애불상군이 있기때문....
동남쪽으로 향한 큰 바위에 삼존불이 부조로 새겨져 있고

바로 앞에 솟은 사면 바위에 여래상이 한구씩 새겨져 삼존불과 사방불 등 7개의 불상이 새겨져 있다.


관련 상세 포스트 : 경주 남산 7대보물 칠불암 마애조상군과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초보 답사기





마애조상군을 자세히 돌아보고 한숨 돌리며 주위를 돌아보면
좁은 절 마당 울타리에 그림이 그려진 기왓장이 여러장 결쳐져 있는 것이 눈에 들어온다.





단순하게 그려진 그림들과 그림 옆에 쓰여진 영어.
절에 전시된 기왓장 그림에 영어라니.....? 뭔가 어울리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 다소 생뚱맞기까지 한데.......



칠불암 마당에 전시된 이 기왓장 그림들은 이 칠불암에서 몇년간 수행했던 헝가리 출신 외국인 효공 스님이 그린 것이다.

효공 스님은 한국 스님의 알선으로 불법에 귀의하였고 10년전 출가하여 한국에 온지는  8년 정도 되었는데

행자 생활을 거쳐 경기도 어느 승가대학을 졸업하고 칠불암으로 오게 된 것이다.

효공 스님은 한국말에 능통할 뿐 아니라 상냥하고 친절하여 칠불암을 찾는 사람들은 모두들 그녀를 좋아했다고 한다.
늘 카메라를 가지고 사진을 찍고 암자에 올릴 기와에 열심히 그림을 그리던 그녀......

호기심 많은 등산객들이 한국에서의 스님 생활에 후회는 없는지.....고향의 가족들이 그립지 않느냐....이것저것 물으면
부끄러운 듯 고개를 가로저으며 웃기만 하더라는 효공 스님.
모처럼 찾은 칠불암 산행에서 효공 스님이 안 보이기에 물어보니 이제 그녀는 다른 곳으로 수행하러 떠났다고 한다.
그녀는 어디로 갔을까?
효공스님은 칠불암을 떠나고 없지만 그녀가 그린 그림은 지금도 칠불암 마당에 남아 그녀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효공 스님이 남기고 떠난 기왓장 그림을 소개해 올리자면.....







































기왓장 그림들을 한참 들여다보고 있노라니 마치 오랫동안 알고 지낸 사람처럼 그녀가 가깝게 느껴진다.
훗날 남산을 오르다 혹 그녀를 만나게 된다면 웃으며 그녀에게 말을건네보고 싶다.
"어디로 가는가?(Where are we going)?"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