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경북 안동 하회마을.

하회마을을 안 가보신 분은 별로 없을 정도로 이곳은 해마다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 하는 곳이다.

 

하회마을을 느린 걸음으로 천천히 돌아보다가 마을 끝부분에 위치한 솔숲에 이르면

낙동강 건너편에 깎아지른 듯 서 있는 절벽인 부용대가 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압도한다.

부용대의 위용에 취해 한참을 바라보다 보면 부용대 양쪽 숲속에 날아갈 듯 들어앉은 고택들이 눈에 들어온다.

부용대 왼쪽에 있는 고택은 겸암정사, 오른쪽에 있는 고택은 옥연정사와 화천서원인데

오늘은 부용대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옥연정사(玉淵精舍)를 잠시 소개해 드리고자 한다.

 

 

 

 

옥연정사를 방문하는 방법은 두 가지인데 첫번째 방법은 하회마을 나루터에서 나룻배를 타고 들어가는 것이다.

다른 한 방법은 하회마을로 들어가지 않고 풍천면 사무소 맞은편으로 난 도로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안동 풍천면사무소를 지나 광덕교를 건너 바로 좌회전하여 좁은 길로 약500m 정도 가면 된다.

주차장 바로 앞에 있는 류성룡 선생의 형님 류운용 선생의 학덕을 기리기 위한 화천서원을 지나 

강변을 따라 약 100m를 걸어서 들어가면 옥연정사에 이르게 된다.

 

 

 

 

하회마을에서 배를 타고 건너가는 코스를 택하면 옥연정사의 왼쪽으로 난 문인 간죽문으로 들어가게 된다. 

 

 

 

 

간죽문(看竹門). 대나무를 보는 문이라니...... 참으로 낭만적인 이름이 아닐 수 없다.

 

 

 

 

간죽문을 통하여 옥연정사의 마당에 들어서니 담장 아래 하얗게 핀 옥잠화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온다.

 

 

 

 

 

 

 

 

꽃봉오리 모양이 마치 비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의 옥잠화는 향기가 좋아 향수의 원료로도 쓰인다고 하는데

이런 고택의 담장과는 너무나 잘 어울리는 꽃이다.

 

 

 

 

옥연정사(玉淵精舍)는 실학의 대가이자 명재상으로 이름난 서애 류성룡 선생이 거처하던 가옥이다

대가족의 살림과 사당이 있는 종택과는 달리 서애 선생의 학문과 만남의 독립 공간인 옥연정사는 

1576(선조9)에 건축을 시작하였는데 가난하여 집 지을 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을 때

탄홍(誕弘)이란 스님이 그 뜻을 알고 건축을 맡고 재력을 부담하겠다고 자원하여 10년만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집은 대문채와 함께 각각 안채(완심재), 별당(원락재), 사랑채(세심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안채인 완심재는 서애선생을 위해 10년 시주로 이곳을 지어준 탄홍스임이 기거하시던 공간으로

현재는 옥연정사지기 김상철씨 가족들이 기거하고 있다.

 

 

 

 

 

별당채인 원락재는 큰 방 1개와 마루로 이루어진 독채인데 이곳에 서애 선생이 주로 기거하셨다고 한다.

 

 

 

 

밖에서 보면 두개의 방으로 보이는 원락재는 문을 열고 보면 두칸 규모의 방 하나인데 

방 안에는 족자 두개와 이불을 얹을 수 있는 선반만 걸려 있을 뿐 아주 단촐하다.

 

 

 

 

친구의 내방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이 집의 이름을 원락재(遠樂齋)라 하였는데

이것은 논어 중에서 '먼 곳으로부터 벗이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有朋自遠方來不亦樂乎)'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이곳 옥연정사는 고택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원락재와 세심재를 오픈하고 있는데

세심재 한칸의 대여료는 2인 기준 12만원이고 서애 선생이 직접 기거하셨던 원락재 방한칸의 대여료는 2인 기준 20만원이라고 한다.

고택체험료가 다소 높은 가격이긴 하지만 서애 류성룡 선생의 흔적이 남아 있는 원락재에서의 하룻밤은

여느 고택에서 묵는 하룻밤과는 비교가 안 되게 의미가 있을 것 같다.

하물며 담장 너머로 구비구비 흐르는 낙동강과 하회마을이 펼쳐지는 이곳 옥연정사에서의 하룻밤이라면.....

 

1605(선조38) 낙동강에 대홍수가 일어나 하회마을에 있던 살림집을 잃게 되자 

이 방에서 은거하며 임진난을 회고하여 '징비록(국보 132호, 2010년 8월 1일 세계문화유산 등재)'을 저술하였다고 한다. 

 

   

'징비록'의 '징비'는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뜻인데 이책은 임진왜란 7년 동안의 상황을 기록한 책으로

난중일기와 함께 임진왜란의 중요한 사료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책이다. (대한민국 중요민속자료 88. 국보 132호)

 

 

 

 

원락재 왼쪽에 위치한 서당채의 이름은 세심재(洗心齋)이니 마음을 닦고 씻는다는 뜻이다.

 

 

 

 

 세심재는 감록헌 마루를 가운데로 두고 좌우 방 1칸이 있으며 서애 선생께서는 이곳을 서당으로 쓰시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마당 담장 옆에는 분재와 같이 구불구불하게 자란 소나무 한그루가 자라고 있어 눈길을 끈다.

서애 선생이 심으신 나무라고 하니 그 수령이 무려 400년이 넘은 나무이다.

  

 

옥연정사에 가면 언제나 긴 머리를 뒤로 질끈 묶은 옥연정사지기 김상철씨를 만날 수 있다.

충효당(서애선생의 종택) 종손 어른의 허락으로 421년만에 옥연정사의 문을 활짝 열고

징비록의 역사의 현장을 만날 수 있도록 준비한 김상철씨의 이야기는 인간극장 등 각종 매체에서 만날 수 있다.

 

 

 

 

강 건너편 하회마을은 수많은 관광객으로 항상 북적이지만 이곳 옥연정사는 언제나 조용하다.

마을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스스로 외로움을 즐기고 싶었던 것일까?

서애 선생은 호를 서애(西厓:서쪽 벼랑)로 짓고 배를 타고 가지 않으면 접근할 수 없는 벼랑 끝에 집을 지었다.

일상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자신을 돌아보고 임진왜란을 어렵게 치룬 서애 선생의 삶과 생각을 함께 할 수 있는 옥연정사.

조용한 우리 가족만의 휴가를 보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최선의 선택이다.


 Copyright 2013.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 바로 옆에는 회재 이언적 선생의 종갓집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이 종택은 선조 34년인 1601년에 회재 이언적 선생의 손자 휘와 준,순 두 형제가 세운 집이다.
회재 이언적 선생은 중종 33년인 1538년에 청백리에 가자되기도 했는데
청백은 공경지심에서 나온다 하여 후손들은 본 집을 경청재(敬淸齋)라고 이름하였다.

경청재의 사랑채인 독락당(獨樂堂)은 개인 살림집으로는 유일하게 보물 413호로 지정된 집인데
중종 27년인 1532년에 회재 이언적이 벼슬을 그만 두고 내려와 지은 집이니
경청재보다는 사랑채인 독락당이 먼저 지어진 셈이다.

옥산서원을 돌아본 후 경청재 앞에 서니 위엄있게 버티고 있는 솟을삼문의 자태가 너무나 아름답다. 
문 앞에 서있는 아름드리 벚나무는 이제 막 꽃 피울 준비를 마쳤다.
열흘만 늦게 왔더라면 솟을삼문 앞에 드리워진 벚꽃의 아름다운 자태를 담아올 수 있었을텐데......

경청재의 솟을삼문을 지나 독락당으로 향하는 좁은 돌담길은 신비함마져 감돈다.
황토와 기와, 돌을 이용해서 지은 돌담과 돌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 바닥,
그리고 담장을 뚫고 비스듬히 자란 나무등걸.....모두가 그대로 자연의 일부분이다.

문이 닫긴 종택의 안마당에는 샛노란 산수유가 흐드러지게 피어있어 찾아오는 이를 반긴다.
이 종택은 지금도 이언적 선생의 후손들이 기거하는 곳인지라
안으로 들어가 종택의 여기저기를 상세하게 살펴볼 수 없는 점이 너무 아쉽다.
독락당으로 향하는 돌담길과 바로 옆 계곡 만이 개방되어 있어 찾는 이들이 돌아볼 수 있을 뿐이다.

고택 안에 산수유가 흐드러지게 피었는데도 안으로 들어가서 살펴볼 수 없는 서운함에
까치발을 하고 담장 너머로 팔을 길게 뻗어 찍은 산수유 사진 몇장과 함께 경청재의 봄소식을 전해 드린다.


























Copyright 2011.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글이나 사진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조선 성리학의 큰 줄기 영남학파의 거두 김종직 선생이 태어난 고장, 밀양.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고장 밀양은 가는 곳마다 역사의 향기가 고스란히 배어나오는 고택이 즐비하다.



이 밀양에는 두 손씨 가문이 있는데 밀양 손씨(밀성 손씨)와 일직 손씨가 그들이다.
그중에서도 향교가 있는 마을 교동(校洞) 주위에는 손병순씨 고가, 손병준씨 고가, 손정식씨 고가 등 30여채의 고택이 밀집해 있다.



마을 고택 중은 특히 눈에 뜨이는 고택은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161호인 '밀양 교동 손씨 고가'이다.
일명 만석꾼 집으로 알려져 있는 교동 손씨 고가는 택지가 무려 1,000평이 넘는 규모인데
안채, 사랑채, 중문간채, 아래층, 사당채, 대문간채, 중문간채, 중사랑채 등으로 구성된 99칸의 큰 주택이다.



동편에 ㄱ자로 자리잡은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왼편에 큰 사랑채가 있고 그 맞은편 중문을 지나면 작은 사랑채가 있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의 행랑 마당으로 진입하는 문과, 우측에 사랑 마당으로 진입하는 문이 있으며 우측으로 진입하면 ㄱ자형의 화려한 사랑채가 위치하고 있다. 



이집은 숙종 때 학자인 손성증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큰 사랑채는 손영돈이 1900년경에 근대공법을 원용하여 특색 있는 건물로 지었다.

사랑채의 누마루 하부를 벽돌로 쌓아 여느 누마루보다 무거운 느낌이 들기는 하지만 대신 화려한 느낌을 더해주고 있다.
1935년 불이 나 정침과 사랑채를 제외한 모든 건물이 불에 탔으며 여러 해를 두고 지금과 같이 재건하였다.



창호문 대신 유리문을 끼워 화려함을 더한 사랑채 입구에는 몽맹헌(夢孟軒) 이라는 편액이 걸려있어 눈길을 끈다.




이집은 건물의 수도 많고 배치 형태도 마당을 중심으로 안채와 사랑채 등 내외 생활공간을 분명하게 구분해 놓은 집인데
왼쪽에는 안채를 중심으로 전면과 측면에 창고·행랑방·찬간 등이 있는 별채가 ㅁ자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 왼쪽 뒤 높은 곳에는 사당으로 통하는 문이 있는데 역시 자물쇠로 잠겨 있다.



밀양 교동
손씨 고가는 현재 '열두대문'이라는 한식집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밀성 손씨 11대손인 손중배씨가 운영하고 있다.
열두대문이란 식당의 이름은 과거 이집의 대문 수가 열두개였다는데서 따온것인데
필자도 이왕이면 열두대문집에서 밀양 고택의 전통 밥상을 마주하고 싶었으나
반드시 예약손님만 받는 이집의 방침 때문에 아쉬운 발걸음으로 돌아서야만 했다.



이 교동에는 열두대문집 말고도 손병순씨 고가, 손병준씨 고가, 손정식씨 고가를 비롯해서 비슷한 규모의 고택이 많으니
시간이 허락하면 다른 가옥도 돌아보면 조선 후기 가옥 형태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을을 한바퀴 돌아본 후엔 언덕 위에 자리잡은 향교의 누각 풍화루에 올라 교동 전체를 느긋하게 바라보며 
밀양의 '은밀한 햇살'을 느껴본다면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예년에 없던 강추위와 폭설로 인하여 어깨가 움츠려들기만 했던 이번 겨울

언제나 봄이 올까..... 먼먼 훗날의 일 같더니 
매서운 날씨 속에서도 어김없이 2월이 오고
봄의 시작을 알려주는 '입춘'이 우리 앞으로 성큼 다가 왔다.

우리네 풍속에는 해마다 입춘이 되면 새 봄을 맞이하는 마음으로 입춘을 맞이하는 글을 써붙이는데
대궐에서는 신하들이 지은 '춘첩자(春帖子)'를 붙이고 민간에서는 '춘련(春聯)'을 붙였다.

이를 입춘서(立春書), 또는 입춘방(立春榜)이라고도 부른다.




특히 양반 집안에서는 손수 새로운 글귀를 짓거나 옛사람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춘련을 써서 봄을 축하하는데
이것을 '춘축(春祝)'이라 하고  
댓구를 맞추어 두 구절씩 쓴 춘련을 '대련(對聯)'이라 불렀다.



이 춘련들은 집안의 기둥이나 대문, 문설주 등에 두루 붙이게 되는데

한번 붙인 입춘서는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그 다음해 입춘이 되면 전에 붙인 입춘서 위에 덧붙이는 것이 관례라고 한다.

그리고 입춘서는 붙이는 시간이 중요한데 2015년 입춘은 1258분이므로

그 시간에 맞춰 붙여야 한다고 한다.

입춘을 맞이하여 안동 소재 고택의 문설주에 붙은 입춘서들을 몇 가지 소개해 드린다. 

 


대련에 가장 많이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다.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란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고
새해가 시작됨에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이다.




여기에 쓰인'건양'이란 19세기 말 고종 즉위 33년부터
다음해 7월까지 쓰인 고종 황제의 연호(1896∼1897)를 말한다.



 

  그 외 많이 쓰는 대련으로는  '수여산(壽如山) 부여해(富如海)'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지기를 바랍니다)와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백복래(開門百福來)'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기를 바랍니다) 등이 있다.
 


그 당시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뜻에서 집집마다 '건양다경'을 써서 붙였다고 한다.

퇴계 이황 고택 솟을 대문 양쪽에는  '
봉천리(奉天理) 계오생(啓吾生)'이란 대련이 붙어 있다.
 


이는 '하늘의 이치를 받들어 나의 생을 깨우친다'는 뜻이다.

 


퇴계 이황 고택의 안채에도 여러 종류의 대련이 붙어 있는데
오른쪽의 '가금불상(呵禁不祥)'은 '불길한 것을 꾸짖어 금한다'는 뜻이고
왼쪽의 '신다(神茶)'는 '울루(鬱壘)' 와 짝을 이루는 대련으로써
신다와 울루, 이 두 신은 귀신들이 다니는 문의 양쪽에 서서 모든 귀신을 검열하는데
남을 해치는 귀신이 있으면, 갈대로 꼰 새끼로 묶어 호랑이에게 먹인다고 믿는다.
 


 
조선 때 천문, 지리, 측후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에서는
붉은 물감으로 귀신을 쫓는 글인 '신다울루(神茶鬱壘)'를 써서 궁중의 문설주에 붙여 두었다고 한다.
 


'문신호령(門神戶靈)'은 문의 신과 집의 영이란 뜻이다.
 


'문신호령(門神戶靈) 가금불상(呵噤不祥)'은 문의 신과 집의 영이 지키고 있으니 불길한 것을 꾸짖어 금한다는 뜻.
 


'정자계자(正自啓自)'는
'스스로 바르게 함으로 자신을 깨우쳐라'....
 


 
'화복무문(禍福無門) 유인소소(唯人所召)' ....이 두 귀절이 보통 짝을 이루는 대련인데
'화와 복은 들어오는 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사람이 불러오는 것'이란 뜻...
사자소학 수신편에 있는 글귀이다. 



'육오배헌남산수(六鰲拜獻南山壽) 구룡재수사해진(九龍載輸四海珍)'.
이름있는 고택도 아닌 안동의 어느 평범한 골목집 기둥에 붙어 있던 입춘서도 눈길을 끈다.

'육오배헌남산수(六鰲拜獻南山壽)'는 여섯 자라가 절하며 남산의 장수를 집주인에 바쳐주며


  
'구룡재수사해진(九龍載輸四海珍)'은
아홉용이 사해의 보배를 실어와서 자기 집에 가져다 주기를 기원하는 입춘서이다. .
.

예전에 한옥에 살 때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쯤이야 누구나 써서 문설주에 붙였다지만
아파트식 주거에 익숙해 진 지금은 입춘서를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새 봄엔 입춘서에 쓰인 글귀들 처럼 세파에 찌들어 힘든 우리네 가슴에
좋은 일만 가득했으면 좋을텐데......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듯 산 높고 물 맑은 경북 청도에는 유달리 고택과 누각이 많다. 
운강 고택,  만화정, 섬암고택 등의 오래 된  가옥들이 연이어 있어서 마치 한옥 마을에 온 듯 하다.
그 중에서도 유난히 눈길을 끄는 가옥은 '내시 고택'이라고 불리는 '임당리 김씨 고택'이다.

이 고택은 궁중 내시로 정 3품 통정대부까지 올랐던 김일준(1863~1945)이 낙향하여 지은 집인데
이 가문은 임진왜란 전부터 16대 400여 년을 내시 가계로 이어져 온 가문이다.  

그 집에 살았던 사람들에 대한 호기심 때문인지 이 고택은 방문하는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데
건물 구조도 일반 반가의 주택과는 다른 특성이 있어 내시 주택 연구에 귀한 자료가 된다.





고택은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 마을 중앙에 있어서 처음 오는 사람은 찾기가 힘들다. 
눈에 잘 뜨일 듯 말 듯한 안내판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개천 위에 시멘트 다리가 있는데
이 다리를 건너 한참 걸어 들어가면 솟을 대문의 고택이 나타난다. 





솟을 대문 앞에 다다르니 헉......자물쇠로 문이 굳게 닫혀 있다.
평소에도 문을 잠궈 놓는지 ......아니면 관리인이 어디 출타를 한건지 한참을 서성거려도 도무지 문이 열릴 생각을 않는다.





키 높이 정도 되는 담장으로 인해 고택은 외부인들에게 그 속살을 쉽게 보여 주지 않았다.
그래서 할 수 없이 기자들이 쓰는 방법처럼 카메라를 한쪽 손에 들고 담장 안쪽을 향해 팔을 길게 뻗어 셔터를 마구 눌렀다.
카메라를 내려 모니터로 확인해 보니 담장 안의 풍경이 찍혔긴 한데 건물은 삐뚤빼뚤.... 수평도 맞지 않고 앵글에 제대로 담기지도 않는다.

수십번 실패를 거듭하니 요령이 생겨서 나중에는 기울어지지 않은 사진 몇 장을 건질 수가 있었고
사진으로나마 내시 고택의 내부를 일부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 가옥은 안채, 중 사랑채, 큰 고방채, 작은 고방채, 큰 사랑채, 사당, 대문채 등 7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구조로 보아 19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채의 출입을 잘 살필 수 있게 사랑채가 배치된 점이 이 건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랑채란 집의 남자 주인이 머물며 손님들을 접대하는 곳이라 안채와 대면을 피하는게 상례라
대부분의 집에서는 사랑채와 안채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자성
을 인정해 주는 구조인데 이 가옥의 경우는 예외이다. 
 

이 집은 작은 사랑채와 큰 사랑채, 두 사랑채가 대문을 바라 볼 수 있도록 위치해 있으며
작은 사랑채
중문을 통과 해야만 안채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거기다가 작은사랑채 판벽에는 안채로 드나드는 사람들을 감시,관찰하기 위하여  ♡♡♡ 모양의 구멍을 뚫어 놓았다.
사랑채에 앉아 외간 남자의 출입이 있는지.....안주인이 어디를 가는지....하나 하나 감시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성적인 능력을 잃어버린 바깥 주인으로서는 아내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지 않고는 마음이 편치 않았으리라..





실제로 내시 가계 부인들은 토담으로 철저히 폐쇄된 안채에서 
친정 부모의 사망 때만 바깥출입이 허용될 정도로 폐쇄적인 생활을 했다고 한다.


  

대문 오른편에는 자그마한 연당이 있고 연당 남쪽에는 널찍한 빈터가 있는데 

사랑채 주위에도 빈 공간이 많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옛날에는 현존하는 건물 외에도 다른 건물들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이 집은 해방 후에도 지금 보다는 훨씬 집터가 넓고 건물도 많았다고 하는데

그동안 후손들이 땅을 많이 팔아 지금의 형상이 되었다고 한다. 


마을 주위에 전답이 많아 천석꾼으로 불리었던 김일준은 인심도 후했다고 전해 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환관(宦官)의 기원이 상고 시대 은나라 때까지 올라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흥덕왕 때의 기록에서 이미 궁중에 환관을 두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내시와 환
관의 개념을 같이 사용하지만 본래 내시와 환관의 개념은 달랐고 고려 때 까지만 해도 내시와 환관은 구분됐다.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나 주자학의 태두인 안향 등도 본래 왕실
사무를 담당하는 관리인 내시로 일했다는데
고려 말 환관들이 내시직을 독차지 하게
되면서 내시가 환관의 대명사처럼 된 것이다.

환관의 형태를 보면 태어날 때부터 선천적으로 고자가 된 사람이 있기도 하지만
부모 혹은 친인척에 의해 거세를 당하거나 스스로 거세를 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빈곤한 가정 경제를 면하고 환관이 되어 부귀 영화를 누리기 위해서다.
또 지방 관료의 가혹한 수렴과 부역을 피하고 군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거세하는 경우도 있었다. 

고종을 모셨던 16대 김일준이 왜 환관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조선시대 환관의 최고 벼슬은 종 2품인걸로 보아
김일준이 얻은 정 3품 통정대부 직첩은 막강한 권력과 부를 함께 누리는 자리란걸 알 수 있다.

임당 고택의 가계는 17대 김문선(1881-1953)에 이르러서는 직첩만 받았을 뿐 내시 생활을 하지 않았고
조선왕조의 멸망과 함께 내시 생활도 더 이상 이어지지 않았고 18대 이후
로는 혈통에 의한 가족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한다.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외부인의 출입을 허락하지 않았던 내시 고택.
고택 안에 살던 바깥 주인과 안주인이 인내해야 했던 한 많은 세월을 생각하니 고택을 떠나는 나그네의 심정도 편치가 않았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포근하고 화사한 봄날 오후에

한국판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표본으로 알려진 '경주 최부잣집'을 찾아보았다.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란 '프랑스어로 '귀족의 의무'란 말..

보통 부와 권력, 명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함께 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는데

사회지도층은 사회에 대한 책임이나 국민의 의무를 모범적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뜻이다. 

 

 "부자가 3대를 넘기기 힘들다(富不三代)"란 말이 있지만 경주 최부잣집의 경우엔 예외이다. 


12대 만석지기의 시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전공을 세우고 전사한 정무공 최진립이다.

 청백리로 유명한 최진립은 지극히 검소해 300년 부의 토대를 닦았는데 

최국선을 비롯한 후손들은 최초로 관개시설을 만들어 이앙법을 도입하고 원성의 대상인 마름을 없앴다.

또 만석 이상이 수확되면 나머지를 되돌려주는 나눔의 경영 철학을 실천해

소작농들이 스스로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자본주의 경제를 정착시켰다.



12대 300년 이상을 만석꾼으로 일가를 이룬 경주 최부잣집의 300년 이상을 이어온 <가훈>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큰 교훈을 준다.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말아라.(큰 벼슬을 하면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큰 화를 당할 수도 있다)

재산을 모으되 만석 이상은 모으지 말아라.(지나친 욕심은 화를 부른다)

나그네에게는 후하게 대접하라.(신분 직위 고하를 막론하고 집에 온 손님은 융숭하게 대접하라)

흉년에는 남의 논밭을 사지 마라.(남들이 어려울 때 재산을 모으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가문의 며느리 들이 시집오면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가난을 체험해 보아서 어려운 사람을 이해해라)

사방 백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가진 자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 



 월성을 끼고 흐르는 남천 옆 양지바른 교동에 자리잡은 최씨 고택을 돌아본다. 

최씨 고택은 경주 최씨의 종가로 1700년 경에 건립된 집이다.  

 이 고택은 조선 시대 양반집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그 가치를 높이 인정받고 있는데  


 원래는 99칸이었던 이 집은 현재 대문채,사랑채,안채,사당,고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와 별당은 1970년에 불타서 주춧돌만 남은 채로 오래 방치되었는데 


 근래에 옛 모습 그대로 사랑채를 복원하였다. 


 하인들이 기거하던 곳은 대문채이고 


 대문채 옆 텃밭에서 마주 보이는 곳은 안채이며 오른쪽이 유명한 최부잣집의 고방이다.


최부자집의 상징과도 같은 거대한 고방... 

 소작농들에게서 거둔 볏섬을 차곡차곡 쌓아두던 고방은 크기도 크거니와 건물의 높이도 엄청 높다.


 이 고방의 열쇠는 마님 만이 가지고 있었겠지만

지금은 비어 있어 자물쇠로 잠글 필도 없다. 


 안채는 ㅁ자 모양이고 지금 관리인이 거주하고 있는 듯 하다.


 안채 앞의 절구에는 오랜 세월을 거쳐간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다.

 

 사당은 사랑채와 서당으로 이용된 별당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적 깊이를 느끼게 한다. 

 사실 이 집 뿐 아니라 입구 오른 쪽에 있는 요석궁(현재 음식점)을 비롯하여

이 일대에 있는 모든 집이 다 최부자의 집이다.


 만석 지기 최부자집의 일년 소작 수입은 삼천석이었다고 하는데

그 중 일천석은  집 안에서 쓰고 일천석은 과객을 접대하는데에,

나머지 일천석은 주변의 어려운 사람을 돕는데에 썼다고 한다.

쌀 일천석이라면 당시의 경제 규모로선 엄청난 액수라고 할 수 있다.

 최부자집에 과객이 많을 때엔 일백명이 넘었다고 하는데

집 안에 다 수용을 못해 최부자집 주변의 집으로 과객을 보낼 땐

반드시 과메기와 쌀을 같이 보내 손님을 대접할 수 있게 해주었고

과객들이 떠날 때엔 과메기와 하루 양식,노잣돈까지 챙겨서 보냈다고 한다. 


 최부자집의 과객 대접이 융숭하다는 소문은 경상도,전라도 뿐 아니라

이북 지역까지 널리 퍼졌다고....


이런 만석 지기 재산은 12대에 끝나게 된다.

하지만 자녀들이 허랑방탕하여 재산을 탕진한 것이 아니다. 


1884년 경주에서 태어난 마지막 최부자인 최준은 임시정부에 평생 자금을 지원한 독립운동가였다.

독립운동 사실이 왜경에게 발각되어 만석꾼 재산을 거의 날려버린 최준은

남은 전 재산과 살고 있던 경주 및 대구의 집까지 처분하여

대구대학과 계림학숙을 세웠는데 이 두 학교가 합해져서 후일 영남대학교가 되었다. 

 

최씨 고택을 방문하는 이들은 한결같은 감동을 받고 나서게 된다. 


  '부불 삼대(富不三代)'라고 부자가 3대를 이어가기 힘든 세상에

12대를 부를 누린 최부자집의 가훈에서 받은 교훈보다 더 나를 감동시켰던 것은

그렇게 지켜 온 재산을 아낌없이 사회에 환원시켰던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정신이다.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300년간 묵묵히 실천해 온 최부잣집의 교훈을 본받는

재벌이나 지도자들이 이 시대에도 많이 나타나 주길 바라면서 최씨 고택의 문을 나선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