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많던 여중생 시절, 단짝 친구와 재잘거리며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습관처럼 그 앞을 지나다니던 대구 계산동 성당.

호기심에 성당 문을 살며시 밀고 안을 훔쳐 보던 기억이 불현듯 떠오른다.



 


하늘을 찌르듯이 솟아있던 성당의 높은 첨탑, 하얀 미사포를 곱게 쓰고 미사를 드리던 여자들,


무릎을 꿇고 다소곳이 기도하던 긴 머리 아가씨의 모습도 바로 엊그제 일인양 생각나는데....






대구 나들이길에 어릴 적 추억이 깃든 계산성당을 오랜만에 다시 찾아보았다.





담장허물기 운동으로 사라진 담장 둘레에 새롭게 만든 화단엔

금강소나무, 배롱나무, 화살나무, 철쭉 등이 심겨져
예전보다 더 멋진 경관을 연출하고 있는데




건물은 108년이나 된 역사가 무색하리만큼 깨끗하여 돌아보는 사람들을 감동하게 한다. 
 
 
 

 

성당의 문을 밀고 들어서니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문 기념 성수대가 찾는 이들을 맞이한다.




 
내부 장식은 간결하고 깔끔하며 화려함보다는 소박한 느낌이 앞선다.
 

 
양쪽 벽에 늘어선 스테인드 글라스는 성당의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켜주는데

성인들의 모습을 새긴 스테인드글라스 중에는 한복 차림의 성인도 눈에 많이 뜨인다.




갓을 쓰거나 사모관대를 한 이들 성인들은

서상돈, 김종학, 정규옥
등 초기 대구 천주교 신자들의 모습이다. 

 계산 성당의 역사는 188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신나무골, 세방골에서 에배를 드리다가

1886년에는 대어벌(현 인교동)에 있던 정규옥 승지의 집을 임시 성당으로 사용했다.

당시 정규옥 승지의 집은 관청이 아닌 건물로는 대구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


1899년, 한국식 십자형 목조 성당으로 지어진 본당의 축성식은 성탄절에 거행되었는데

사방에서 축성식을 구경하기 위해 신자와 비신자들이 구름 같이 모여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강력한 지진이 대구 지역을 휩쓸었던 1901년 2월 4일,

제대 위에 올려둔 촛대가 진동으로 쓰러져 제대보와 양탄자에 옮겨 붙으면서

화재가 일어나 이 아름다운 목조 성당은 전소되는 참변을 맞게 된다.


한국형 성당을 화재로 잃게 되자 그 위치에 현재의 벽돌로 된 서양식 성당을 세우게 되는데


설계는 프랑스 선교사가, 건축은 명동성당을 지었던 중국인 건축 기술자들이 담당했다.

 벽돌을 굽는 기술이 우리나라엔 없었던지라 중국인들이 벽돌 공장을 새로 새워 건축을 했으며 

국내에서 구하지 못하는 건축 자재는 프랑스와 홍콩 등지에서 조달했는데.

스테인드글라스는 열차로 블라디보스톡을 경유해서 대구로 우송되기까지 했다.


1902년 12월 3일 첫미사를 드린 후 1903년 11월 1일 열린 성당  축성식에는 영호남지역 선교사들이 대부분 참석하였고,
 
사방 2백리 안에 있는 수많은 신자들이 축성식에 참여하려고 대구로 모여 들었다.

이 축성식에는 인근 주민들이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몰려오고,

대구 감사와 지역 유지들도 초대에 응해서 대구 전체의 축제날과 같았다고 한다.




대구에선 전래가 없었던 웅장한 고딕식 건물을 보는 사람들은 모두가 입을 다물지 못했다고 한다.

지금도 보면 너무나 잘 튼튼하게 서 있어서 성당 건물을 보면 감탄이 절로 나오는데

기와집과 초가집 밖에 없던 시절에 이렇듯 웅장한 건물을 지었다니.....정말 놀랍기만 하다.


이 성당 건물은 대구에서는 처음으로 건축된 서양식 건물이고 서울, 평양에 이어 세번째로 지어진 고딕식 성당이다.

경상도 지역을 통틀어 가장 오래 된 이 성당은 현재 사적 290호로 지정되었다.

이 성당에서 시인 이상화가 영감을 얻어 그의 시 '나의 침실로'를 지었으며

1950년 12월에
박정희 전 대통령이 육영수 여사와 이 곳에서 결혼식을 올리기도 했다.

당시 경북지사가 주례사를 했는데 "신랑 육영수군과 신부 박정희양은..."했다는 일화는

대구사람이면 대부분 다 알고 있는 유명한 일화이다.






계산 성당 주변 일대에는 우리나라 근대 문화 유적이 많이 자리잡고 있는데 

바로 옆 뽕나무 골목 안에는 이상화 고택, 서상돈 고택이 자리잡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대구의 중심이었던 종로, 약전골목, 진골목들을 돌아볼 수 있다.



 

또 계산성당과 마주 보는 언덕은 바로 가곡 '사우(思友)'의 배경이 된 '청라언덕'인데

이곳에는 102년 역사의 대구제일교회를 비롯하여

초창기 의료 선교를 담당했던 선교사 주택이 박물관으로 남아 있어서

대구의 근대 문화 거리를 돌아보는 골목 투어의 기점이 된다.


108년의 세월 동안 한결같이 제 자리에 서 있는 계산성당.


오늘도 여전히 대구의 근대 역사를 알려주는 랜드마크가 되고 있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주거 문화가 아파트 거주 형태로 바뀌고 도심에는 고층 건물들이 우후 죽순으로 들어선 현대인의 삶에서
옛날부터 우리 삶의 본질적인 자산을 그대로 담고 있던 '골목'은 사람들에게 소외받는 길이 되었다.
좁은 골목길은 늘어난 자동차를 위해 폭이 확대되긴 했지만
주차된 자동차를 피해 다니며 걸어야 하는 불편한 길이 되었는데.....

대구의 도심에는 아직도 저마다의 독특한 색깔을 가지고 있는 정겨운 '골목'들이 남아 있다.
진 골목(긴 골목), 약전 골목, 떡전 골목, 방마치 골목(부잣집이 많아서 항상 다듬 방망이 소리가 그치지 않는 골목),
뽕나무 골목, 종로 골목, 미싱 골목, 돼지 골목, 함석 골목, 성밖 골목, 신발 골목, 공구 골목, 자동차 골목, 오토바이 골목,  ......
이러한 도심의 골목이야말로 대구의 근대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다른 지역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대구의 골목 중 오늘은 한약 내음 가득한 대구 명물 '약전 골목'을 소개해 드린다.




대구 약전 골목은 1908년 대구 성곽과 영남 제1관문이 헐린 자리에 도로가 생기고 이곳을 중심으로 약령시가 봄,가을로 열려 상가가 형성된 곳이다. 



약전 골목은 동성로 3가, 남성로, 계산동, 장관동 일대의 동서 800 m 정도의 골목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곳에는 한의원 20 여개소와 한약방 53 개소, 한약 도매업소 49 개소, 약업사, 인삼사 등 한의약 관련 업소 300 여개소가 모여 있는 이른바 한약의 메카이다.



대구 약전 골목의 시작은 효종 9년(165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경상 감영 안 객사 주변에서 열리던 대구 약령시로부터 비롯됐다.



약초를 취급하는 특수 시장을 이르는 이름인 약령시는 약초의 채취 및 출하의 시기에 맞추어서 해마다 봄 , 가을 두 차례 열렸는데  대구 ·전주 ·원주의 약령시가 3대 시장으로 꼽혔다.



효종 때부터 열리기 시작한 약령시는 일제강점기 때도 계속되었는데 대구의 경우는 음력 2월과 10월에 열렸고 이때는 전국에서 약초 재배자와 채취자, 상인과 약재 수요자가 모여들어 문전 성시를 이루었다.



대구에서 약령시가 개설, 발전하게 된 것은 경상도 지역을 둘러싼 태백과 소백 준령과 낙동강 등이 약재 생산의 보고로서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옛날부터 한약재는 농가 소득의 큰 수입원이었으므로 약전 골목에서 거래되는 약재는 대구 경제의 큰 축을 이루었고 이후 수백여년 동안 명성을 떨쳤다. 
한양에서도 구하지 못한 한약재는 대구 약령시에 가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이곳은 전국의 한약재 집산지 구실을 했고 일본과 중국, 러시아 등 주변 국가에 한약재를 공급해서 명실상부한 한약 물류 유통의 거점이 되었다. 

 

그러나 양약이 보급되고 일제 탄압 정책이 가중되면서 약령시는 점차 쇠퇴의 길로 들어서고 그 자리에 들어선 약전 골목만이 한약의 명맥을 겨우 이어가고 있었는데 



근래에 들어 한약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다시 높아지면서 약전 골목은 옛 명성을 다시 회복하고 있는 중이다.


약령시 보존 위원회는 전통 약령시의 맥을 잇고 약령시의 명성을 되살리기 위해 지역의 명소 약전골목을 무대로 '대구 약령시 한방 문화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1658년 무렵부터 해마다 열리던 대구 약령시는 전국의 한의약업인과 지역민이 함께 어울려 약재를 사고 팔며 인심과 문물을 전하던 축제 그 자체였다.
약령시 개시일이 다가오면 여각과 객주집은 전국에서 몰려오는 손님 맞을 준비에 여념이 없었으며 전국의 출시자 또한 약재 매매와 만남의 설렘으로 밤잠을 설쳤다.
개시일에는 약령시 동, 서쪽에 커다란 아치형 솔문을 만들어 세워 축제 분위기를 돋우었으며 한약재 매매 외 일용 잡화점도 덩달아 성황을 이루었다.
특히 약령시 주변의 여러 음식점과 술집 등에는 전국에서 몰려든 사람들로 붐벼 야간에도 이들의 열기로 인해 밤이 깊어 가는 줄 모를 지경이었다.
이러한 약령시 개장 행사는 일제 강점기인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 약령시에서 지속적으로 열려왔는데 
이와 같이 약령시 개장 행사를 1978년부터 현대적으로 승화시켜 지금까지 이르렀고 올해도 5/1~5/5일에 개최되었다.





꼭 축제가 아니더라도 이곳에서는 언제나 다양한 한약재를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령시 한의학 문화관'에서는
한의약 및 약령시의 역사, 문화에 대한 전시, 영상물을 보고 체험할 수 있어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 관람객들에겐 언제든지 다양한 체험의 공간이 되기도 한다.



양쪽에 빼곡이 들어선 한약방에서 풍겨나오는 한약재 냄새를 맡으며 오고가는 사람들을 가만히 보고 있노라면
어느새 6~70년대로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간 듯한 느낌이 드는 대구 약전 골목.
대구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고스란히 살아 있는 약전 골목은 대구 시민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귀하게 간직해야할 귀한 추억의 골목이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