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머무르는 곳 보현산 천문대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경북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1970년대에서 시간이 일시 정지하기라도 한걸까? 
면소재지 토담 골목길은 타임머신을 타고 시간을 거슬러 올라간 것 같은 착각에 빠져들게 한다.





길지 않은 골목 끝자락에 이르니 트인 마당이 나타나고
늠름한 모습의 나무 종탑과 함께 기와를 올린 소박한 한옥 건물이 눈 앞에 펼쳐진다.






1903년에 건립되었으니 무려 108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는 이 간소한 한옥은
바로 경상북도 지방문화재 문화재자료 제452호로 지정된 자천교회 예배당이다.






경상북도에서 현존하는 거의 유일한 한옥교회당인 자천교회 예배당은
국내 유일의 '일(一)'자형  교회로 한국 교회 건축사에선 빼놓을 수 없는 독특한 예배 공간을 갖추고 있는 개신교 문화재이다.
독특한 건물의 원형이 잘 보존된 자천교회는 영남 지역 교회사에서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니 
이 교회는 1903년 처음으로 복음이 전파되고 건립된 이 지역 신앙의 요람이다.





자천교회의 역사는 미국인 선교사와 서당 훈장의 우연한 만남으로부터 시작된다.
영남지역 선교 책임을 맡아 대구에 들어온 안의와(아담스, J.E.Adams) 목사는 경북 동부와 동북 지역 선교여행에 나섰는데
영천시와 청송군의 경계인 노귀재에서 고향인 경주를 떠나 대구로 가던 서당 훈장 권헌중을 만나게 된다.

깨어있던 선비 권현중은 안의와 목사에게 감화를 받아 대구로 이주하려던 이삿짐을 내려놓고 
자천리에 초가삼간을 구입하여 사랑방을 예배당겸 서당으로 삼아 낮에는 한문을 가르치고 저녁에는 성경을 공부했다. 
처음에는 교인이 서당 문동들과 노비와 머슴이 전부였는데
권헌중은 앞장서 상투를 자르고 데리고 있던 노비들의 문서를 불태워 자유의 몸으로 해방시켰다고 한다.





이렇게 깨어 있는 권헌중에게 감화된 신자들이 하나 둘 늘어나면서 예배를 드릴 수 있는 교회 건물이 필요하게 되었고
1903년에 기와 지붕을 얹은 목조 건물로 예배당을 건축하게 되었으니 바로 오늘날에 만날 수 있는 자천교회 예배당이다.
100년이 넘는 세월을 지나는 동안 예배당 건물은 일제강점기 때는 가마니 공장으로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 사무실로 쓰이는 등 갖은 고초를 겪기도 했다.

영천지역은 한국전쟁 격전지로 유명한 곳이라 당시 모든 집들이 포화를 맞아 거의 폐허가 되다시피 했는데
교인들이 평평한 교회 지붕에 올라 흰 횟가루로 십자가를 그리고 'CHURCH(교회)'라 표시해 폭격을 피했다고 한다.
당시 영천 화북면 지역에선 이 자천교회와 교회 바로 옆 한옥만 폭격을 받지 않은 채 지금까지 남아 있다.




예배당 건물의 외관을 살펴보면 지붕을 넓고 평평한 우진각 지붕으로 얹은 것이 눈에 뜨이는데
우진각 지붕이란  건물 네면에 지붕면을 만들어 귀마루가 용마루에서 만나도록 한 형태를 이름이다.
이는 전통 한옥의 대문에 흔하게 볼 수 있지만 독립 건물에 쓰여진 것은 흔치 않은 형태로
일(一)자형 예배 공간을 넓게 쓰기 위한 방편으로 채택이 되었던 것 같다.





자천교회 예배당의 가장 큰 특징은 남녀 교인들이 출입하는 문이 따로 있고  
예배당 내부에 남녀를 구분하는 칸막이가 그대로 남아 있는 점이다.






25평 정도가 되는 작은 예배당의 정면에는 아치형 공간을 만들어 강대상을 두었는데
신자석에는 남녀가 따로 앉아 예배를 보도록 칸막이가 쳐져 있다.




                                                                                                       예배당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시는 자천교회 손산문 목사님

구한말, 유교사회였던 우리나라의 '남녀칠세부동석'의 사고는
초기 우리 교회들의 건축물들이 ‘一자형’과 ‘ㄱ자’형으로 지어서 남녀가 구분지어 앉아서 예배를 드리게 했는데
ㄱ자로 지어진 전북 김제시 금산교회의 경우 한쪽 날개는 여자석이고 다른 한쪽 날개는 남자석으로 되어
설교자가 서는 강대상은 그 모서리에 위치함으로 남녀석을 번갈아쳐다보며 설교하게 되어 있다.
반면 ‘一자형’인 자천교회 예배당은 실내 중앙에 기둥이 네개 버티고 있는데 
기둥을 이용하여 중간에 칸막이를 함으로 예배를 드릴 때 남자와 여자가 내외하여 서로 바라보지 못하도록 하였다.





남녀 신자석을 갈랐던 초기 교회들이 대부분 휘장으로 공간을 구분한 것과는 달리
자천교회 예배당에서는 아예 나무 칸막이를 만들어 공간을 양분한 것이 주목할만한 점이다.
 





설교를 듣는 남녀 신자들은 서로를 볼 수 없지만 설교자는 물론 남녀 신자를 모두 보며 설교를 할 수 있다.
설교자가 앞에 있는 칸막이로 인해 답답할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실제로 강단 앞에 서보니 예상 외로 설교자의 시야도 별로 가려지지 않고 답답한 느낌도 거의 들지 않는다.





현재의 사고로 보면 참 고리타분하다는 생각이 드는 건물의 배치이지만 당시 상황을 상상해보면 충분히 이해가 간다.

'유교 국가에 웬 기독교 교회인가?' 라는 동네 주민들의 반대로 교회 건립의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 자명한데
오늘날처럼 남녀가 함께 섞여서 예배를 드렸다면 얼마나 많은 핍박을 받았겠는가?
이처럼 유교 문화를 지혜롭게 수용해서 복음을 전파함으로 교회가 복음을 전하고 지역을 섬기는데 도움이 되었으리라.





신자석 뒤쪽에 두 개의 방을 낸 것도 이 교회에서만 볼 수 있는 모습인데 
남녀 신자들이 따로 따로 모여 예배를 드리고 성경 공부도 하도록 방을 낸 것이다.





천정을 올려다 보니 대들보와 기둥들이 그대로 다 드러나 있는 것이 눈에 들어온다.
자재로 쓰인 나무들은 거의 다듬지 않은 목재들로 울퉁불퉁하고 투박한 모양새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동네 목수들이 천장이며 들보, 기둥들을 모두 만들었기 때문이다.
당시 넉넉지 않은 교회 사정에서 목수들이 토속적이고 소박한 기술을 마음껏 발휘해 교회를 건축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예배당은 다듬어지지 않은 투박한 모양새와는 달리 오랜 세월에도 무너지지 않게 아주 튼튼한 구조로 지어졌지만 
100년이 넘는 세월이 지나는 동안 지붕과 벽, 기둥 등이 많이 손상되고 장마철마다 비가 새는 등 훼손 정도가 심각하였다.
이에 2005년에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통하여 안의와 선교사가 생활하던 방을 복원하고
일제시대 때 유리문으로 바뀌었던 창문들도 본래의 창호지문으로 복원하는 등
창문틀의 크기와 위치 등 세세한 부분까지 전문가의 조언을 거쳐 복원, 옛 모습을 찾게 되었다.


 


자천교회는 예배당 건물 뿐만 아니라 마당 한켠에 우뚝 솟아 있는 나무 종탑도 방문하는 이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다.

집집다다 시계가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
교회 종소리는 예배 시간을 알리는 기능 외에 신자가 아닌 동네 주민들에게 시간을 알리는데도 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2차 대전 말기, 일제는 무기를 만들기 위해 조선의 모든 놋 제품을 강제로 징발하였는데
이때 자천교회의 종도 강제로 철거되어 나무 종탑도 목소리를 잃어버리게 되는 어두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
이후 해방이 되고 1948년에 이으러서야 새로운 종탑을 교회 마당에 다시 세우게 되고 종탑은 다시 구원의 목소리를 되찾게 된다.

집집마다 시계가 있어 대부분의 교회 종탑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요즈음.
아직도 자천교회 나무 종탑은 은은한 소리를 내며 생명의 목소리를 주변에 널리 퍼뜨리고 있다.

“♪ 삼천리 반도 금수강산 ♪ 하나님 주신 동산~~ ♪♪“



Copyright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천진의 관광 명소  '고문화 거리'를 혼자 거닐다가 우연히 고문화 거리 한가운데 교회 건물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기독교가 공인되지 않은 중국에도 교회가 있나....고 갸우뚱하실 분도 있으시겠지만

중국에도 공산당의 인가를 받고 모이는 교회가 있으니 이런 교회를 통틀어 '삼자교회(三自敎會)'라고 한다.





교회는 한 눈에 보기에도 오래 된 건물이었는데 건물의 앞면은 형태가 거의 흐트러지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었다.

교회의 왼쪽편 벽은 좀 더 훼손되어 있어서 세월이 많이 지나간 흔적이 그대로 나타나 있었다. 

교회의 오른쪽 벽면의 모습도 상태는 별반 다르지 않았다. 

입구 문 위에 '기독교회'라고 써져 있었는데 교회 이름은 '창문교회'였다.
문 밖에서 한참을 기웃거리다가 용기를 내어 안으로 들어서 보았다.

교회 문 안으로 들어서니 사택인지.....가정집 같은 2층 건물이 왼쪽에 자리잡고 있었고
가운데 가로질러 걸린 붉은 플래카드에는 "하나님은 세상 사람을 사랑하신다"는 말씀이 적혀 있었다.


조금 걸어 들어가니 예배실의 입구가 나왔다.
차림새로 보아 외국인 같아보이는 여자가 혼자서 교회당에 들어서니 웬 일인가...하여 몇 사람이 나와 말을 건다.
바디 랭귀지로 안에 들어가 봐도 되겠냐는 시늉을 했더니 금방 알아차리고 예배실로 안내를 해 주었다. 

안뜰에서 올려다 본 예배실 전면에 1934년이란 연도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는데
나중에 알아보니 이 창문교회는 네덜란드 선교사가 선교하여 세운 교회로 예배당은 유럽식 교회를 모방하여 지은 교회라고 한다.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가득한 예배실 강단에는 '利馬內利'라고 쓰여 있었다. 
이는 '임마누엘'이란 뜻으로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말인데  
마태복음 1장 21~23 절에
"주의 사자가 마리아에게 나타나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이 모든 일의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가라사대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라고 쓰여진 구절에서 인용한 말씀이다.

예배당은 2층으로 되어있었는데 2층에서 강단을 내려다 햇빛을 쬐러간 화분을 기다리며 가지런히 놓여있는 화분 받침들이 한가롭게 보였다. 예배당 곳곳에서 교회의 오랜 역사가 배어져 나오는 듯 했다. 

예배실 2층에는 접이식 의자와 나무 벤치가 함께 놓여있었는데 제일 앞 의자에 앉아 중국 땅을 위하여 잠시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


예배실을 나서며 뒤돌아 보니 현판에는 성당(聖堂)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캐톨릭 교회당을 성당이라고 부르는데 반해 중국에서는 기독교회 건물도 성당이라고 하는가 보다. 

감사의 뜻을 전하고 예배당을 나서니 목사님(?)이 예배당 문을 자물쇠로 굳게 걸어 잠근다.
(중국 교회는 목회자의 기근으로 목사님이 없는 교회가 거의 대부분이니 목사님은 아닐 듯....)
예배가 없는 평일에는 예배당을 개방하지 않는 듯 한데 갑자기 방문한 나를 위해 특별히 예배당 문을 열었나 보다. 

교육관인 듯 한 예배당 옆 부속 건물 벽에 붙어있는 사랑 愛 자가 떠나는 나에게 강한 인상으로 다가왔다. 

 

부속건물들은 엄청 지저분해보이지만 중국의 집에서 이 정도 지저분한 정도는 아주 양호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공산당의 인가를 받고 모이는 창문교회와 같은 삼자교회(三自敎會)는 언제나 공산당의 감시와 간섭을 받고 있는데
공산당원이 주일 예배에 참석하여 설교자의 설교나 교회 모임에서 공산당 지침에 어긋나는 설교 내용이 있는지 항상 감시한다.
그래서 기독교의 근본 교리인 삼위일체나 부활 사상같은것을 성도들에게 가르치지 못 하고
도덕적인 설교 외에는 하지 못하는게 중국의 삼자교회이다.
기독교를 탄압하는 중국에서 공산당의 간섭 하에 모이는 이런 삼자교회는
공산당의 앞잡이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늘 내가 들어가서 잠시 기도하고 나온 이런 삼자교회라도 한 알의 밀알이 되어
중국 전역에 복음이 편만하게 펼쳐질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였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