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햇빛이 비껴드는 현산의 철쭉꽃을 이어 받아 우개지륜을 타고 경포로 내려가니

 

십 리나 뻗쳐 있는 얼음같이 흰 비단을 다리고 다시 다린 것 같은

 

맑고 잔잔한 호숫물이 큰 소나무 숲으로 둘러싼 속에 한껏 펼쳐져 있으니

 

물결도 잔잔하기도 잔잔하여 물 속 모래알까지도 헤아릴 만하구나

 

한 척의 배를 띄워 호수를 건너 정자 위에 올라가니

 

강문교 넘은 곁에 동해가 거기로구나

 

조용하구나 경포의 기상이여, 넓고 아득하구나 저 동해의 경계여

 

이 곳보다 아름다운 경치를 갖춘 곳이 또 어디 있단 말인가?

 

과연 고려 우왕 때 박신과 홍장의 사랑이 호사스런 풍류이기도 하구나

 

강릉대도호부의 풍속이 좋기도 하구나

 

충신, 효자, 열녀를 표창하기 위해 세운 정문이 동네마다 열렸으니 즐비하게

 

즐비하게 늘어선 집마다 모두 벼슬을 줄 만 하다는

 

요순 시절의 태평성대가 이제도 있다고 하겠도다 

 

 

- 정철 / 관동별곡(關東別曲) 에서 - 

 

  

고등학교 시절 국어 시간에 배웠던 정철의 관동별곡 중에서 경포대를 묘사한 한 구절이다.

육순을 바라보는 국어 선생님은 지그시 눈을 감고 이 구절을 음미하듯 읊어주셨다.

그러면서 동별곡의 아름다운 귀절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하는 우리를 심하게 꾸짖으셨는데......

열일곱, 철딱서니없이 자란 아이들이 고전의 아름다움을 어찌 이해할 수 있으

보지 못한 경포대의 아름다움을 어찌 체감할 수 있었으랴......

 

 

 

 

다시 찾아본 강릉여행길, 정철이 읊었던 관동별곡의 경포대는 어떠한 모습일까.

경포호수변 널찍한 주차장에 차를 대어놓고 소나무가 듬성듬성 느러선 야트막한 언덕을 올라가본다.

 

 

 

 

경포호수를 내려다보는 야트막한 야산을 몇걸음 걸으니 바로 경포대로 오르는 계단이 나타난다.

공원 주변에는 다른 조형물도 있지만 강릉의 1번지 경포대에 올라애 제대로 경포호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게단 아래서 봐도 누각의 규모가 꽤 크다. 부연이 가설된 육중한 팔작지붕은 정자를 더욱 웅장하게 보이게 한다.

 

 

 

 

경포호를 향하고 있는 정자의 앞부분을 광각이 아닌 카메라로 잡는 것은 불가능한 일인 것 같다.

철제 난간에 기대어 한껏 몸을 뒤로 젖혀보아도 누각의 일부분만 카메라로 담을 수 있을 뿐이다.

 

 

 

 

경포호수 북쪽에 자리잡고 있는 경포대는 예로부터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꼽히어왔다.

고려 충숙왕 13년인 1326년에 현재의 방해정 뒷산 인월사 터에 처음 세워졌던 것을

중중 3년 1508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고 그 이후 여러번에 걸쳐 중수를 거듭하였다고 한다.

경포대의 현판 중 경포호쪽으로 걸린 현판은 한성부 판윤을 지낸 이익회가 쓴 글이라고 한다.

 

 

 

 

누각은 앞면 5칸, 옆면 5칸의 규모인데 총 28개의 기둥으로 되어 있고 

우물마루로 짜여진 바닥은 3단의 단차를 두어

사용자의 신분 및 계급에 따라 자리 배치를 달리하는 점이 특이하다.

내부에는 율곡 선생이 10세 때 지었다는 '경포대부'를 판각한 것과

숙종의 어제시를 비롯하여 여러 명사들의 기문과 시판이 걸려 있다.

 

 

 

 

 

정자 난간에 서서 경포호를 바라보니 너른 경포호가 한눈에 들어온다.

어렸을 때는 전혀 이해하지 못했던 관동별곡의 한구절,

'얼음같이 흰 비단을 다리고 다시 다린 것 같은 맑고 잔잔한 호숫물'이라는 싯귀가 눈앞에 펼쳐진다

오랜 시간이 지난 지금에 와서야 눈 감고 싯귀를 음미하던 국어 선생님의 마음을 이해할 것만 같다.

 

 

 

 

강남에 비 개이자 저녁안개 자욱한데

비단같은 경포 호수 가이없이 펼쳐졌네

십리에 핀 해당화에 봄이 저물고 있는데

흰갈매기 나지막이 소리내며 지나가네

 

정조대왕은 '강남소우석람암(江南小雨夕嵐暗)'에서 봄날의 경포호의 모습을 노래하였다.

겨울에도 이렇게 풍광이 아름다운데 봄날의 경포호의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울까?

 지금은 앙상한 나뭇가지 너머로 마른 갈대만이 바람에 흔들리는 경포호지만

성현들의 시처럼 철쭉꽃, 해당화가 피고 벚꽃이 줄을 이어 피어나는

아름다운 봄날의 경포호를 혼자 상상해보면서 경포대를 떠난다.

 


Copyright 2013.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조선시대를 그린 사극 드라마를 보면 일반 사대부의 집 사랑방 뒤편에는
어김없이 일필휘지로 써놓은 서예병풍이나 수병풍을 둘러놓은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궁궐의 대전에는 어좌의 뒤에 해와 달, 그리고 다섯개의 산봉우리,
소나무 등이 그려진 '일월오봉병'이 둘러쳐져 있는게 보통인데
특이하게도 정조 치세의 드라마에서는 다른 왕들의 대전 풍경과는 사뭇 다르게

양쪽에 서가가 늘어서 있고 거기에 많은 책들이 진열되어 있을 준 아니라

책거리(책가도,冊架圖) 병풍이 떠억 버티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책거리(책가도,冊架圖)란 여러 칸으로 나누어진 서가에 고동기(古銅器),도자기,꽃병과

서책,붓,벼루,연적 등 각종 문방구류를 진열한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말하는데

책거리가 조선에서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된 시기는 18세기 후반 정조 때이다.


정조가 특별히 책거리에 대하여 애정어린 관심을 보인 것은 정조의 학문 진흥 정책과 연관이 깊다.

정조는 책거리에 대하여 직접 거론할 정도로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또한 자비대령화원들의 시험 문제로 책거리를 그리게 하는 등 책거리와 관련하여

늘 책 속에서 살면서 학문에 대한 열정을 잃지 말라는 당부를 잊지 않았다.  


 

임금이 책거리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자 고관대작들도 그 뜻에 부응해서 
당시 귀한 분들은 앞을 다투어 집안의 벽을 책거리 병풍으로 치장했다는 기록이 있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당시 최고의 화원인 김홍도도 책거리의 제작에 뛰어들었다.  


이처럼 임금으로부터 시작된 책거리의 관심은 당시 새로운 유행을 이끌었으나

아쉽게도 김홍도의 책거리는 고사하고 정조 당시의 책거리는 한 점도 알려지지 않는다.

지금까지 전하는 책거리는 화원 이형록과 장한종이 책거리로 이름을 떨친 19세기의 작품들이다. 

 


 사진의 책거리는 국립 중앙 박물관에 전시된 책거리(책가도,冊架圖)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여러 기물들은 당시 문인들이

고동기 등 진귀한 문물들을 수집하며 보고 즐겼던 취미를 보여주는데

이 책거리 그림은 화면을 가득 채운 책가에 책과 기물들을 배치하고

다섯번째 폭 상단에는 인장을 그려 작자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책거리는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책거리 그림 화가인 이형록(1808~ ? )의 화풍과 유사하나

인장의 글씨가 불명확하여 작자를 확인할 수는 없다.



조선 후기부터 그려졌던 우리나라의 책거리 그림은

중국 명말(明末) 청초(淸初)의 다보각경(多寶閣景) 그림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그림은 진귀한 골동품과 문방구류를 소재로 하여

새롭게 투시도법과 명암법을 사용하여 그렸다는 점에서 당시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조선 후기의 학문 숭상 사상을 대변해주는 책거리....

항상 책을 곁에 두고 읽고 익히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던 조선의 선비들을 기억하며

책거리 속에 그려진 다양한 수집품을 하나 하나 구경하는 것도 또 다른 즐거움일 듯 하다. 


올린 사진은 국립 중앙 박물관 유리 안에 있는 병풍을 찍은 것이라

사진의 상태가 고르지 못한 것을 널리 양해해 주시길 바라오며....  
  

 

책거리(冊架圖)

작자 미상

19세기 조선,비단에 채색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