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여행 / 담양 정자 10경 / 송강 정철 유적 / 성산별곡 시비가 있는 식영정
명옥헌,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면앙정, 독수정, 상월정, 연계정, 관어정, 남극루......
무려 10개가 넘는 정자가 있어 정자의 고향으로 불리우는 담양으로 떠난 여행.
한국 3대 정원으로 알려진 소쇄원을 돌아본 후 근처에 있는 식영정으로 향했습니다.
소쇄원 주차장에서 식영정까지는 1km정도의 거리로 승용차로는 2분 밖에 걸리지 않았는데요.
한국 가사문학관을 지나자마자 길 옆 아름다운 숲속에 자리잡은 정자가 바로 보였습니다.
식영정 바로 앞길에 주차를 하고 내리니 싱그러운 숲내음이 온몸을 감싸는 것 같았습니다.
식영정은 송강 정철 가사의 비가 서 있는 왼쪽 언덕으로 올라가는 것이었어요.
송강 정철 가사의 비를 살펴본 후 돌계단을 한걸음 한걸음 올라갔습니다.
방향을 튼 돌계단 중간참에 서니 기와 지붕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식영정이 코 앞이네요.
식영정은 서하당 김성원이 장인인 임억령을 위해 지은 정자인데 '그림자가 쉬고 있는 정자'라는 뜻입니다.
정자의 이름이 참 로맨틱하지요.
가사문학의 산실로 불리우는 식영정은 송강정, 환벽당과 더불어 정송강 유적으로도 유명한 곳입니다.
이곳에서 정철은 노송의 숲 속에 묻힌 식영정의 정취와 주변의 풍광을 즐기면서 성산별곡을 지었다고 하네요.
식영정 앞뜰에 성산별곡 전문이 새겨진 시비가 있었어요.
당시 사람들은 임억령, 김성원, 고경명, 정철 네 사람을 '식영정 사선(四仙)'이라고 불렀다고 하네요.
이들이 성산의 경치좋은 20곳을 택하여 20수 씩 모두 80수의 '식영정이십영(息影亭二十詠)'을 지었는데
'식영정사십영'은 후에 정철의 '성산별곡'의 밑바탕이 되었다고 합니다.
식영정 아랫편으로는 부용당과 서하당이 있습니다. 아래로 내려가 저 정자들도 살펴봐야겠네요.
올라온 돌계단을 따라 다시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붉은 배롱나무 꽃잎이 여기저기 떨어져 돌계단을 꽃계단으로 만들었네요.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김소월이 담양에 왔더라면 사뿐히 즈려밟고 가는 꽃은
진달래꽃이 아니라 배롱나무꽃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Copyright 2017.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