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보 1호는 숭례문, 보물 1호는 흥인지문. 그러면 사적1호는?

국보 1호나 보물1호를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겠지만 사적 1호에 와서는 누구나 대답이 막힐 듯 한데

역사상 중대한 시설이나 그 자취를 이르는 사적(史) 1호는 바로 경주 남산자락에 위치한 포석정지(鮑石亭址)이다.


 

경주 톨게이트를 통해 고속도로를 빠져나와 오릉네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삼릉쪽으로 가다보면

왼쪽에 포석정지가 나타나는데 제법 너른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면 바로 포석정지 입구에 다다를 수 있다.

포석정지 바로 옆으로는 남산으로 오르는 등산로도 자리잡고 있어서 등산객들이 자주 이용하는 곳.

 

 

입구문을 통하여 경내로 들어서면 바로 우거진 나무 아래 자리잡고 있는 포석정을 만날 수 있다.

 

 

포석정은 의외로 그 규모가 별로 크지 않다. 양 옆에 서 있는 고목들이 훨씬 더 웅장해 보일 정도로 조촐한 규모이다.

현재 정자는 남아 있지 않고 풍류를 즐기던 물길만이 남아 있다.

 

 

 다듬은 화강석으로 만들어진 22m의 물길은 전체적인 형태가 전복 껍질 둘레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데

 높낮이의 차를 5.9cm정도로 두어 서서히 흘러가면서 속도가 완만해지도록 되어 있다.

 

 

좌우로 꺾어지거나 굽이치게 한 구조에서 나타나는 물길은 오묘하게 뱅뱅 돌며 흐르게 되는데

물의 양이나 띄우는 잔의 형태, 잔 속에 담긴 술의 양에 따라 잔이 흐르는 시간이 일정하지 않다고 하니

 

그 특이한 형태의 시설은 세계에서 그 예를 볼 수 없는 그야말로 신라인의 독창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원래는 남산 계곡에서 물이 흘러 내려오는 곳에 돌거북이 있었고

그 입으로 물이 나오도록 되어 있었다고 하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여고시절 역사 시간에 포석정에  대해서 설명하시던 역사선생님께서는

통일신라 말기 제55대 경애왕이 이곳에서 군신들을 모아놓고 술잔을 돌리며 흥청망청 연회를 벌이다가

후백제의 견훤에게 잡혀 자결하고 왕비를 비롯한 궁녀들은 견훤의 노리개가 되었다는 얘기를 해주셨다.

이후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세워짐으로 신라는 결국 패망에 이르게 되었다고 말하며

한나라의 왕이 나라를 돌보지 않고 흥청망청 포석정에서 흥청망청 술잔치를 벌렸기 때문에

통일신라는 망할 수 밖에 없었다며 한탄 섞인 이야기를 해주셨던 걸로 기억이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포석정이 정확하게 언제 어떤 연유로 마련되었으며

 그 주된 용도는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포석정 터에 남아있는 포석이 유상곡수연을 하던 유적이라고 한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데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 서기 353년 중국의 명필 왕희지가 명사들과 함께 개울물에 목욕하고

모임의 뜻을 하늘에 알리는 의식을 한 후 물 위에 술잔을 띄워 술잔이 자기 앞에 오는 동안 

시를 읊지 못하면 벌로 술 3잔을 마시게 했다는 데서 유래함.)

 

지난 1998년 5월 포석정 지역에서 '砲石(포석)'이라고 새겨진 신라기와편이 출토되어

이를 화랑세기에 나타나는 '포석사(鮑石詞)' 즉 '신주를 모시는 사당'으로 해석하는 견해가 발표되었다.

즉, 이곳이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고 귀족들의 혼례를 거행한 성스럽고도 경건한 장소였다는 해석이다.

 

나라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은 처지에 놓여 있는데 포석정에 군신들을 불러놓고

왕이 술 마시고 유상곡수연을 즐겼다는 것은 사실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고

나라의 안위를 위한 제사를 지내다 참변을 당했다는 해석이 오히려 설득력을 지닌다. .

신라를 밟고 세워진 고려인의 역사관으로 써진 삼국사기의 기록은 지금 재해석되고 있는 중이다.

 

 Copyright 2013.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장마철에 접어들어서 그런지 연일 비 오고 후텁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매일 아침 따스한 보이차 한잔 마시는 것으로 하루 일과를 시작했는데

낮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는데다 습도마져 높으니 차는 커녕 시원한 음료 한잔 생각만 간절하다.


이럴 때 시원한 아이스 커피가 제격.

찬물에 커피 두 스푼을 녹인 후 아카시아꿀을 넣고 저어 얼음 몇개를 띄워 마시니

속이 시원해지고 아침부터 이마에 맺히던 땀방울도 싹 가셔진다.


아이스 커피 한잔을 다 들이키고 나니 새삼 얼음의 중요성이 피부로 느껴진다.

요즘은 냉장고 문만 열면 손쉽게 얼음을 구할 수 있는 세상이지만

옛날에는 여름에 얼음 구하기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였으리라.


하지만 그 옛날에도 임금님이나 관리들은 삼복 더위에 시원한 얼음을 띄운 음식을 맛볼 수가 있었다.

왕실이나 중앙은 물론 지방 행정 중심지에도 석빙고를 마련하여

겨울철 강에서 채취한 깨끗한 얼음을 저장했다가 한여름에 사용했다고 한다.






이러한 석빙고는 기록에 의하면 신라시대부터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현존하는 것은 모두 조선시대에 축조된 것이며 그 구조도 거의 비슷하다. 

현재 남아 있는 석빙고는 경주 석빙고(보물 제66호)·안동석빙고(보물 제305호)·창녕석빙고(보물 제310호)·청도석빙고(보물 제323호)·현풍석빙고(보물 제673호)·영산석빙고(사적 제169호) 등이 있고 북한에도 해주에 1기가 남아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중 경주 반월성 북쪽 성루 위에 자리잡은 경주 석빙고는
길이 18.8m, 홍예
높이 4.97m, 너비 5.94m로 현존하는 석빙고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밖에서 보면 마치 무덤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내부를 보면 땅을 깊게 판 다음 안쪽 벽은 석재로 쌓고
바닥은 경사지게 만들었으며
천장은 석재를 무지개 모양으로 쌓아올리고 상부에 환기 구멍을 내었다. 





출입구는 남쪽으로 내었는데 여기에서 계단을 따라 실내로 들어가게 되어 있다.





내부는 연석으로 5개의 홍예(霓,무지개)를  틀어 올리고 홍예와 홍예 사이에 길쭉한 네모 돌을 얹어 천장을 삼았다.
벽은 직사각형의 작은 석재로 정연하게 쌓아올리고 밑부분은 장대석을 연결하여 지대석
을 삼아 견고하게 축조하였다.





빙실의 밑면도 외부의 형태와 같은 직사각형으로 입구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밑바닥은 경사져있으며
바닥 중앙에 배수구가 있어 내부의 물이 이 경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천장에는 3곳에 환기 구멍을 마련하여 외기와 통하게 하였는데
조각한 돌로 구멍을 덮어 비와 이슬을 막고 있어
다른 석빙고와는 달리 정연한 양식과 축조를 보여준다.





석비와 입구 이맛돌에 의하면 조선 영조 14년(1738년) 당시 조명겸이 나무로 된 빙고를 돌로 축조하였다는 사실과 
4년 뒤에 서쪽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는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석빙고의 역사를 추정케해주는데
현재 서쪽으로 약 100m 되는 곳에 옛터로 전하는 자리가 있다.
조선 후기에 축조한 석빙고 중에서 그 규모나 기법에서 가장 정연한 걸작으로 손꼽히는 경주 석빙고는 
1963년 1월 21일에 보물 제66호로 지정되었다.


 

Copyright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