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리목월문학관'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9.04.01 박목월을 만나는 동리,목월 문학관 4
  2. 2009.04.01 김동리를 만나는 동리,목월 문학관



  경주 토함산 자락에 위치한 동리목월 문학관. 

 

  

석굴암을 찾는 관광객들이 그냥 스쳐 지나가는 그곳에

우리 문학의 거두인 김동리,박목월 두 작가의 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  

 

 

 

로비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동리 문학관, 오른쪽엔 목월 문학관이 자리잡고 있는데

지난 번 김동리를 중점적으로 소개한데 이어 이번에는 박목월에 대해 조명해 보기로 한다.  

 

 

1915년 1월 6일 경북 경주군 서면 모량리에서 아버지 박준필과 어머니 박인재 사이의

2남 2녀 중 맏이로 출생한 박목월의 본명은 '영종(泳鐘)이다.

 

 

아버지 박준필은 당시 경주군 수리조합(토지개량조합)의 이사였고

대구로 나가 중학교를 졸업한 인텔리 유지였다.

어머니 박인재는 목월이 보통학교 4학년 되던 해부터 교회에 나가기 시작했는데

어머니의 신앙은 이후 목월의 정서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목월의 할아버지인 박훈식은 개화의식의 소유자였으며

그의 개화의식은 목월에게 큰 가르침을 주었다.

 

 

 

그 때까지 집안에서 기독교를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런 가운데서 젊은 며느리가 성경책과 찬송가를 옆에 끼고 교회에 나간다는 것은 대단한 결단이었다.

그러나 이에 못지 않게 놀라운 것은 며느리의 교회 출입을 허락해준 시아버지 박훈식의 관대함이다.

그의 선각자적인 개화의식이 거기 뚜렷이 투영되어 있다.

어린 목월은 그러한 집안에서 법도 있는 사랑의 가르침을 받으며 자라난 것이다. 

 

  

목월은 1923년에 건천 보통학교를 , 1930년엔 대구 계성학교에 입학하였고

계성학교 재학 중인 1933년 동요 '통딱딱 통짝짝'과 '제비맞이'가

각각 '어린이'지와 '신가정'지의 현상에 당선되어 동요 시인으로 문단에 등단한다.

 

1935년, 계성학교를 졸업한 목월은 경주군 동부 금융 조합에 취직하게 되는데

1940년에는 산그늘,가을 어스름,연륜 등의 글이 '문장'지에 추천됨으로

정식으로 문단에 등단하게 된다. 

 

 

그 이후 1946년에는 '동시집' '초록별' '호랑나비''산새알 물새알'등의 창작 동시를

 

 

1948년에는 창작 동화집 '눈이 큰 아이'를 간행하는 등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한다.

 

 

그의 동시들은 유년지향의 시,생명 지향의 시,향수의 시,동시 언어의 확대가 특징이다.

 

 

목월 문학관의 전시관에는 그의 저서 및 유품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는데

 

 

목월이 편집일을 보았던 '여학생'지와

 

 

1951년의 동시집 수제본에서부터

 

 

초기의 시집 청록집(1946), 산도화(1955)...

 

 

후기의 시집들......

 

 

그의 창작욕을 짐작할 수 있는 수많은 육필 원고들도 전시되어 있다.

 

 

또 목월의 이력서와.....

 

 

중앙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재직 시절의 월급 봉투도 보이는데

그는 1962년 한양대학교 교수로 취임해 1976년 문리대학 학장을 지냈다.

 

 

뻬곡하게 쓰여진 그의 강의 노트에선 반듯한 성격이 미루어 짐작되고....

 

 

 생전의 모습이 담긴 앨범들..

 

 

문인들과의 조우..

 

 

여러분의 친필이 담긴 부채.

 

 

문인들과 주고 받은 편지..

 

 

그의 집필에 도움을 주었던 연필, 만년필,파일롯트 잉크..

 

 

그가 수집했던 우표책 등 여러가지 유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또 목월 문학관 한쪽에 마련된 방에는 그의 서재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는데

 

 

원고가 이리저리 흩여져 있는 앉은뱅이 책상과 한쪽에 놓인 흔들의자는

선생이 방금 전까지 책을 읽고 글을 쓰다가 잠깐 자리를 비운 것만 같다.  

 

 

목월의 초기 시에 나타난 '향토적 정서'는

고향 경주의 문화재와 자연 환경을 통해 형상화된다.

 

 

"나는 늘 혼자였다. 사무가 끝나면 거리로 나왔다.

거리랬자 5붐난 거닐면 거닐 곳이 없었다.

반월성으로, 오릉으로, 남산으로,분황사로 돌아다녔다. 

실로 내가 벗할 것이란 황폐한 고도의 산천과 하늘 뿐이었다."

목월은 산문 '나와 청록집 시절'에서 당시의 심정을 이렇게 회상하였다.

 

 

목월의 글은 매우 서정적이고 자연지향적이다.

 

  

초기의 대표작인 '나그네', '윤사월','청노루','산도화'....

이런 작품들은 매우 절제된 언어로 자연을 노래하였는데

짙은 서정성과 함께 우리말의 리듬을 아름답게 살려내었다.

 

 

또한 목월이 노래하는 자연들은 이전의 우리 문학적 상상력 속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아름다움의 공간을 열어주었다. 

 

 

그가 노래하는 자연은 목월의 마음과 우리의 마음 속에

영원히 살아 있는 자연이요, 아름다운 고향이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경주 토함산을 차로 오르다 보면 오른쪽 산자락 아래로

 '동리,목월 문학관'으로 들어가는 길이 보이는데.... 

 

 

석굴암을 찾는 관광객들이 대부분 그냥 스쳐 지나가는 그곳에

우리 문학의 거두인 김동리,박목월 두 작가의 기념관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 왜 동리,목월 문학관이 있나....하고 의아해 하시는 분도 있을 것 같지만

동리,목월이 다 경주 출신이라는걸 알면 아하...하고 고개를 끄덕일 듯.... 

신라 문화 지킴이이신 햇빛님과 함께 '동리,목월 문학관'을 둘러 보았다.

 

 

김동리 전시관으로 들어서면 벽에 붙어 있는 대형 사진이 정겹게 다가온다.

 

  

고독이 무서웠던 아이 동리(본명 시종(始鐘))는 어머니가 42세 때 얻은 막내였다.

먹을 젖이 부족했던 아이는 3세 때부터 아버지가 드시고 난 술찌꺼기를 먹고 늘 비틀대었고

6세 때에 '내가 달라면 주고 때리면 맞아주었던' 소꿉 친구이자 첫사랑으로 생각한 선이를 잃고

이어 사촌 남순누나의 죽음의 충격으로 평생 죽음이란 명제를 화두로 삼게 된다.

어머니를 닮아 키가 작았던 동리는 계절마다 이름모를 병으로 앓아눕기가 일쑤였고

혼자 산과 들을 배회했던 우울한 소년이었다.

20세 초반에는 잠시 출가의 꿈을 가졌으나 가부좌가 되지 않아

승려가 되는 것을 포기하고 시와 소설로 문단에 등단하게 된다.

 

 

  1941년 화랑의 후예 당선 후 경주에서 소설가 이기현과 함께...

 

 

 동리는 야학을 통해 만났던 진주 사범 출신의 김월계와의 첫번째 결혼을 하게 된다.

 

 

동리의 두번째 여인은 동화통신사 여기자였던 손소희.

그녀는 '혜성'이란 잡지와 다방 '마돈나'를 시작하며 김동리와 급격히 가까워졌고

인간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있던 동리로서는

 손소희와의 사랑을 전혀 불륜으로 생각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랑을 위해서는 목숨을 바쳐도 좋다고까지 생각하고 있었기에  
부인을 두고 손소희와 따로 살림을 차리게 된다.

 

 

그림을 배운 적은 없지만 타고난 재능이 있었던 손소희는 세번이나 개인전을 가지기도 했는데

김동리는 김월계와의 이혼이 성립된 1966년경부터 또 다른 안식처를 찾고 있었다.  

자신에게 순종하며 오직 자신만을 쳐다보는 소녀의 존재를 찾고 있었던 것.

 

그러던 중 24살의 작가 서영은을 만나 파문을 일으키는데 손소희는 그들의 사랑을 용서하고 덮어준다.

그래서  손소희는 남편이 저지른 일을 수습하는 차원에서 서영은에게 거처할 곳도 마련해 주고

 동리는 서영은을 일주일에 한 번씩 찾는 두집 살림을 다시 하게 된다.

서영은은 숨겨진 여인으로 25년을 지내다 손소희 사후에 세째부인의 칭호를 얻게 된다.

 

 

기념관에는 그의 손때 묻은 그의 유품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는데 창작의 도구가 된 만년필과 안경이며.....

 

 

즐겨 피우던 담배 파이프와 문인협회 주소록.

 

 

동리의 손목에 가장 가까이 있었던 시계들.

 

 

김동리의 부채작품.

 

 

동리의 문방구.

 

 

수많은 낙관들도 볼거리다.

 

  

 펼쳐진 동리의 사진첩에는 육영수 여사의 모습도 보인다.

 

 

 선생의 다이어리.

 

 

 김동리는 다이어리에 정초에 찾아오는 세배객들의 선물 목록을 잊지 않으려 기록해 두기도 했다.

 

 

방명록도..

 

 

겉장이 너덜너덜해진 서라벌 예술 대학 재직 당시 강의 노트.

당시 그가 가르치던 모든 제자가 등단하여 문인이 된 사례는 전설처럼 전해져 온다. 

  

 

그의 육필 원고들.

 

 

퇴고의 흔적이 원고마다 나타나 있다.

 

 

신문에 연재되었던 소설을 잘라 스크랩해두기도 했다.

 

 

잡지에 게재되었던 그의 평론들.

 

 

 빛 바랜 도서 출판 계약서도 눈에 뜨인다.

 

 

동리의 대표작인 황토기,무녀도

 

 

 김동리 소설집 황토기.

 

 

을화는 영문판 뿐 아니라 독어 번역판도 발간되었다.

 

 

한쪽에는 둘째 부인 손소희의 썬글라스와 여권, 그리고 손소희의 출판 기념 방명록도 전시되어 있다. 

 

 

만화가 들이 그려준 동리의 캐리커쳐는 그의 특징을 잘 나타내었고....

 

 

 노년의 김동리의 초상화에 쓰인

'山花水鳥皆知己" 란 글귀가 인상적으로 와 닿았다. 

자연의 모든 것이 다 동리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었으리라.

 

 

방으로 꾸며진 전시실에는 문갑이며 소장품, 모필들이 생전에 쓰시던 모습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선생이 쓰시던 책상 위에는 방금이라도 글을 쓰다가 일어나서 나간듯 원고지와 볼펜이 놓여져 있었는데

여기서 한국 문학사를 빛낸 수많은 글들이 쏟아져 나왔다고 생각하니 저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동리 문학은 나귀이다. 모든 것이 죽고 난 뒤에 찾아오는 나귀이다' 

.

.

글귀의 뜻은 무엇일까....

동리의 마음을 느껴 보며 한참이나 사색에 잠겨본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