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겨울이 되면 눈 덮인 화진포가 나를 부른다.
처음 화진포에 갔던 몇 년 전 겨울.....
어디가 호수이고 어디가 들판인지 구분도 못할 정도로
새하얀 눈밭으로 뒤덮여 눈 앞에 펼쳐지던 추억 속의 화진포.

동해안 최북단의 화진포는 둘레가 약 16㎞나 되는 아름다운 드넓은 석호이다.
주위에 아름드리 소나무숲이 우거지고 해당화가 붉게 피어
경관이 너무 아름다운 이곳은 사계절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데
바로 옆의 화진포 해수욕장은 바닷물이 깨끗하고 수심이 얕아
명사십리에도 비견되기도 하는 바다이다.



화진포는 김일성, 이승만, 이기붕의 별장이 있던 곳으로 또한 유명한데 

호수와 바다가 한데 어우러진 이곳의 환상적인 경치를 접해보면 

대한 민국 초기 남북의 최고 권력자들이 왜 이곳을 여름 휴양지로 삼았는지 절로 이해가 간다.


최근에 와서 화진포는 '가을 동화'촬영지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인근 속초의 청초호 부근 아바이 마을이 가을 동화의 주촬영지였는데
화진포는 어린 시절 은서(송혜교)와 준서(송승헌)가 해변에서 모래 그림을 그리면서 추억을 쌓던 장면과
드라마에서 가장 인상에 남았던 장면 - 준서가 은서를 등에 업고 해변을 거닐다 은서가 숨을 거두는
라스트씬을 촬영한 곳이어서 연인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는 장소가 되었다.  



화진포 바다에서 보면 언덕 위에 하얀 집이 눈에 뜨이는데 바로 '화진포의 성'이라 불리우는 김일성 별장이다.
"김일성 별장이 왜 남한에 있지...?" 하며 고개를 갸우뚱하는 분들에게 사족을 붙인다면
한국 전쟁 이전엔 이곳이 38선 이북, 즉 북한 땅이었다는 것을 기억시켜 드리고
지금도 이곳은 군사 통제 지역인지라 이 지역의 상황은 지도에서 스카이뷰로 확인할 수 없다.  
 


이 건물이 처음부터 김일성 별장이었던 것은 아닌데 일제 강점기인 1937년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켰을 때
비행장 부지를 마련하기 위해서 원산에 있던 외국인 휴양촌을 강제 철거키로 결정하고
원산 해변에서 해안을 따라 남으로 약 100마일 떨어진 화진포에 강제 이주시켰는데
당시 선교사였던 셔우드 홀(Sherwood Hall) 박사는 히틀러를 피해 망명해 왔던 독일 건축가 베버(H.Weber)에게
예배당으로 사용할 조그마한 별장 하나를 바다에 면한 암벽 위에 짓게 하였다. 
 


독일에서 건축학을 공부한 베버는 1938년 회색돌로 원통형 2층 건물을 현 위치에 지었는데
화진포 해안 절벽 위의 송림 속에 우아하게 자리잡은 하얀  외관으로 인해 '화진포의 성(城)'이라고 불리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1945년 이후 이곳을 점령한 북한은 화진포의 성을 귀빈 휴양소로 운영하였는데
한국 전쟁이 일어나기 전 1948년부터 김일성의 가족들은 경관이 매우 뛰어난 화진포의 성을 여름 휴양지로 이용하였고
실제로  김일성의 처 김정숙과 김정일 형제가 이곳에서 머문 적이 있어서 지금까지 '김일성 별장'으로 더 알려져 있다.
 


화진포의 성의 계단을 오르다 보면 계단에 그 당시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확힌하게 된다.



계단 중간 쯤에 어린 김정일과 그의 여동생이 집 앞 계단에 앉아 사진을 찍었던 장소가 표시되어 있고
 


계단 바로 옆 축대에 그 당시 사진의 사본이 걸려져 있어 '화진포의 성'의 원래 모습과
김정일의 어린 시절 모습도 볼 수 있었는데 누군지 손톱으로 긁적거려 김정일의 얼굴을 훼손시켜 놓았다. 



계단을 한참 올라가 화진포의 성 마당에 이르니 수심이 깊지 않은 에메랄드빛 바다가 한 눈에 들어온다.
 


절벽 위에 위치한 집이라 마당은 그다지 넓지 않다. 



이 건물은 전쟁 중 훼손되어 1964년 재건축하였는데 외관은 처음과 변함이 없으나
실내는 현재 안보 전시관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원래의 모습을 찾을 길이 없는게 매우 유감이다.
  전시관 벽에는 한국 전쟁에 대한 여러 가지 자료가 있었는데 대부분 건성건성 다 지나치고
건축물의 유래...김일성 정권의 수립 과정...등이 있으나 자세히 읽어보는 사람은 별로 없다.



다만 그 당시 방의 모습을 재현한 소품들만이 눈에 띌 뿐인데... 



그 당시 의복과 제니스 라디오에 눈길이 가고.....
 


천정에 달려 있던 램프도 방문객의 시선을 잡는다. 



2층 전시실의 원형 방에 이르면 모두 다 "와아~~~"하고 탄성을 지르게 되는데 창문을 통해 바다 풍경이 그대로 보이기 때문이다. 



'절경'이라는건 바로 이런 경치를 두고 말하는게 아닐까?
창문을 열고 바다로 뛰어내리고 싶은 충동이 드는 곳이다.



 계단을 통해 3층으로 올라가면 옥상으로 연결이 된다. 



옥상 전망대에 올라서면 화진포 호수와 화진포 바다가 한눈에 다 들어오고 망원경으로 자세히 살펴 볼 수도 있다.



건물의 벽 사이로 내다 보고 싶은데 두께가 있어서 쉽지가 않아 벤치 위에서 바다를 바라 보았다. 



화진포성 위에서 내려다 보니 왼쪽의 호수와 오른쪽의 바다가 한눈에 다 들어온다.
호수의 하늘빛 고요함과 대비되는 황홀한 에메랄드빛 바다색은 오랫동안 자리를 떠나지 못하게 하는데
 이 해변의 모래는 조개 껍질과 바위가 오랫 동안 부서져 만들어진
모나즈 성분으로 되어 있어 밟으면 바삭바삭 소리가 나고 개미가 살지 못 하는 모래라고 한다. 



앞에는 화진포 바다.....뒤에는 석호인 화진포 호수.....그 가운데 화진포 콘도가 자리잡고 있는데 이 콘도는 군인 시설이라고 한다.
'좌청룡 우백호'라는 건 이럴 때 쓰는 말이 아닐까? 
 


 오랫동안 한 자리에서 꼼짝않고 슈팅 자세를 잡고 서 있는 아저씨 발견.
아마 바다 한 가운데 섬 '금구도'를 찍는 듯 한데....
박격포 만한 엄청난 망원 렌즈와 무지 비싼 삼각대에 기가 죽은 필자는 몇 장 찍고 얼른 내려 왔다....^^ 



내려오면서 보니 앞 바다에 외롭게 떠 있는 섬 금구도가 눈에 선명하게 들어 온다.
거북이 형상의 금구도는 광개토대왕릉이라고 한다.
 


고구려 연대기에 따르면 광개토대왕 3년(394년) 8월경 화진포의 거북섬에 왕릉 축조를 시작했으며
광개토대왕 18년 8월에 화진포의 수릉 축조 현장을 대왕이 직접 방문하기도 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후 광개토대왕이 서거한 이듬해인 장수왕 3년(414년) 9월 29일 화진포 거북섬에 광개토대왕의 시신을 안장했는데
이곳에 수비대가 왕릉을 지키고 있었고 신라의 군사와 수비대의 잦은 분쟁이 있었다고 하며
문자명왕 2년에는 이곳에서 광개토대왕의 망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거북섬 성은 2중 구조로 되어 있는데 섬의 정상부인 약 45m 높이의 고지를 중심에 두고
해안선의 자연 지형을 따라 화강암을 이용하여 석축으로 축조하고
성벽 상단은 삭토하여 환도를 개설한 흔적이 200여m 가량 뚜렷이 남아 있으며
산정 부근의 와편과 주초석의 잔해는 사당으로 추정하고 있다.
섬 북쪽의 암석 저지대는 석축 보호벽과 방파성이 약 60m, 높이 170~230m, 3개 구간에 남아 있다.
앞으로 고성군에서는 문화재 전문가의 고증을 통해 원형 복원할 계획으로 있다고 한다.


자신의 유해를 화장하여 동해안에 안장하면 용이 되어 동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을 것이라고 했던 문무왕처럼
광개토대왕도 자신의 숙원이던 남하 정책을 펼치기 위해서 이곳에다 자신의 무덤을 쓰게 한 것일까...?
눈 앞에 서 있는 조그만 섬 금구도가 광개토왕릉이라는 사실을 알고 다시 한번 섬을 바라보니
감포 앞 바다에 서서 문무대왕 수중릉을 바라 볼 때와 같은 격한 감격이 가슴 속에서부터 물밀 듯 밀려왔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천진의 관광 명소  '고문화 거리'를 혼자 거닐다가 우연히 고문화 거리 한가운데 교회 건물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깜짝 놀랐다.

기독교가 공인되지 않은 중국에도 교회가 있나....고 갸우뚱하실 분도 있으시겠지만

중국에도 공산당의 인가를 받고 모이는 교회가 있으니 이런 교회를 통틀어 '삼자교회(三自敎會)'라고 한다.





교회는 한 눈에 보기에도 오래 된 건물이었는데 건물의 앞면은 형태가 거의 흐트러지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었다.

교회의 왼쪽편 벽은 좀 더 훼손되어 있어서 세월이 많이 지나간 흔적이 그대로 나타나 있었다. 

교회의 오른쪽 벽면의 모습도 상태는 별반 다르지 않았다. 

입구 문 위에 '기독교회'라고 써져 있었는데 교회 이름은 '창문교회'였다.
문 밖에서 한참을 기웃거리다가 용기를 내어 안으로 들어서 보았다.

교회 문 안으로 들어서니 사택인지.....가정집 같은 2층 건물이 왼쪽에 자리잡고 있었고
가운데 가로질러 걸린 붉은 플래카드에는 "하나님은 세상 사람을 사랑하신다"는 말씀이 적혀 있었다.


조금 걸어 들어가니 예배실의 입구가 나왔다.
차림새로 보아 외국인 같아보이는 여자가 혼자서 교회당에 들어서니 웬 일인가...하여 몇 사람이 나와 말을 건다.
바디 랭귀지로 안에 들어가 봐도 되겠냐는 시늉을 했더니 금방 알아차리고 예배실로 안내를 해 주었다. 

안뜰에서 올려다 본 예배실 전면에 1934년이란 연도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는데
나중에 알아보니 이 창문교회는 네덜란드 선교사가 선교하여 세운 교회로 예배당은 유럽식 교회를 모방하여 지은 교회라고 한다.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가득한 예배실 강단에는 '利馬內利'라고 쓰여 있었다. 
이는 '임마누엘'이란 뜻으로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라는 말인데  
마태복음 1장 21~23 절에
"주의 사자가 마리아에게 나타나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이 모든 일의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가라사대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라고 쓰여진 구절에서 인용한 말씀이다.

예배당은 2층으로 되어있었는데 2층에서 강단을 내려다 햇빛을 쬐러간 화분을 기다리며 가지런히 놓여있는 화분 받침들이 한가롭게 보였다. 예배당 곳곳에서 교회의 오랜 역사가 배어져 나오는 듯 했다. 

예배실 2층에는 접이식 의자와 나무 벤치가 함께 놓여있었는데 제일 앞 의자에 앉아 중국 땅을 위하여 잠시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


예배실을 나서며 뒤돌아 보니 현판에는 성당(聖堂)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캐톨릭 교회당을 성당이라고 부르는데 반해 중국에서는 기독교회 건물도 성당이라고 하는가 보다. 

감사의 뜻을 전하고 예배당을 나서니 목사님(?)이 예배당 문을 자물쇠로 굳게 걸어 잠근다.
(중국 교회는 목회자의 기근으로 목사님이 없는 교회가 거의 대부분이니 목사님은 아닐 듯....)
예배가 없는 평일에는 예배당을 개방하지 않는 듯 한데 갑자기 방문한 나를 위해 특별히 예배당 문을 열었나 보다. 

교육관인 듯 한 예배당 옆 부속 건물 벽에 붙어있는 사랑 愛 자가 떠나는 나에게 강한 인상으로 다가왔다. 

 

부속건물들은 엄청 지저분해보이지만 중국의 집에서 이 정도 지저분한 정도는 아주 양호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공산당의 인가를 받고 모이는 창문교회와 같은 삼자교회(三自敎會)는 언제나 공산당의 감시와 간섭을 받고 있는데
공산당원이 주일 예배에 참석하여 설교자의 설교나 교회 모임에서 공산당 지침에 어긋나는 설교 내용이 있는지 항상 감시한다.
그래서 기독교의 근본 교리인 삼위일체나 부활 사상같은것을 성도들에게 가르치지 못 하고
도덕적인 설교 외에는 하지 못하는게 중국의 삼자교회이다.
기독교를 탄압하는 중국에서 공산당의 간섭 하에 모이는 이런 삼자교회는
공산당의 앞잡이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늘 내가 들어가서 잠시 기도하고 나온 이런 삼자교회라도 한 알의 밀알이 되어
중국 전역에 복음이 편만하게 펼쳐질 날이 오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였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청라언덕'으로 알려져 있는 대구 동산 의료원 언덕 위에는

서울 양화진 외국인 묘지와 같은 기독교 순교자 묘지가 자리잡고 있으니 

바로 '은혜 정원(Garden of Mercy)'이다.

 

 

의료 박물관이 된 선교사 챔니스 주택 아래편에 위치한 은혜의 정원에는 10개의 묘석이 조용히 자리잡고 있는데

대구,경북 지방에 기독교를 전파하러 왔다가 순교한 선교사들과 그들의 자녀가 묻혀 있다.

찾아주는 사람 별로 없이 대구 경북 지역 기독교 선교의 발자취를 찾아온 소수의 사람들만이 다녀가는 외로운 묘지.

하나님의 나라와 꺼져가는 조선 땅을 위해 낯선 땅에 뼈를 묻은 선교사들과

그들의 선교 활동을 비문과 참고 글에서 찾아 소개해 본다.

 

 

처녀 순교자였던 마르타 스윗츠(Martha Switzer)선교사는 부유한 집안에서 자라 뉴욕 컬럼비아대학을 졸업한 재원으로써

본국에서 보장된 편안한 삶을 뒤로하고 그리스도를 위해 몸 바친다는 각오로 해외선교를 자원하여

1911년 대구땅을 밟은 뒤 월급도 받지 않을 뿐더러 자신의 사유 재산까지 다 바쳐 가며 사역하였다.

그녀는 대구명도학원에 2천원의 거금(당시 쌀 한가마 10)을 내고

연합회가 제일동포를 위해 전도사(강성숙)를 파송하자 남은 유산 550원마저 기부하였다.

바로 그녀가 남긴 유산으로 일본 나고야와 만주 한인촌에 선교사를 파송하게 된 것이다.

그녀는 명예나 보수를 바라지 않은 진정한 사역자였으며

교회를 찾은 조선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헌신한 믿음의 사람이었다.

그녀는 그렇게 즐거워하며 감사하며 대구땅에서 18년간 봉사하다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소천하였다.

 

 

넬리 딕(Nellie Dick Adams,탁넬니)은 대구 최초의 장로교선교사인 아담스(Adams,안의와,安義窩) 선교사의 아내이다.

그녀는 1897111일에 3개월 된 장남 에드워드(안두화 : 계명기독대 창설)를 안고 태평양을 건너와

대구 지역에 발걸음을 디딘 첫번째 여자 선교사였다.

날마다 대구 땅을 향해 그리스도의 사랑을 알게 해 달라고 기도한 넬리 딕은

남문안 예배당(대구 제일교회)의 유년 주일 학교를 창립했고

제일교회 부인 주일학교 교장, 전도부인 담당, 부인 사경회 인도와 순회 전도, 신명학교 출강,

정규 전도 부인 강습회 출강 등으로 몸을 돌보지 않고 다양한 선교활동을 하는 열성을 보였다.

그러다 19091031일 넷째 아이의 유산 후유증으로 43세의 나이로 숨져

고국을 떠나 대구 은혜정원에 묻힌 최초의 외국인이 되었다.

넬리 딕의 쌍둥이 자매 진(Jean)도 아프리카 선교사로 가서 그곳에서 순교하였다.

 

 

넬리 딕 선교사의 묘에는 "She is not dead but sleepeth(죽은 것이 아니라 자는 것이니)" 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는데

죽은 것이 아니고 아직도 이 땅과 이 땅에 있는 한국인들을 위해

자신의 영혼은 살아서 기도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쏘텔(Chase Cranford Sawtell,사우대)188119일에 출생하여 ,

19071016일 신혼의 나이에 이름도 잘 몰랐던 한국땅, 그리고 대구라는 곳에 왔다.

그에겐 한 가지 꿈이 있었으니 그것은 대구 선교를 넘어 더 내륙지역이고 당시 복음이 전해지지 않았던

경북 북부 지역 안동 땅에 가서 복음을 전하는 일이었다.

그는 안동땅을 향해 기도하며 대구에서 그 곳으로 가기위해 준비하던 도중 풍토병을 이기지 못하고 그만 죽게 되었다.

 

 

그의 묘비명에는 “I am going to love them." 이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다.

자신은 죽지만 여전히 이 땅의 사람들을 사랑하겠다고 하는 그의 의지가 담겨져 있는 말임에 틀림없다.

죽음에 가슴 아파한 동료 선교사들은 쏘텔의 소망을 간직하고 자신들이 안동땅에 가서 복음을 전하자는 마음을 가지게 된다.

바로 이렇듯 쏘텔은 안동땅에 복음한번 제대로 전하지 못하고 죽었지만

그의 죽음은 헛되지 않고 오히려 한알의 밀알이 되어 더 많은 열매를 안동땅에 맺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마르타 스콧 브루언(Martha Scott Bruen,부마태)선교사는

남편인 브루언(Bruen,부해리) 선교사를 따라 1902510일 대구 땅에 왔다.

남문안 예배당 구내 초가에는 존슨의 부인 에디스 파커가 소녀들을 위한 바느질 반(sewing class)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마르타 스콧 브루언은 그 소녀들을 대상으로 신명여자소학교를 설립하였다.

1907년에는 동산 위에 있던 부인용 사랑채에 신명학교를 설립하여 대구 여성교육의 선구자가 되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 화이트하벤에서 1875년 출생한 그녀는

제일교회 부인주일학교 교사와 농촌교회 여전도회를 조직하고, 부인사경회를 인도하기도 했다.

1930102055세의 일기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마르타 스캇 브루언 선교사가 이곳으로 오게 된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녀는 원래 조선을 향한 선교의 마음이 없었지만 자신이 사랑하는 남편 브루언과 함께 할 수 있는 곳이라면,

그리고 브루언을 도와 자신이 힘이 될 수 있다면 그녀는 태평양을 건너올 마음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한 그녀의 사랑과 내조가 있었기에 브루언 선교사의 사역과 대구땅에 여성학교 교육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었다.

그녀의 두 딸들도 은혜 정원에 함께 나란히 묻혔다.

 

 

은혜정원에는 대구땅과 조선을 위한 선교의 삶을 사시다 묻히신 분들 외에도 곳곳에서 작은 묘비들을 찾아볼 수 있다.

바로 선교사 자녀들의 무덤인데 버디 핸더슨(Buddy Henderson)은 계성학교의 교장 핸더슨(Henderson, 현거선)의 아들로

192065일에 출생해 1921917일로 단명했다.

 

 

루스 번스턴(Ruth Bernsten)은 구세군 대구지방관 번스턴(Brigador Arnold Bernsten)의 딸로 스웨덴 사람이다.

아버지 번스턴은 6.25 이후 중립국 감시위원단 스웨덴 대표로 내한한바 있다.

루스 번스턴은 1918107일 출생하여 1919128일 사망했다.

그녀의 묘비에는 “Our Darling Rut"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바바라 챔니스 (Babara F. Chamness)는 북장로교 선교사로 1925년에서 1941년까지 대구에서 근무한

챔니스(O.Vaughan Chamness, 차미수) 션교사의 딸이다

챔니스 선교사는 애락원에서 농사와 축산을 지도했으며 애락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조엘 로버트 핸더슨(Joel Robert Henderson)은 남침례교 선교사 Willie G. Henderson의 아들로

1964년 태어나서 몇 시간 살지 못하고 사망했다.

 

 

헬렌 맥기 윈(Helen McGee Winn)은 북장로교 윈(Rodger E. Winn,인노절) 선교사 부부의 갓난 딸이다.

윈은 안동에서 경안노회를 창설하고 안동성경학교를 설립한 분으로 헬렌 맥기는 19131110일에 출생하여 열흘만에 숨을 거두었다.

 

그당시 우리나라는 모든 환경이 너무나 열악했었던지라

선교사의 자녀들은 태어나서 채 생의 꽃도 피워보지 못한 가운데 죽어가는 경우가 허다했다.

먼 이국 땅에서 선교 활동을 하는 가운데 자신보다 더 사랑했던 자녀를 가슴에 묻어야 했던 그들의 심정은 어떠하였을까.

가슴을 도려내는 듯한 슬픔 속에서도 사랑하는 아들, 딸을 희생해가면서까지 사랑했던 조선이 있었기에......

예수님을 십자가에 내어주기까지 사랑하셨던 하나님의 사랑이 이 분들의 마음에 있었기에.....

그들의 삶은 계속되고 이 땅에 선교의 꽃이 활짝 피게 된 것이다.

 

 

"어둡고 가난할 때 태평양 건너 머나먼 이국에 와서 배척과 박해를 무릅쓰고 혼신을 다해

복음을 전파하고 인술을 베풀다가 삶을 마감한 선교사와 그 가족들이 여기에 고이 잠들어 있다.

지금도 이 민족의 복음화와 번영을 위해 하나님께 기도하고 있으리라."

-- 은혜정원 표지판의 글에서--

 

참고 포스트 : 의료 선교 박물관(http://blog.naver.com/mslee1116)

메디 시티 - 건강(http://blog.naver.com/msl903)

 

Copyright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