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는 오래전부터 우리의 삶 속에 자리해 온 친근한 동물이다.
선사시대부터 오랜 세월 동안 호랑이는 우리 민족과 함께 공존해 왔는데
단군신화 속의 사람이 되고 싶었던 호랑이부터
시베리아 등지에 살아남아 있는 백두산 호랑이에 이르기까지
호랑이들은 우리 민족과 더불어 살아왔다고 해도 과연이 아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이 호랑이를 그림의 대상으로 삼고 있던 사실은 울산 언양의 절벽에 새겨진 '반구대 암각화'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반구대 암각화(국보 285호)는 당시의 사냥 모습과 200 여점에 달하는 육지와 바다 동물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어
선사인의 생활과 풍습을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유적이다.


  울산반구대 암각화 재현품(국립경주박물관)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 그림은 널리 알려져 있는 그림인데 여기에는 10 여 가지의 줄무늬 호랑이와 점박이 표범의 모습도 남아 있다.
호랑이들은 마치 사람처럼 앉아서 한가롭게 쉬거나 그물에 잡혀 발버둥 치기도 하고
표범과 무리를 지어 유유히 이동하는 등 다채로운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한반도에 등장한 호랑이를 표현한 최초의 예술 작품인 셈이다.



약 2천년전 사람들은 호랑이를 소재로 디자인한 청동제 허리띠 고리(일종의 버클)를 만들어 허리에 찼다.
경북 영천 어은동에서 출토된 가로 20.5㎝ 정도의 이 호랑이 모양 허리띠 고리는 말 모양의 허리띠 고리와 함께 발굴되었다.
마치 스핑크스를 연상시키는 위엄 있고 당당한 모습의 이 호랑이 모양 청동기는 북방계 청동유물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주 미추왕릉 지구에서 출토된 토기 뚜껑에도 호랑이 무늬가 새겨져 있다.
호랑이가 고개를 쳐들고 표효하는 모습이 소박하지만 예리한 필치로 묘사되어 있어 무척 현대적인 감각을 준다.



통일 신라 시대의 작품인 호형 토기도 눈길을 끈다.
두 눈을 부릅뜨고 표효하는 호랑이의 모습이 두려워 접근하기 힘든 맹수의 모습이 아니라 어쩐지 친근감이 들어 가까이 하고 싶은 애완 동물과도 같이 보인다.



고구려 무덤 속에는 흰 호랑이 백호가 서쪽을 지키는 사신(四神)의 하나로 등장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인데
신라시대에도 능묘와 불탑 둘레에 호랑이를 포함한 십이지상(十二支像)이 배치되어 각 시간과 방향에서 오는 나쁜 기운을 막는 수호신의 구실을 하였다.



조선시대 민간에서는 기쁨을 뜻하는 까치와 호랑이를 익살스럽게 그린 ‘까치호랑이그림’을 정월 초하룻날 대문에 붙였다.
그것은 정월이 인월(寅月), 즉 호랑이 달이기 때문으로, 새해를 맞는 기쁨과 즐거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까치호랑이 그림은 도자기나 민화 등에 잘 남아 있기도 하다.



18세기 조선시대 작품인 이 까치 호랑이 무늬 백자 항아리는 직선의 구연부에서 원을 그리듯 내려오다가 구연부와 같은 크기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표면에는 까치는 호랑이를 내려다보고, 호랑이는 까치를 마주쳐다보는 '까치 호랑이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호랑이의 우스꽝스러운 눈짓에 잔득 움츠린 까치의 모습이 재미있다. 
 


19세기 조선시대 작품인 백자 호랑이 무늬 왕사발에서 호랑이는 더욱 대담하게 표현되었다.



날카로운 이빨과 곧추선 털.....그리고 구름 사이를 노니는 호랑이의 날렵한 몸매는 민간 신앙의 대상인 호랑이의 위엄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오랜 옛날부터 호랑이는 수렵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종교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상징물로 표현이 되었다.
선사시대부터 아주 오랜 세월을 한반도의 인류와 함께 공존해온 우리 민족의 상징 동물 호랑이.
지금은 우리 땅에서 그 자취가 사라지고 동물원에서나 그 용맹한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어서 아쉽기만 하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경주 보문단지에서 출발하여 불국사 가는 도로를 달리다 보면
 길 왼쪽편에 위치한
전통 기와집들의 군락을 만날 수가 있는데
이곳이 바로 경주 민속 공예촌이다. 


 토함산 아랫자락 2만평에 여기 저기 자리잡은 민속 공예촌은
소중히 간직하여야  할 선조님들의 얼과 멋과  솜씨를 계승하고자 모인 장인들의 마을. 


경주 시민은 물론 경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이곳은 

 도자공방,금속 공방, 목공예 공방, 자수정 공방, 자수·한복 공방 등 여러 공방과
민속 공예 전시관,신라역사과학관, 예촌공예화랑 등이 기저기에 한가롭게 자리잡고 있는 곳이다. 

 특히 금속, 도자, 목공, 보석, 석공, 자수, 토기공예 등 18업체의 공방에서는 

 제조 과정 및 전시관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고

 

 수준 높은 공예품을 생산자로부터 싼 가격으로 직접 구매할 수도 있다.    

 특히 여기저기 자리잡고 있는 도자 공방은 방문한 이들의 발길을 붙잡는데 

 

  몇몇 공방에 들어가 토기와 도자기 제품들을 집중적으로 돌아본다. 

 할로윈에 쓰면 알맞을 듯 한 호박을 갈라놓은 듯한 도자기. 

  소박한 모양의 함지박 안에 들어있는 호리병. 

 150cm이상의 깊고 오래된 논흙으로 구워 건강에 매우좋은 주전자와 솥. 

 함부로 쓰지 못하고 모셔두어야 할 것 같은 이쁜 꽃이 그려진 함지박. 

 장독 위에 놓여진 토우들도 너무나 이쁘다. 

 흙으로 빚었는데 마치 닥종이 인형같은 느낌이 든다. 

 집에서 실로 이빨 뽑던 그 시절 그 추억이 누구나 떠오르는 장면. 

 투박한 그릇, 섬세한 그릇,  큰 그릇, 작은 그릇... 

 아름다운 꽃을 담기에 부끄럽지 않을 멋진 화분도...  

  오묘한 빛깔로 인해 절로 눈길이 가는 자기. 

  은은한 빛으로 그 품위를 말해주는 다기 세트는 여자들을 유혹하고...  

 때론 이렇게 하나에 수백만원씩 하는 도자기가 있어 만져보다가 모두 깜짝 놀라기도 한다. 

  군데 군데 놓여진 장식 토우들은 까까머리 친구들과 놀던 그 때를 아십니까? 를 연상케 한다. 

 의복은 제대로 된 것이 없고 앞니가 빠진 그 시절 어린이들. 

 연탄 한장 사서 새끼줄에 꿰어가던 그 시절의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곳이다. 

 언덕을 올라서 마을의 뒷편으로 가면 

 신라요를 비롯한 토기 공방이 있는데 토기의 제작 과정과 함께 도자기 가마 등도 돌아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 전혀 다른 향가와 만엽가 (http://blog.daum.net/kmb2274)

특히 신라요의 도자기 명장 유호웅 선생께서는 
MBC 드라마 '선덕여왕'에 나오는 화장 기름병 등 드라마 소품 300 점을 직접 재현하기도 했는데....

이곳 신라요에서는 토기 만들기 체험 실습을 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든 도자기는 가마에 구워 택배로 보내주는 서비스도 하고 있으니 
어린이가 있는 가정은 가족 단위 체험 학습을 꼭 해보고 가시라고 권하고 싶은 곳이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