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 2일의 63번째 여행지 안동편에서 소개되었던 도산서원은
1574년(선조 7년)에 퇴계 이황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선생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도산서당의 뒤편에 창건하여 이황의 위패를 모신 이 서원은 
1575년 선조로부터 한석봉이 쓴 '도산'(陶山)'이라는 사액을 받아서 도산서원이라고 불리운다.
이후 도산서원은 수백년 동안 영남 유림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에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되어 현재 사적 제170호로 지정되었다.  

도산서원의 자세한 소개와 사진은 지난번 포스트에서 언급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라고
오늘은 도산서원 경내에 위치한 전시관 옥진각에 전시된 퇴계 선생의 유품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한다.


 

 

 도산 서원의 경내에는 유물 전시관이 한귀퉁이에 자리잡고 있는데
옥진각이라 이름하는 유물 전시관에 전시되어 있는 퇴계 선생의 유품들을 하나 하나 살펴 보기로 한다.  

1585년 나주에서 간행한 목판본인 '퇴도선생 자성록(退陶先生自省錄-퇴계 선생의 호는 퇴도라고도 한다)'은
선생께서 타인에게 보낸 서간 중에서 거듭 음미하고 반성하여 엮은 책으로 58세 때 만들어졌다. 

 '성학십도(聖學十圖)'는 유교 철학의 주요 체계 10가지를 도식으로 나타낸 것으로 선생 68세에 작성하여
선조대왕께 올렸는데 선조께서는 성학십도를 병풍으로 만들어 좌우에 두고 보셨다고 한다. 

'사문수간(師問手簡)'은 제자 월천 조목이 평소 선생으로부터 받은 서간 106통,시 16편,잡서 7편을 손수 책으로 만든 것으로 모두 8권이다. 

 '어제발문(御製跋文)'은 평소 퇴계 선생을 흠모하던 정조 임금이 1794년에 사문수간을 열람하고서
그 소감으로 발문을 지어 하사한 것인데 선생의 천인합일(天人合一)의 경지를 칭송하는 내용이다.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은 퇴계선생이 도산의 산수를 소요하며 읊은 시조로써 친필 목판본이다.
언지 편인 전 6곡과 언학 편인 후 6곡을 합하여 도산십이곡이라 부른다.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은 퇴계 선생이 옛 학자,명인들이 좌우명을 뽑아 편하여
심성수양의 자료로 삼아왔던 것을 제자 정구에 의해 책으로 간행되었다. 

 '이퇴계서초(李退溪書抄)'는 10권 10책으로 되어 있다.
선생의 학문은 일본에도 많은 영향을 끼쳐 퇴계학파가 형성되었는데
스구리 교쿠수이가 선생의 서한을 뽑아 엮은 것으로 1811년 일본에서 간행한 원본을
선생의 8대손 초초암이 일본에 사신갔던 김이교에게 빌려 복사한 것이다. 

'혼천의'는 천체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던 기구로 이것은 선생이 교육용으로 제작한 것이다.
구면에는 성좌의 위치가 그려져 있는데 왕궁이 아닌 민간 교육 기관에서 만든 것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그외에 퇴계 선생의 유품으로써 '등경'이 있고.....

흑단연. 단계산 흑색 돌로 만든 '벼루'도 쓰던 유품이다. 

글을 쓸 때 종이의 양 쪽을 누르던 '옥서진'과 '세지(細枝)'가 있는데 세지의 용도는 미상이나 선생의 유품으로 전해 온다.
말 안 듣는 제자들의 종아리를 치기 위한 회초리는 아닌지....^^ 

매화연. 단계산 자색돌로 만든 '벼루'는 선생의 문인 김북애의 증정품이다. 

선생이 침을 뱉을 때 사용하던 도구인 '백자타호'인데 받침 접시 밑에는 '山'자가 묵서되어 있다.
오른 쪽은 선생이 사용하던 '장추(긴 빗자루)'로써 의이미라는 일년초로 만들었다.  
직접 마당을 쓰시는 퇴계 선생이라니....그 모습을 잠시 유추해본다.

'청려장'이라고 부르는 이 특이한 모양의 지팡이는 푸른 명아주로 만든 것이고

책을 읽을 때 사용한 검은색의 '목조 책상'은 낡을대로 낡아 귀퉁이가 다 헤어졌다. 

병을 놓고 일정한 거리에서 청,홍의 대화살을 병가운데나 귀구멍에 던져 넣는 놀이기구인 투호도 있고 

 매화를 특히 좋아하던 선생이 앉으시던 매화 무늬의 '청자 걸상' 도 눈에 쏙 들어오는 유품이다.

  기대는 방석인 '안석'은 가는 왕골로 짠 길이 80cm정도 되는 유품이고 

왕골로 짠 '완석' 3개 중 한 개의 뒤에는 '이첨지댁 퇴계'라는 자필 글씨가 쓰여 있다. 

 
거의 국보급이라 할 수 있는 귀한 목판본도 귀중하게 느껴지지만
선생이 평소에 쓰던  벼루며 서진, 책상, 걸상 등 일상 용품과
침을 뱉던 타구, 기대앉던 안석, 아침 저녁으로 마당을 쓸던 긴빗자루까지 전시되어 있는 이곳은
퇴계선생의 소박하고도 고고한 향기를 피부로 느끼기에 충분한 곳인 듯....



퇴계 선생은 늦은 나이인 34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단양 군수,풍기군수,공조판서,예조판서,우찬성,대제학을 지냈으며 사후에 영의정으로 추대되었다.
그는 조선의 교육 및 사상의 큰 줄기를 이루었으며 조선의 정신적 사표가 되었다.

어떻게 하면 공천 한번 받아서 출사해보나...어떻게 하면 막강한 권력을 내 손에 쥐고 흔들어보나...
궁리에 궁리를 거듭하는 권력지향성 나으리들은 70여 회나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인격도야,후진 양성에 힘쓴  퇴계 이황 선생의 유품을 보며 깨닫는 것은 없을른지....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예년에 없던 강추위와 폭설로 인하여 어깨가 움츠려들기만 했던 이번 겨울

언제나 봄이 올까..... 먼먼 훗날의 일 같더니 
매서운 날씨 속에서도 어김없이 2월이 오고
봄의 시작을 알려주는 '입춘'이 우리 앞으로 성큼 다가 왔다.

우리네 풍속에는 해마다 입춘이 되면 새 봄을 맞이하는 마음으로 입춘을 맞이하는 글을 써붙이는데
대궐에서는 신하들이 지은 '춘첩자(春帖子)'를 붙이고 민간에서는 '춘련(春聯)'을 붙였다.

이를 입춘서(立春書), 또는 입춘방(立春榜)이라고도 부른다.




특히 양반 집안에서는 손수 새로운 글귀를 짓거나 옛사람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춘련을 써서 봄을 축하하는데
이것을 '춘축(春祝)'이라 하고  
댓구를 맞추어 두 구절씩 쓴 춘련을 '대련(對聯)'이라 불렀다.



이 춘련들은 집안의 기둥이나 대문, 문설주 등에 두루 붙이게 되는데

한번 붙인 입춘서는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그 다음해 입춘이 되면 전에 붙인 입춘서 위에 덧붙이는 것이 관례라고 한다.

그리고 입춘서는 붙이는 시간이 중요한데 2015년 입춘은 1258분이므로

그 시간에 맞춰 붙여야 한다고 한다.

입춘을 맞이하여 안동 소재 고택의 문설주에 붙은 입춘서들을 몇 가지 소개해 드린다. 

 


대련에 가장 많이 쓰이는 글귀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다.




'입춘대길 건양다경'이란 '입춘에는 크게 좋은 일이 있고
새해가 시작됨에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바랍니다'라는 뜻이다.




여기에 쓰인'건양'이란 19세기 말 고종 즉위 33년부터
다음해 7월까지 쓰인 고종 황제의 연호(1896∼1897)를 말한다.



 

  그 외 많이 쓰는 대련으로는  '수여산(壽如山) 부여해(富如海)' 
(산처럼 장수하고, 바다처럼 부유해지기를 바랍니다)와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백복래(開門百福來)'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문을 열면 온갖 복이 들어오기를 바랍니다) 등이 있다.
 


그 당시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뜻에서 집집마다 '건양다경'을 써서 붙였다고 한다.

퇴계 이황 고택 솟을 대문 양쪽에는  '
봉천리(奉天理) 계오생(啓吾生)'이란 대련이 붙어 있다.
 


이는 '하늘의 이치를 받들어 나의 생을 깨우친다'는 뜻이다.

 


퇴계 이황 고택의 안채에도 여러 종류의 대련이 붙어 있는데
오른쪽의 '가금불상(呵禁不祥)'은 '불길한 것을 꾸짖어 금한다'는 뜻이고
왼쪽의 '신다(神茶)'는 '울루(鬱壘)' 와 짝을 이루는 대련으로써
신다와 울루, 이 두 신은 귀신들이 다니는 문의 양쪽에 서서 모든 귀신을 검열하는데
남을 해치는 귀신이 있으면, 갈대로 꼰 새끼로 묶어 호랑이에게 먹인다고 믿는다.
 


 
조선 때 천문, 지리, 측후를 맡아 보던 관청인 관상감에서는
붉은 물감으로 귀신을 쫓는 글인 '신다울루(神茶鬱壘)'를 써서 궁중의 문설주에 붙여 두었다고 한다.
 


'문신호령(門神戶靈)'은 문의 신과 집의 영이란 뜻이다.
 


'문신호령(門神戶靈) 가금불상(呵噤不祥)'은 문의 신과 집의 영이 지키고 있으니 불길한 것을 꾸짖어 금한다는 뜻.
 


'정자계자(正自啓自)'는
'스스로 바르게 함으로 자신을 깨우쳐라'....
 


 
'화복무문(禍福無門) 유인소소(唯人所召)' ....이 두 귀절이 보통 짝을 이루는 대련인데
'화와 복은 들어오는 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직 사람이 불러오는 것'이란 뜻...
사자소학 수신편에 있는 글귀이다. 



'육오배헌남산수(六鰲拜獻南山壽) 구룡재수사해진(九龍載輸四海珍)'.
이름있는 고택도 아닌 안동의 어느 평범한 골목집 기둥에 붙어 있던 입춘서도 눈길을 끈다.

'육오배헌남산수(六鰲拜獻南山壽)'는 여섯 자라가 절하며 남산의 장수를 집주인에 바쳐주며


  
'구룡재수사해진(九龍載輸四海珍)'은
아홉용이 사해의 보배를 실어와서 자기 집에 가져다 주기를 기원하는 입춘서이다. .
.

예전에 한옥에 살 때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쯤이야 누구나 써서 문설주에 붙였다지만
아파트식 주거에 익숙해 진 지금은 입춘서를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새 봄엔 입춘서에 쓰인 글귀들 처럼 세파에 찌들어 힘든 우리네 가슴에
좋은 일만 가득했으면 좋을텐데......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대구에서 남쪽으로 약 40km,
운문댐 건설로 인해 새로 조성된 대천읍을 지나 금천면 신지리에 이르면
이차선 도로 양쪽에 예사스럽지 않은 고택들이 늘어서 있는 것이 눈에 뜨인다.

그중에서도 운강 고택은 소요당 박하담((逍遙堂 朴河淡:1479~1560) 이 벼슬을 사양하고
후학을 양성했던 옛 서당터에 지어진 주택인데 영조 2년(1726) 박중응이 이집을 처음 지었다. 
그후 순조 24년(1824)에 박시묵(朴時默)이 집을 중건하고
동창천 벼랑 위에는 별장 만화정을 새로 지었는데
운강 고택이란 이름은 바로 박시묵의 호 운강(雲岡)에서 이름한 것이다.



1912년에는 사랑과 안채를 크게 중수하여 현재에 이르는데 일반적인 다른 고택과 달리
다양한 보관 장소와 내외 분별에 신경을 쓴 설비와 공간, 주종을 명확히 구별해 놓은 화장실,
서당의 존재 등으로 합리적인 공간 구성이 돋보이는 조선 후기의 상류 주택이다.


운강 고택은 길에서 바로 대문이 보이지 않고 대문으로 이르는 길이 ㄱ자로 꺾어져 있다.


골목과 대문이 정면으로 연결될 경우 찬 바람과 사악한 기운이 집으로 바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고 한다.


대문은 솟을대문이며 그 외문 끝에는 '운강고택(雲岡故宅)'이라 쓴 김충현(金忠顯)의 편액이 걸려 있다.


운강 박시묵 선생의 후손으로 운강 고택과 섬암 고택 등을 관리하고 계시는
퇴직 교사 출신의 박성규 선생님이 직접 안내해주시고 상세한 고택의 해설을 해 주셨다.
평소에는 관리 상의 이유로 인해 고택의 문을 잠궈 놓는 일이 많다고 한다.


대지가 1,770평이나 되는 이 고택은 집을 구성하고 있는 집채의 동수가 모두 9동이나 되며 
 안 마당과 안채 후원·사랑채 후원의 공간을 넓고 여유있게 두는 등 보기 드물게 규모가 큰 주택이다.  


대문채는 6간인데 왼쪽부터 외양간,곳간,문간방 2채,대문채,측간이다.
 보통의 솟을대문집은 대문이 집의 중앙에 와서 대칭을 이루고 있는데
이 고택은 대문간을 두번째 칸에 설치하여 비대칭을 이루고 있는 점이 특이하고 여유로워 보인다.


넓은 마당을 둘러싼 건물 중 왼쪽은 큰 사랑채, 오른쪽은 중사랑채인데
큰 사랑채는 두벌대 기단을 써서 작은 사랑채보다 상위의 건물임을 암시하고 있다.


사랑채는 정지기방, 큰사랑방 2간, 대청 2간의 5간으로 구성되었으며 두방과 대청 앞에는 툇마루를 두었다.


대청에는 들문이 달려서 여름에는 문을 다 들어올려 더위를 피할 수 있게 하였다. 
 


방문을 열지 않고도 바깥의 동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아담한 유리 조각을 문의 부분에 붙여 놓은 것이 눈에 뜨인다.


사랑 대청이 끝나는 뒷기둥에는 '내외문'이라고 할 수 있는 일각문이 하나 붙어 있는데


대문을 들어선 부녀자들이 사랑채 앞을 지나지 않고 이 일각문을 통해서 후원을 지나 안채 마당으로 들어설 수 있게 세심하게 꾸며져 있다.


이 집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사랑채와 중문 사이의 꽃담이다.
깨진 암수 기와를 활용하여 길상을 의미하는 吉자와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이 등처럼 보이는 문양이 어우러져 있어 보는 이의 시선을 편안하게 유도한다.


근데 가까이 다가가 보니 이 아름다운 꽃담에도 여기저기 낙서를 해놓은 손길이 보인다.
어찌 가만히 버려두지 않고 무식의 흔적을 드러내는 것인지.....안타깝기 이를데 없다.


 대문에서 안으로 마주보이는 건물은 중사랑채인데 툇마루를 둔 2간의 온돌방과 마루가 있다.
서당으로 쓰이기도 했던 중사랑채의 왼쪽 1간은 누마루로서 서고라고 한다.


문 위에는 '백류원(百榴園)'이라 쓴 김충현의 편액이 걸려 있기에 이집에 석류나무가 있냐고 물어보았더니
중사랑의 후원이 원래의 백류원이었으나 지금은 석류나무가 없다고 한다.


중사랑채의 왼쪽에는 7간의 고방채가 있는데 과거에 수요가 많던 교통기구의 격납(格納)으로 쓰였다.


고방채의 제일 끝은 마굿간이니 요즘 같으면 차고라고 하겠는데 마굿간 뒤의 측간은 하인 전용이다.


사당으로 통하는 협문과 마주보는 중문으로 들어서면 안주인의 공간인 안채가 나온다.


다른 분들의 답사 자료에서 본바로는 안채 마당에 둥글게 화단이 조성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아무 것도 없이 잘 다져져 있는 걸 보니 근래 보수하면서 다시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시킨 듯 하다.


안채는 정면 7칸, 측면 3칸으로 상당히 규모가 큰 건물이다.


안방과 웃방 앞에는 2간 툇마루를 두었고 가운데 대청에도 문을 달아 놓았다.


안채의 대청문 역시 들문으로 되어 여름엔 시원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걸 보니 조상들의 지혜가 새삼 피부로 전해진다.


"내부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올라가지 마십시오"라고 쓰여 있었는데 
박성규 선생의 허락을 받아 들어가 안채의 구조를 살필 수가 있었다.


근래에 새로 보수하였다고 하는데 문이며 벽지가 아주 산뜻하였다.


 
안방과 부엌이 접하는 부엌 귀퉁이에는 작은 찬마루를 두어 안방에서도 드나들 수 있게 문을 내었다.


부엌으로 통하는 문을 열어 내부를 보니 4간이나 되는 아주 넓은 부엌은 집안 대소사 준비에 부족함이 없어 보인다.


웃방의 안쪽에도 간막이를 하여 반간의 찬광을 꾸며 놓았다.


우리나라의 가옥들이 방안에 수납 공간이 거의 없는 편인데 이집은 이렇듯 군데군데 수납공간이 많다.


양쪽에 방을 두고 가운데 대청 마루가 자리잡고 있는데


대청은 3간 크기 정도이며 기제시(忌祭時)의 제청(祭廳)으로 쓰인다고 하고


대청의 뒤편에도 역시 간막이를 해서 '여름 찬광'을 마련하였다. 


안방을 중심으로 찬마루, 찬광을 고루 분산시켜 다수화하여 곳곳이 수납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특히 툇마루 아래에는 두꺼운 널을 걸쳐서 여자들이 긴 치마를 입고 높은 툇마루에 오르기에 편리하도록 디딤돌을 대신해 놓았는데
곳곳에 이렇게 여성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가 눈에 뜨이는 주택이다.
 


동편에 가로 놓인 행랑채에는 부엌, 방, 마루, 고방, 방앗간이 있고


방앗간에는 오랜 세월동안 디디고 빻아서 많이 닳아 버린 디딜방아가 놓여 있다.


방앗간 뒤편에는 2간 측간을 두어 안쪽은 안방 마님용, 바깥쪽은 행랑 하인용으로 구분 사용케 하였다.


 행랑채 부엌문 판자에 네모꼴을 크고 작게 뚫어 통풍이 잘 되게 한 점도 눈에 뜨인다.


안채의 남쪽에 가로 놓인 4간의 광채는 의류와 주류의 곡간이며 왼쪽에 세워진 6간의 간막이 없는 곳간은 곡간인데
엄청나게 큰 광채와 곡간은 이집의 살림살이를 짐작케 해주는 부분이다.
곡간의 남쪽에는 ㄱ자로 달아낸 뒷사랑이 있는데 이 뒷사랑과 곡간의 끝기둥 중간에 출입문을 내어
사랑채 후원에서 내정(內庭)에 직접 드나들 수 있게 하였다.
집안 사람들의 눈을 피해서 안채에 드나들기 쉽게 해놓은 비밀통로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안채는 후원도 정말 넓다..거의 뒷동산이라 할 만큼...


후원에는 바위가 일곱개가 있어서 칠성 바위라고 부르는데 매우 신성시하는 느낌이 들었다.


안채와 마주 보고 있는 협문으로 들어서면 중사랑 후원이 있고 왼쪽에 사당으로 통하는 문이 있다.


중사랑 후원에서 다시 사당문으로 들어선다.

 
규모가 상당히 큰 사당의 문은 굳게 잠겨 있었는데 해설을 해주신 박선생님은
밀양 박씨 가문이 많은 문인과 학자들을 배출한 훌륭한 가문이라고 자랑스럽게 말씀하시더니 
배우 박중훈도 박선생님의 사촌이어서 명절에는 고향에 내려온다고 살포시 덧붙이셨다.


사당 안에서 담 너머로 보이는 사랑채와 안채들의 모습은 평화롭기 그지없다.


퇴계 이황 고택, 경주 최씨 고택.....여기저기서 고택들을 많이 답사해보았지만
그중에서도 이 운강 고택은 상당히 규모가 크고 넓은 저택이란 점에서 방문자를 놀라게 했고
무엇보다도 세심하게 관리, 보존되고 있어서 흐뭇하고 자랑스러운 마음으로 고택의 문을 나설 수 있었다.


이 솟을대문을 드나드는 모든 분들에게 언제나
햇살의 따스한 기운처럼 경사로운 일이 넘쳐 나기를 기원하면서...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