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기슭에 위치한 '서출지'는 
면적 7,000㎡, 못 둘레 약 200m로 규모가 비교적 아담하고 조용한 연못이다.

경주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첨성대, 대릉원, 안압지에 사람으로 넘쳐나는 봄, 가을 주말에도
서출지는 남산을 오르는 관광객들이 스쳐 지나갈 뿐
시내의 유적지만큼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는 곳이라 늘 한적한 편이다.

이 연못은 사계절 주변 경관이 무척 아름다운데
4월에는 주변을 둘러싼 벚나무에 일제히 벚꽃이 피어 환상적인 경치를 자아내고
7,8월에는 연못 전체에 연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사진을 즐기는 애호가들에겐 최고의 출사지로 손꼽히는 곳이다.
또 겨울철 눈이라도 내릴 때면 하얗게 눈을 인 남산 아래 정자 이요당은 가슴이 두근거릴만큼  멋진 풍광을 선사한다.
또한 요즈음은 경관 조명도 멋지게 해 놓아서 연못가 벤치에 앉아 호젓한 야간 데이트를 즐기기에도 안성맞춤인 곳.

신라 천년 고도 경주야  어느 곳이든 아름답지 않은 곳이 없지만
서출지는 필자가 특히 좋아하는 장소인지라 자주 가서 조용한 시간을 즐기곤 하는데
오늘은 서출지의 환상적인 야경을 소개해 드리고자 한다.
처음 사진을 제외하고는 모두 삼식이(시그마 30mm)로 찍은 사진이라 약간은 답답한 느낌이 드는데
다음 기회에 더 내공을 길러 더욱 좋은 사진으로 보여드릴 것을 약속드리며......





사적 제138호로 지정된 서출지는 삼국시대부터 있던 유서깊은 연못인데 이 곳에는 다음과 같은 신비한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신라 소지왕
10년(488)에 왕이 남산 기슭에 있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가고 있을 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르기를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쫓아 가보라" 하는 것이었다. 
이에 괴이하게 여긴 왕은 신하를 시켜 따라 까마귀를 따라 가보게 하였다.





신하는 남산 동쪽에 있는 피촌까지 와서는 두 마리의 돼지가 싸우는 것에 정신이 팔려

그만 까마귀가 간 곳을 잃어버리고 길에서 헤매게 되는데 연못 가운데서 나타난 한 노인을 만나게 된다.
노인은 신하에게 글이 써진 편지를 건네 주고 신하는 왕에게 그것을 올리게 된다. 





왕이 편지를 보니 
겉봉에 쓰여 있기를
'이 편지를 떼어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고 떼어보지 않으면 한사람이 죽을 것이다'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두 사람이 죽게 된다면 차라리 떼보지 말고 한 사람만 죽는 것이 옳다'고 하니 천기를 보는 일관이 아뢰되
'그렇게 하시면 안됩니다. 두 사람은 일반 백성을 말하는 것이요, 한 사람은 왕을 가리키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도 그렇게 여겨 편지를 떼어 보니 그 글에 이르기를 '거문고 집(琴匣)을 쏘라'고 쓰여 있었다.



 

왕이 곧 궁궐에 들어가 무사를 시켜 활로 거문고집을 쏘게 하니

거기에는 궁궐의 내전에서 불공드리는 승려와 궁주(宮主)가 서로 간통하고 흉계를 꾸미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왕은 두 사람을 처형시켰다.





연못에서 글이 나와 계략을 막았다 하여 그때부터 연못의 이름을
'서출지(書出池)'라 하였고
이런 일이 있은 후로 신라의 풍속에 매년 정월의 첫 돼지날, 쥐날, 말날에는 모든 일을 조심하고 함부로 움직이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정월 15일은 까마귀를 기리는 날인 오기일(烏忌日)로 정해서 찰밥으로 제사를 지내게 되었는데
지금까지도 이 풍습은 정월 대보름의 풍습으로 그대로 이어 내려오고 있다.




현재 연못 서북쪽에 소박하면서 우아한 모습으로 남아있는 정자는 조선 현종 5년(1664)에

임적이라는 사람이 지은 것으로 그는 이곳에서 글을 읽고 경치를 즐겼다고 한다.
정자의 문은 잠겨 있지만 관리인에게 잘 부탁하면 가끔 열어주기도 하여
대청마루에 앉아 서출지와 주변 경관을 보며 시원한 바람을 즐길 수도 있다.


정자의 이름은 이요당(二樂堂)인데 '이요(二樂)'라 함은 '仁者樂山, 智者樂水'란 말에서 두 樂를 따온것이니
산(경주 남산)이 있고 물(서출지)이 있는 서출지야말로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는' 곳이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부석사....처음 그곳을 들렸던 기억은 거의 10 여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여행중 여러곳의 사찰을 방문하곤 하지만 부석사 같이 내 마음을 사로잡은 곳은 아직 만나보지 못했다.
빛 바랜 앨범 속 사진 처럼 내 마음 한구석에 아스라이 남아 있던 부석사..
봄이라고는 하지만 아직도 추위가 가셔지지 않은 어느 조용한 날에 다시 찾아본다.


 태백산 부석사라는 현판이 걸린 일주문을 지나면서 부석사로 들어가는 길이 시작된다. 
 

 
 사과밭과 인삼밭 옆으로 길게 늘어선 가로숫길이 무척이나 인상적이다.

 
나목이 늘어서 있는데도 이렇듯 아름다운데 가을에 단풍이 물들면 얼마나 아름다울까...
기회가 된다면 가을에 다시 찾아와 사진으로 꼭 담아보고 싶다.

 
 천왕문 들어가기 전 왼쪽 편에 당당하게 서 있는 보물  제255호 당간지주가 눈에 뜨인다.
행사가 있을때 사찰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고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고 한다.

 
사진을 찍으며 천천히 걸어가는 필자의 앞을 가방을 멘 여학생이 담담하게 스쳐 지나간다.
갸날프게 생긴 여학생이 홀로 사찰을 찾다니.... 무슨 사연이라도 있는 것일까.....?
천왕문을 향해 걸어가는 여학생의 뒷모습이 어쩐지 고독하게 보인다.


천왕문을 지나 가파른 계단을 한참 올라가니 아...산자락 아래 단아하게 펼쳐진 경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왼쪽에 서서 보니 수려한 산자락 아래 범종루, 안양루, 무량수전이 차례로 펼쳐져 있다. 


경내에서 제일 먼저 방문자를 맞아주는 건물은 범종루인데 이 건물의 전면은 동쪽을 향해 있고 측면이 정면으로 보고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일주문에는 '태백산 부석사'라고 적혀 있는데 범종루에는 태백산의 지맥인 '봉황산 부석사'라고 적혀 있는 것이 눈에 뜨인다.


이름은 범종루이지만 범종은 바로 옆에 있는 신범종각에 걸려 있고 범종각에는 큰 법고와 목어만이 걸려 있다. 


범종각을 지나면 다시 높은 계단 위로 안양루가 그 수려한 자태를 드러낸다.


무량수전 앞마당 긑에 놓인 안양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인데 이 건물은 앞과 뒤에 걸린 편액이 서로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에 걸린 편액은 안양문이라 되어 있고


위층 마당 쪽 편액에는 안양루라고 되어 있으니 하나의 건물에 누각과 문이라는 2중의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안양문을 통하여 위로 바라보니 시선에서 약간 어긋나게 국보 제 17호인 아름다운 석등이 위치하고 있다.
 


연화대 위 8각 화사석 사이로 난 창을 통해서 무량수전이라는 편액이 보인다.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창건한 곳인데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려서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하였으며 1916년에 해체, 수리 공사를 한 건물이다.


건물의 규모는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우리나라 팔작지붕의 시초인 무량수전은 주심포 기둥이 절묘한 배흘림 기둥인 것으로 유명하다.
배흘림기둥이란 기둥 중간 부분을 약간 튀어나오게 한 기둥인데
중간을 볼록하게 함으로 기둥 머리 부분이 넓어보이는 착시현상을 막아주고
건축물의 무게가 기둥의 중간 부분에 집중된다는 건축 구조 역학을 고려한 것이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이다. 
 

 
무량수전의 왼쪽 뒷편에는 부석사 이름의 유래가 된 부석(浮石)이 있다.
부석은 우리 말로 '뜬 돌'인데 돌이 실제로 떠 있을 수는 없으니 아래 돌과 틈이 벌어져 있는 것이다.

 
이 부석에는 선묘라는 여인의 이야기가 얽혀 있는데 중국 여인인 선묘는 의상대사가 중국에 있을 때 그를 몹시 사모했다.
그러다 의상대사가 고국인 신라로 돌아오게 되자 선묘는 그만 바다에 몸을 던져 죽고 만다.
그 뒤 의상대사가 부석사 자리에 절을 지을 때 이 자리를 도적들이 차지하고 있어 애를 태웠는데
 죽은 선묘의 영이 돌을 띄우는 영험을 보여 도둑들이 도망가게 되어 그 자리에 부석사를 지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무량수전 동쪽 언덕으로 올라 아래를 보니 안양루, 범종루를 비롯한 사찰 내의 건물들이 아담하게 들어앉은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무량수전 동쪽 언덕 위에도 보물 제249호로 지정된 단아한 석탑이 있는데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이 놓여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1960년 석탑을 해체, 수리했을 때 3층 옥신에 있는 사리구멍에서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단부에서 철제탑, 불상파편, 구슬 등이 수습되었다.

 
3층 석탑을 지나 산기슭을 조금 올라가면 조사당이라는 고려시대의 목조건물이 있다.
국보 제19호인 조사당은 1377년(우왕 3)에 창건되었고 1490년(성종 21)에 중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평면구조는 앞면 3칸, 옆면 1칸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규모가 작고 세부 표현이 간결한 모습이다.


정면 가운데에는 살문을, 그 좌우 옆칸에는 붙박이 살창을 달았는데  파스텔톤의 색감이 아주 아름다운 건물이다. 

 
조사당 전면 처마 아래에서 자라고 있는 선비화(골담초)는 의상대사가 꽂은 지팡이가 자란 것이란 전설이 있는데
심하게 촘촘한 창살 속에서 자라고 있어 그 모습을 확인하고 사진에 담기는 조금 난감한 일이다.
조사당은 부석사 제2의 목조 건물로 고려시대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산에서 내려오며 안양루 아래 펼쳐진 경치를 내려다 보니 맞은편 산과 마을에 저녁 안개가 은은하게 펼쳐져 있다.
안양루에 걸린 김삿갓의 시 '평생에 여가 없어 이름난 곳 못 왔더니 백수가 된 오늘에야 안양루에 올랐구나.
 그림 같은 강산은 동남으로 벌려있고 천지는 부평 같아 밤낮으로 떠 있구나.'를 떠올리며
쉴새 없이 셔터를 누르던 손을 잠시 멈추고 깊은 상념에 빠져들어 본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