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는 오래전부터 우리의 삶 속에 자리해 온 친근한 동물이다.
선사시대부터 오랜 세월 동안 호랑이는 우리 민족과 함께 공존해 왔는데
단군신화 속의 사람이 되고 싶었던 호랑이부터
시베리아 등지에 살아남아 있는 백두산 호랑이에 이르기까지
호랑이들은 우리 민족과 더불어 살아왔다고 해도 과연이 아니다.




선사시대 사람들이 호랑이를 그림의 대상으로 삼고 있던 사실은 울산 언양의 절벽에 새겨진 '반구대 암각화'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반구대 암각화(국보 285호)는 당시의 사냥 모습과 200 여점에 달하는 육지와 바다 동물이 선명하게 새겨져 있어
선사인의 생활과 풍습을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유적이다.


  울산반구대 암각화 재현품(국립경주박물관)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 그림은 널리 알려져 있는 그림인데 여기에는 10 여 가지의 줄무늬 호랑이와 점박이 표범의 모습도 남아 있다.
호랑이들은 마치 사람처럼 앉아서 한가롭게 쉬거나 그물에 잡혀 발버둥 치기도 하고
표범과 무리를 지어 유유히 이동하는 등 다채로운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한반도에 등장한 호랑이를 표현한 최초의 예술 작품인 셈이다.



약 2천년전 사람들은 호랑이를 소재로 디자인한 청동제 허리띠 고리(일종의 버클)를 만들어 허리에 찼다.
경북 영천 어은동에서 출토된 가로 20.5㎝ 정도의 이 호랑이 모양 허리띠 고리는 말 모양의 허리띠 고리와 함께 발굴되었다.
마치 스핑크스를 연상시키는 위엄 있고 당당한 모습의 이 호랑이 모양 청동기는 북방계 청동유물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주 미추왕릉 지구에서 출토된 토기 뚜껑에도 호랑이 무늬가 새겨져 있다.
호랑이가 고개를 쳐들고 표효하는 모습이 소박하지만 예리한 필치로 묘사되어 있어 무척 현대적인 감각을 준다.



통일 신라 시대의 작품인 호형 토기도 눈길을 끈다.
두 눈을 부릅뜨고 표효하는 호랑이의 모습이 두려워 접근하기 힘든 맹수의 모습이 아니라 어쩐지 친근감이 들어 가까이 하고 싶은 애완 동물과도 같이 보인다.



고구려 무덤 속에는 흰 호랑이 백호가 서쪽을 지키는 사신(四神)의 하나로 등장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인데
신라시대에도 능묘와 불탑 둘레에 호랑이를 포함한 십이지상(十二支像)이 배치되어 각 시간과 방향에서 오는 나쁜 기운을 막는 수호신의 구실을 하였다.



조선시대 민간에서는 기쁨을 뜻하는 까치와 호랑이를 익살스럽게 그린 ‘까치호랑이그림’을 정월 초하룻날 대문에 붙였다.
그것은 정월이 인월(寅月), 즉 호랑이 달이기 때문으로, 새해를 맞는 기쁨과 즐거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까치호랑이 그림은 도자기나 민화 등에 잘 남아 있기도 하다.



18세기 조선시대 작품인 이 까치 호랑이 무늬 백자 항아리는 직선의 구연부에서 원을 그리듯 내려오다가 구연부와 같은 크기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표면에는 까치는 호랑이를 내려다보고, 호랑이는 까치를 마주쳐다보는 '까치 호랑이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호랑이의 우스꽝스러운 눈짓에 잔득 움츠린 까치의 모습이 재미있다. 
 


19세기 조선시대 작품인 백자 호랑이 무늬 왕사발에서 호랑이는 더욱 대담하게 표현되었다.



날카로운 이빨과 곧추선 털.....그리고 구름 사이를 노니는 호랑이의 날렵한 몸매는 민간 신앙의 대상인 호랑이의 위엄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


오랜 옛날부터 호랑이는 수렵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종교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상징물로 표현이 되었다.
선사시대부터 아주 오랜 세월을 한반도의 인류와 함께 공존해온 우리 민족의 상징 동물 호랑이.
지금은 우리 땅에서 그 자취가 사라지고 동물원에서나 그 용맹한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어서 아쉽기만 하다.

Copyright 2010.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Posted by 루비™

,


2009년 기축년 (己丑年) 소띠해가 서서히 저물어가고
2010년 경인년 (庚寅年) 호랑이해가 코 앞으로 성큼 다가섰다.
해마다 신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새해맞이를 하며 새로운 한 해를 기원하는데....
새해 해맞이의 장소와 형태는 각각 다르겠으나 
다양한 행사를 이웃들과 함께 즐기며 축제와도 같은 해맞이를 하고 싶은 분에겐
대한민국 최고의 해맞이 장소, 포항 호미곶 해맞이 광장을 추천하고 싶다. 

해마다 정동진 등 동해안 여러 곳에서 해맞이 행사가 성대히 벌어지고 있지만
정동진보다 5분 정도 먼저 시작되는 호미곶의 해오름을 보는 것은 새해를 가슴 벅차게 시작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더우기 2010 경인년은 '호랑이의 해'이니 '호랑이 꼬리(虎尾) 모양의 돌출한 육지(串)' 라는 뜻의 '호미곶(虎尾串)'에서
새해 해맞이를 하는 것은 남다른 경험이 되리라 생각이 된다.


경부 고속 도로에서 대구를 지나 대구-포항간 고속 도로를 거쳐 포항에 들어서면
호미곶 가는 길을 알리는 표지판이 길마다 늘어서 있으므로 호미곶으로 향하는 길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시내를 거쳐 포항 제철을 지나 도구 해수욕장을 끼고 돌아 구비 구비 호미곶 가는길은
왼쪽에 펼쳐지는 드넓고 짙푸른 바다와 저 멀리 포항 시내와 영일만이 한눈에 펼쳐지는지라
"<카 라이프>지가 추천하는 전국 10 대 드라이브 코스"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절경을 이룬다.
이곳을 운전하는 분들은 마치 이탈리아 소렌토의 언덕을 방불케 하는 경치에 연신 감탄사를 발하며 운전하곤 하는데
너무 경치에 빠져들다가는 자칫 바다로 바로 차를 몰고 뛰어들 수도 있으니 각별히 조심해서 운전해야 한다. 

 

호랑이 꼬리의 끝인 대보면 호미곶 광장에 이르면 일만 삼천여평의 너른 부지에 기념 조형물, 채화대, 불씨함, 연오랑 세오녀 동상.....들이 여기저기에 자리잡고 있다. 

특히 광장의 왼쪽에 위치한 호미곶 등대와 등대 박물관이 눈에 확 들어오는데



1901년에 세워진 호미곶 등대는 110년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호미곶 앞바다를 비추어 항구로 들어오는 배들을 안전하게 인도한 일등공신이다.


관련 포스트 : 등대 100년 역사 한눈에 보는 호미곶 등대 박물관   

 

12월 31일이 되면 호미곶 광장의 무대에서는 많은 군중들이 운집한 가운데 새해 해맞이 행사가 성대하게 열리게 될 것이고.... 

등대 앞에 보이는 앞에 있는 엄청난 크기의 무쇠솥은 해맞이 행사에 참여한 방문객들에게 새해 첫 떡국을 대접할 것이다.

 

이곳에는 호미곶이라는 이름에 맞게 가로등도 호랑이의 형상이다.  경인년 호랑이해에 참으로 잘 어울리는 가로등이 아닌가....

 

쌍호랑이 가로등이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은 더 보기가 좋다.



너른 광장의 끝에 바다를 보고 반쯤 벌린 커다란 손과 물고기의 형상이 보인다.

 

물고기 형상은 포항을 대표하는 웰빙 음식 과메기 캐릭터이다.
스테미너 증진은 물론 피부 미용에 그만인 과메기는 구룡포와 대보를 비롯한 포항 근교 어촌의 특산 음식인데
실제로 과메기를 드신 분들은 경험해 보셨겠지만 과메기를 먹은 다음날 아침엔 피부에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것을 누구나 느낄 수 있다.

호미곶을 대표하는 기념 조형물은 '상생의 손'이라고 하는데 두개의 손이 마주 보고 있는 형상이다.
하나는 육지에....하나는 바다에서....

육지의 '상생의 손'의 높이는 5.5m 인데 바다를 보고 갈구하는 듯 왼손을 벌리고 있다. 

 

상생의 손은 보기보다 굉장히 규모가 큰데 
호미곶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모두 다 상생의 손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기 때문에 '상생의 손' 앞은 비어 있을 때가 없다.

 

'상생의 손'의 일직선 상에는 '영원의 불'이 위치해 있다.

 

이'영원의 불'은 전국 체육대회를 비롯한 2002년 월드컵, 아시안게임 등의 성화 채화대로써 
성화대의 화반은 해의 이미지이며, 두 개의 원형고리를 연결하여 국민 화합을 의미한다. 

 

성화 채화대 앞에는 세개의 불씨가 있는데 1999년 마지막 날 변산 반도 마지막 일몰의 햇빛으로 채화한 불씨가 보존되어 있고

새쳔년 1월 1일에 영일만 호미곶 일출의 정기를 모아 채화한 불씨로 새천년을 기념하는 불꽃을 삼았으며

 

새천년 1월 1일에 독도와 남태평양 피지의 일출 빛으로 채화한 것을 합하여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꽃으로 남겼다. 

 

육지에 있는 상생의 손을 마주 보는 손은 바닷물 속에 잠겨 있다.



바다 속에 있는 '상생의 손'은 오른손인데 크기는 8.5m 로 육지의 왼손보다 훨씬 더 크기가 크다.
호미곶을 찾는 모든 사람에게 사랑을 받는 바닷속 상생의 손은 갈매기에게도 지친 날개를 쉬어갈 수 있는 최고의 안식처이다.

 

울릉도, 독도를 제외하고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먼저 새해 해오름을 맞이할 수 있는 곳.....호미곶은 우리나라 최고의 해맞이 명소이다. 
더구나 호랑이의 해의 첫날에 호미곶 광장에서 맞이하는 상생의 손가락 사이로 새해가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순 없다." 


Copyright 2009. 루비™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원작자의 사전 허가 없이 사진이나 글을 퍼가는 행위는 저작권법에 위반됩니다.




다음 메인 '유익한 정보 검색' 코너와 티스토리 메인 상단에 이 포스트가 나란히 소개되었네요~  감사드립니다...^^

Posted by 루비™

,